목차
<서론>
1) 도시가 산업화되면서 나타난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
(시 및 해설감상 포함)
2) 삭막해진 도시의 모습
(시 및 해설감상 포함)
3)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각박한 삶
(시 및 해설감상 포함)
<결론>
1) 도시가 산업화되면서 나타난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
(시 및 해설감상 포함)
2) 삭막해진 도시의 모습
(시 및 해설감상 포함)
3)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각박한 삶
(시 및 해설감상 포함)
<결론>
본문내용
여 준다.
유 하, 「마라톤 주자」
내 안엔 누군가에게 소식을 전해야 한다는
무의식이 살고 있다
그 무의식의 운동성이 나를 달리게 한다
전언은 휘발하고 달리기만 남은 것이다
전언을 알려야 한다는 욕망은 속도를 만들고
속도는 다시 그 욕망을 욕망하는 기계를 생산했다
나의 달리기는 그 기계의 톱니바퀴 운동이다
속도는 속도를 일으킨 주인을 집어삼키고
무의미한, 숨가쁜 호흡만을 확대 재생산한다
전언의 에너지는 텅 빈 관성만을 남긴 채 사라지고
그 관성이 지금 내 몸의 기계를 굴리고 있는 것이다
기계가 멈추면 나도 없다
위의 「마라톤 주자」는, 애초의 목적 - 전언 -을 상실하고, 결국에는 달리기만 남은 한
마라톤 주자의 이야기이다. 목적은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자는 달려야 한다는 생각아래,
속도를 만들고 그 속도는 다시 욕망을 열망하며 생산해 내는 기계를 만들어 냈다. 결국 속
도는 주인을 삼키고, 그 호흡만을 반복한다. 맹목적으로 결과만을 향해 달려가는 현대인들
의 각박한 정신세계와 삶을 노래한 시라고 볼 수 있다.
<결론>
이상, 우리는 <시와 현대공간 - 도시> 라는 주제를 가지고 시에 나타난 ‘도시’의 의미에 주목하여 시를 살펴보았다. 도시가 산업화되면서 나타난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을 나타낸 시로는 박노해 백무산의 시를 선정하였고, 삭막해진 도시의 모습은 김혜순과 장정일의 시를 선정하였다. 또,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그린 시로는 기형도와 유하의 시를 선정하였다. 이렇게 세 파트로 나누어 놓고 보니, 각기 시에서 독특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박노해와 백무산의 시는 노동자의 비참함을 다루어서인지 고발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노동자들의 비참함을 단순히 다룬 것이 아니라 그것을 고발하고 비판하고 있었다. 시를 통해 개선이 되기를 바라는 시인들의 마음이 담겨 있는 시들이었다.
다음, ‘삭막한 도시’를 다룬 김혜순과 장정일의 시는 그야말로 도시의 공간을 표현한 시라 할 수 있겠다. 그들의 시에는 이미 자연이라고는 찾아 볼 수 없는 삭막하고 피폐한 도시의 모습이 여실히 드러나 있다. 숨 쉴 공간조차 남아있지 않은 도시의 각박함을 잘 표현한 시라 할 수 있겠다.
마지막, ‘현대인의 모습’을 담은 기형도와 유하의 시를 보면, 삭막하고 각박한 도시 속에 살아가는 메말라 있는, 情이라고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는 인간의 모습을 담고 있다, 맹목성을 가지고 그냥 달리는 마라톤 주자같이 쉬지 않고 앞으로만 전진하려는 도심 속의 현대인의 모습을 잘 표현한 시라고 할 수 있겠다.
‘도시공간’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시를 본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 선정범위 또한 명확히 명시된 것이 없었기에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우리가 그 선정범위를 정하고 그 각각의 소주제에 맞게 시를 살펴보고 선정하면서, 시가 매우 건조하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가 선정한 시인들의 시는 매우 건조하게 쓰여 있었다. 매우 메말라져 있었고, 그들의 시는 마치 사막과 모래바람 같았다. 오아시스조차도 찾아 볼 수 없는 사막 같은 시에서 목이 타는 듯한 갈증을 느끼며 우리는 시를 감상하였다. 촉촉함을 찾아 볼 수 없는 ‘도시’ 현대인들의 삶의 공간이란 점에서 도시는 매우 삭막하고 숨 막히는 곳이 아닐 수 없다. 그러한 공간에서 살아가는 인간 또한 자연히 피폐해져 가고 점점 더 피상적인 인간으로 살아 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도시공간’이란 주제를 가지고 시를 살펴보면서 시가 이렇게 건조하고 삭막할 수 도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며 이 주제를 가지고 시를 쓴 시인들의 약력을 보면서 시는 시인과 동떨어질 수 없다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되었다.
