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허들이란?
2. 허들의 유래
3. 허들 경주의 종류
- 허들 경기의 구성
- 허들의 표준 높이
4. 스타트
5. 기술적 특성
6. 허들 경주의 자세
7. 경기규칙
8. 주요 용어
2. 허들의 유래
3. 허들 경주의 종류
- 허들 경기의 구성
- 허들의 표준 높이
4. 스타트
5. 기술적 특성
6. 허들 경주의 자세
7. 경기규칙
8. 주요 용어
본문내용
빼는 뒷다리가 전방으로 나오는 것과 협응하여 반대 팔꿈치가 신체의 앞부분으로 나아가게 한다. 한편 빼는 팔의 팔꿈치는 어깨가 끌리지 않도록 하여 어깨 높이에서 멈춘다. 이와 같이 신체 각부가 서로 협응동작을 하지만, 그 기본은 질주동작이라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기 규칙
- 허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잇따라 세워져 있다. 선수는 경기의 처음부터 끝까지 지정된 레인으로만 달려야 한다. 허들을 뛰어넘으며 달릴 때 허들이 발에 걸려 넘어지는 것은 허용되지만,손으로 허들을 넘어뜨리거나 허들에 다리나 발이 걸려 끌게 되면 실격이다. 가장 먼저 결승점에 도달한 선수가 우승하게 된다.
- 크라우칭 스타트로 출발한다. (단, 3000m장애물 경기는 스탠딩 스타트로 출발)
-허들의 높이에 따라 일정한 거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10개의 허들을 뛰어넘어 결승선을 통과하면 승부가 결정된다.
-허들을 뛰어넘는 공중동작에서 상체는 낮게 구부리고, 허들을 넘기 위해서 앞으로 뻗은 다리와 반대쪽 팔을 힘차게 뒤로 흔들어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앞으로 뻗은 발이 착지할 때 몸의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키면서 허들을 넘는 순간 굽혀진 뒷발을 펴서 먼저 착지한 발 앞에 놓아 추진력을 강화시킨다.
-3000m경기 때는 오픈코스이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가려서 장애물이 잘 안보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서 자기의 페이스를 잃지 않도록 주의한다.
-허들경기는 세퍼레트 코스를 사용하며, 각 코스에 10개의 허들을 놓아야 하고, 3000m 장애물 경기에는 장애물을 28회, 물구덩이를 7회로 넘어야 한다.(물구덩이는 각 4번째 장애물로 한다.)
- 발 또는 다리가 통과하는 순간 허들 상단의 수평면보다 밑으로 통과하면 실격이다.
- 발이 자기의 옆코스로 나가면 실격이다.
- 착지시 인코스 경계선을 밟으면 실격이다.
- 허들이 발에 걸려 넘어지는 것은 좋으나, 고의로 손으로 넘어뜨리면 실격이다.
※ 허들에서 알아야할 용어
- 겟·세트(Get set) :[준비]라고 말하는 스타트시의 신호를 말한다.
- 결승선 :경기자의 도착 순서를 판정하는 너비 5cm 의 흰선을 말한다.
- 계시원 :경기의 시간을 측정하는 임원을 말하며 , 공식 경기에서는 선수 1명당 3명의 계시원이 계측을 행한다.
- 공인 기록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인한 기록이 세계 공인 기록이 된, 국제 육상 경기 연맹에 가맹하는 단체가 공인한 기록이 그 나라, 그 지역의 공인 기록이 된다.세계 기록으로서 공인되는 종목은 남자가 56종목, 여자는 27종목이다.
- 데드 히트(Dead heat) :주자의 순위, 우열이 백중하고, 거의 동시에 골에 들어오는 것, 단·중·장거리 경주 등일 때에 흔히 볼 수 있다.
- 딥(Dip) :허들을 넘을 때 몸을 앞으로 구부리는 것을 말한다.
- 랩 타임(Lap time) :트랙을 한 바퀴 도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이 외에 5000m나 10000m 등의 장거리 레이스에서 예를 들면 도중 2000m 의 랩 타임은 등을 사용하는 말이다.
- 세퍼레이트 코스(Separate course) :각 코스를 흰 선으로 구별한 주로를 말한다. 단거리 경주나 릴레이에서 바톤 터치를 행하는 구역은 반드시 각자의 주로를 달리지 않으면 안된다. 이 정해진 코스를 달리지 않으면 실격이 된다.
- 스타드 대시(Start dash) :스타트와 동시에 최고 스피드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 스타팅 블록(Starting block) :스타트를 할 때 선수가 발을 걸치는 나무 대를 말하며 간단히 분해할 수 있는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800미터 까지의 거리를 달리는 릴레이에서 첫 주자만이 사용할 수 있다.
- 스프린트(Sprint) :짧은 거리를 전력으로 달리는 것
- 아웃 코스(Out course): 코스의 바깥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8코스의 트랙에서는 7.8코스를 아웃 코스라고 한다.