유 하, 「마라톤 주자」
내 안엔 누군가에게 소식을 전해야 한다는
무의식이 살고 있다
그 무의식의 운동성이 나를 달리게 한다
전언은 휘발하고 달리기만 남은 것이다
전언을 알려야 한다는 욕망은 속도를 만들고
속도는 다시 그 욕망을 욕망하는 기계를 생산했다
나의 달리기는 그 기계의 톱니바퀴 운동이다
속도는 속도를 일으킨 주인을 집어삼키고
무의미한, 숨가쁜 호흡만을 확대 재생산한다
전언의 에너지는 텅 빈 관성만을 남긴 채 사라지고
그 관성이 지금 내 몸의 기계를 굴리고 있는 것이다
기계가 멈추면 나도 없다
위의 「마라톤 주자」는, 애초의 목적 - 전언 -을 상실하고, 결국에는 달리기만 남은 한
마라톤 주자의 이야기이다. 목적은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자는 달려야 한다는 생각아래,
속도를 만들고 그 속도는 다시 욕망을 열망하며 생산해 내는 기계를 만들어 냈다. 결국 속
도는 주인을 삼키고, 그 호흡만을 반복한다. 맹목적으로 결과만을 향해 달려가는 현대인들
의 각박한 정신세계와 삶을 노래한 시라고 볼 수 있다.
<결론>
이상, 우리는 <시와 현대공간 - 도시> 라는 주제를 가지고 시에 나타난 ‘도시’의 의미에 주목하여 시를 살펴보았다. 도시가 산업화되면서 나타난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을 나타낸 시로는 박노해 백무산의 시를 선정하였고, 삭막해진 도시의 모습은 김혜순과 장정일의 시를 선정하였다. 또,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그린 시로는 기형도와 유하의 시를 선정하였다. 이렇게 세 파트로 나누어 놓고 보니, 각기 시에서 독특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박노해와 백무산의 시는 노동자의 비참함을 다루어서인지 고발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노동자들의 비참함을 단순히 다룬 것이 아니라 그것을 고발하고 비판하고 있었다. 시를 통해 개선이 되기를 바라는 시인들의 마음이 담겨 있는 시들이었다.
다음, ‘삭막한 도시’를 다룬 김혜순과 장정일의 시는 그야말로 도시의 공간을 표현한 시라 할 수 있겠다. 그들의 시에는 이미 자연이라고는 찾아 볼 수 없는 삭막하고 피폐한 도시의 모습이 여실히 드러나 있다. 숨 쉴 공간조차 남아있지 않은 도시의 각박함을 잘 표현한 시라 할 수 있겠다.
마지막, ‘현대인의 모습’을 담은 기형도와 유하의 시를 보면, 삭막하고 각박한 도시 속에 살아가는 메말라 있는, 情이라고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는 인간의 모습을 담고 있다, 맹목성을 가지고 그냥 달리는 마라톤 주자같이 쉬지 않고 앞으로만 전진하려는 도심 속의 현대인의 모습을 잘 표현한 시라고 할 수 있겠다.
‘도시공간’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시를 본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 선정범위 또한 명확히 명시된 것이 없었기에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우리가 그 선정범위를 정하고 그 각각의 소주제에 맞게 시를 살펴보고 선정하면서, 시가 매우 건조하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가 선정한 시인들의 시는 매우 건조하게 쓰여 있었다. 매우 메말라져 있었고, 그들의 시는 마치 사막과 모래바람 같았다. 오아시스조차도 찾아 볼 수 없는 사막 같은 시에서 목이 타는 듯한 갈증을 느끼며 우리는 시를 감상하였다. 촉촉함을 찾아 볼 수 없는 ‘도시’ 현대인들의 삶의 공간이란 점에서 도시는 매우 삭막하고 숨 막히는 곳이 아닐 수 없다. 그러한 공간에서 살아가는 인간 또한 자연히 피폐해져 가고 점점 더 피상적인 인간으로 살아 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도시공간’이란 주제를 가지고 시를 살펴보면서 시가 이렇게 건조하고 삭막할 수 도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며 이 주제를 가지고 시를 쓴 시인들의 약력을 보면서 시는 시인과 동떨어질 수 없다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서정주 시의 상징성 연구 ― 보들레르 시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시 일반 이론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북경자전거와 중국도시의 현대화
[하버마스][하버마스이론][공론장]하버마스 개요, 하버마스와 공론장, 전자정보공간에서의 공...
현대시의 특징
[비오톱]비오톱(Biotope) 정의와 특징, 생태도시의 녹지공간 확보를 위한 비오톱 조성, 비오...
1910년대에서 1930년대 주요 작가의 시와 소설 분석적 정리
현대 도시계획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교양수업] 도시와생태- 녹지공간확대를 위한 노력
[A+] [日本] 일본의 마을만들기의 전개와 의미 일본 현대 도시 상황의 전개 고베 대지진이 ...
시란 무엇인가 - 현대시 작가별 코멘트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