- 인터피어(Interfere) :경기 중 다른 선수를 방해하는 것
- 크라우칭 스타트(Crouching start) :단거리 경주에서 스타트하는 방법으로 두 선을 지면에 대고 움추린 자세에서 스타트하는 것
- 허들링(Hurdling): 허들을 뛰어 넘는 것
출처 : http://cos4ts.com/athletic/h_run_c.htm#top
http://k.daum.net/qna/view.html?qid=3UQ7N&l_cid=QLG&l_st=1&returl=%2Fqna%2Flist.html%3Fcategory_id%3DQLG%26
경기 규칙
- 허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잇따라 세워져 있다. 선수는 경기의 처음부터 끝까지 지정된 레인으로만 달려야 한다. 허들을 뛰어넘으며 달릴 때 허들이 발에 걸려 넘어지는 것은 허용되지만,손으로 허들을 넘어뜨리거나 허들에 다리나 발이 걸려 끌게 되면 실격이다. 가장 먼저 결승점에 도달한 선수가 우승하게 된다.
- 크라우칭 스타트로 출발한다. (단, 3000m장애물 경기는 스탠딩 스타트로 출발)
-허들의 높이에 따라 일정한 거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10개의 허들을 뛰어넘어 결승선을 통과하면 승부가 결정된다.
-허들을 뛰어넘는 공중동작에서 상체는 낮게 구부리고, 허들을 넘기 위해서 앞으로 뻗은 다리와 반대쪽 팔을 힘차게 뒤로 흔들어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앞으로 뻗은 발이 착지할 때 몸의 중심을 앞으로 이동시키면서 허들을 넘는 순간 굽혀진 뒷발을 펴서 먼저 착지한 발 앞에 놓아 추진력을 강화시킨다.
-3000m경기 때는 오픈코스이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가려서 장애물이 잘 안보일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서 자기의 페이스를 잃지 않도록 주의한다.
-허들경기는 세퍼레트 코스를 사용하며, 각 코스에 10개의 허들을 놓아야 하고, 3000m 장애물 경기에는 장애물을 28회, 물구덩이를 7회로 넘어야 한다.(물구덩이는 각 4번째 장애물로 한다.)
- 발 또는 다리가 통과하는 순간 허들 상단의 수평면보다 밑으로 통과하면 실격이다.
- 발이 자기의 옆코스로 나가면 실격이다.
- 착지시 인코스 경계선을 밟으면 실격이다.
- 허들이 발에 걸려 넘어지는 것은 좋으나, 고의로 손으로 넘어뜨리면 실격이다.
※ 허들에서 알아야할 용어
- 겟·세트(Get set) :[준비]라고 말하는 스타트시의 신호를 말한다.
- 결승선 :경기자의 도착 순서를 판정하는 너비 5cm 의 흰선을 말한다.
- 계시원 :경기의 시간을 측정하는 임원을 말하며 , 공식 경기에서는 선수 1명당 3명의 계시원이 계측을 행한다.
- 공인 기록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공인한 기록이 세계 공인 기록이 된, 국제 육상 경기 연맹에 가맹하는 단체가 공인한 기록이 그 나라, 그 지역의 공인 기록이 된다.세계 기록으로서 공인되는 종목은 남자가 56종목, 여자는 27종목이다.
- 데드 히트(Dead heat) :주자의 순위, 우열이 백중하고, 거의 동시에 골에 들어오는 것, 단·중·장거리 경주 등일 때에 흔히 볼 수 있다.
- 딥(Dip) :허들을 넘을 때 몸을 앞으로 구부리는 것을 말한다.
- 랩 타임(Lap time) :트랙을 한 바퀴 도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이 외에 5000m나 10000m 등의 장거리 레이스에서 예를 들면 도중 2000m 의 랩 타임은 등을 사용하는 말이다.
- 세퍼레이트 코스(Separate course) :각 코스를 흰 선으로 구별한 주로를 말한다. 단거리 경주나 릴레이에서 바톤 터치를 행하는 구역은 반드시 각자의 주로를 달리지 않으면 안된다. 이 정해진 코스를 달리지 않으면 실격이 된다.
- 스타드 대시(Start dash) :스타트와 동시에 최고 스피드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 스타팅 블록(Starting block) :스타트를 할 때 선수가 발을 걸치는 나무 대를 말하며 간단히 분해할 수 있는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800미터 까지의 거리를 달리는 릴레이에서 첫 주자만이 사용할 수 있다.
- 스프린트(Sprint) :짧은 거리를 전력으로 달리는 것
- 아웃 코스(Out course): 코스의 바깥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8코스의 트랙에서는 7.8코스를 아웃 코스라고 한다.
- 인터피어(Interfere) :경기 중 다른 선수를 방해하는 것
- 크라우칭 스타트(Crouching start) :단거리 경주에서 스타트하는 방법으로 두 선을 지면에 대고 움추린 자세에서 스타트하는 것
- 허들링(Hurdling): 허들을 뛰어 넘는 것
출처 : http://cos4ts.com/athletic/h_run_c.htm#top
http://k.daum.net/qna/view.html?qid=3UQ7N&l_cid=QLG&l_st=1&returl=%2Fqna%2Flist.html%3Fcategory_id%3DQLG%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