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기(氣)의 개념
Ⅲ. 기(氣)의 속성
Ⅳ. 기공의 개념
Ⅴ. 단전호흡의 개념
Ⅵ. 단전호흡의 방법
Ⅶ. 단전호흡 관련 질의응답
참고문헌
Ⅱ. 기(氣)의 개념
Ⅲ. 기(氣)의 속성
Ⅳ. 기공의 개념
Ⅴ. 단전호흡의 개념
Ⅵ. 단전호흡의 방법
Ⅶ. 단전호흡 관련 질의응답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절가능한 배꼽의 조금 아랫부분으로 생각하면 된다. 기(氣)란 어떤 것입니까? 생명이 태어나고 자라며 죽게하는 것을 명(命)이라 하며, 그 명이 생명체에 작용하고 있을동안 기(氣)라고 부르고, 우리몸에서 자율신경계를 지배하고 있는 불가사의한 힘으로 작용하여 인체내의 모든장기를 상호 조화시키며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힘(생명력)을 말한다. 호흡을 따라 순환되는 공기(空氣), 음식물로 순환되는 곡기(穀氣), 오감을 통하여 상호 조화,변화시키는 生氣등으로 분류되며 氣의 본질과 그 작용까지를 포함하여 기운(氣運)이라 부른다.
기는 만물이 본래 갖추고 있는 본질 즉 구성력, 만물이 스스로 변화 생성할 수 있는 생명력, 상호 조화 작용할 수 있는 조화력 등의 힘을 갖고 있다.
호흡(呼吸)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습니까? 호흡이란 숨을 말하며 에너지의 순환을 말한다. 공기를 호흡하는 것도 에너지의 순환이며, 음식물을 먹고 배설하는 것은 곡기의 순환이며, 사람이나 자연 등 환경과의 관계에서 오감으로 받아들이고 표현이나 행동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은 생기의 순환이니 이 모든 에너지의 순환작용을 호흡이라 하며 숨이라 한다. 그러므로 공기를 호흡함에는 폐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하늘 기를 받아들이는 것이며 하늘기중에 산소도 일부 포함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단전의 기운으로 호흡할 수 있는 것이다. 산소는 폐에 까지 밖에 이를 수 없지만 공기의 기운은 단전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단전호흡은 어떤 것입니까? 호흡이 천지기를 받아들이는 것인 줄 알고 단전의 기운으로 공기를 호흡하는 것이 단전호흡이다. 기운은 느낌으로 감지할 수는 있지만 형태로 볼 수는 없다. 그러므로 보려고 하지 말고 느끼려고 해야 한다. 단전호흡이란 호흡을 고르고(조식) 안정되게 하므로 기를 느끼기 위한 방편이라 할 것이니 기를 느끼고 심신을 안정시키는데 주력할 일이지 호흡 그 자체에 머물러서는 아니 될 것이다.
단전호흡은 어떤 방법으로 합니까? 기운을 느끼기 위해서는 먼저 기운이 느낄 수 있을 만큼 강해져야 할 것이다. 물질문명속에서 보여지고 만져지는 것을 분별하는 데만 익숙해져서 느끼는 감각이 무디어진 현대인들에게는 더욱 강한 감각적인 기운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단전호흡법도 느끼는 호흡법보다 먼저 강화하는 호흡법이 필요하게 된 것이나 기본은 느끼기 위한 호흡이므로 느끼는데 중심을 잡고 강화해나가도록 해야한다. 단전호흡수련을 얼마정도 하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까? 기 수련은 정성을 통해 느끼고 깨닫는 수련이므로 기간을 정해 말할 수 없으나 정성의 정도에 따라 기간이 결정될 것이며 한호흡 시작할 때부터 기의 변화는 일어나므로 시작하는 순간부터 알게 모르게 수련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는 관심의 정도에 따라 증감되므로 작은 변화에도 관심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이해하므로 효과가 뚜렷해질 것이다. 복식호흡이란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단전호흡과는 어떻게 다릅니까? 복식호흡은 심호흡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이다. 복식호흡은 공기를 많이 마시고 많이 내뱉는다는 호흡법이나 기의 개념이 없다. 어깨·가슴·배를 단계적으로 부풀리므로 폐의 용량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이다. 단전호흡은 량을 중요시 하는 것이 아니라 질을 중요시 하며 공기를 氣로 생각하는 호흡이다. 복식호흡은 의식이 분산되며 단전호흡은 의식이 집중되는 호흡이다. 어떤 시간에 수련하는 것이 좋습니까? 단전호흡을 통한 기의 집중은 세가지 방향으로 기가 집중된다고 할수 있다. 첫째 공기중의 기(천기), 둘째 신체 감각의 기, 셋째 의식의 기(심기) 이다. 그러므로 공기가 맑고, 차거나 덥지 않을 때, 몸의 조건이 좋을때 (즉 배가 너무 부르거나 허기지지 않을 때, 몸이 너무 피로하지 않을 때 등) 마음이 편안할 때 등이 수련에 효과적이라 말할 수 있다. 시간적으로는 전부는 아니지만 대게가 밤에 잠들기 전이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가 좋은 조건이라 할 수 있으나, 단전호흡은 기를 이용하여 기를 안정시키고 조화시키는 수련이므로 오히려 앞에 말한 조건이 좋지 않을 때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다시 말해 수련시간은 조건을 따지지 말고 항상 해야하는 수련이다.
수련장소는 어떤 곳이 좋습니까? 공기가 맑고 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안정된 곳이 좋다 할 것이다. 그러나 수련이 진전됨에 따라 어떤 곳에서도 할수 있어야 하는 수련이다. 처음은 의식이 분산되는 시끄러운 장소는 수련이 어려우나 단전호흡이 되면 어떤 시끄러운 장소에서도 의식이 분산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단전호흡을 하면 병이 치료되고 건강해진다고 하는데 사실입니까? 생명은 숨을 쉬므로 그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건강은 숨을 통한 에너지의 순환이 순조로와 우리 몸과 마음의 조화가 유지될 때 얻어지는 것이므로 공기의 호흡을 고르게 하는 단전호흡은 마음과 몸을 안정시키므로 조화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병은 몸이나 마음의 부조화에서 생기는 것이니 단전호흡은 몸과 마음의 안정을 얻어 편안하게 할 것이므로 병이 자연 치유되는 것이다. 저는 한달정도 수련을 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나면 하루 두서너 시간도 하고 바쁜 날은 수련을 못할 때도 있는데 그래도 좋습니까? 시간이 나면 두서너 시간도 하고 바쁘면 한호흡이라도 해야 한다. 바빠서 숨을 몸쉰다 할 수 없으니 바빠서 수련을 못한다는 말은 성립되지 않는다. 단전호흡수련은 바로 숨쉬는 일이다. 저는 오랜 위장병으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흔히 있는 일반적인 병들은 얼마나 수련하면 고칠수 있습니까? 병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다르고 수련의 정성에 따라 다르다. 단전호흡수련은 치병이 목적이 아니라 치병은 수련 중에 얻어지는 부수 효과라고 해야 한다.
참고문헌
· 김성훈 외 2명(2001), 한방과 건강생활, 정문각
· 민정암(1995), 기공, 서울:대원사
· 신동원·김남일·여인석, 한 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들녘
· 이현주(1989), 이완술로서의 단전호흡 교육의 단기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최승훈(1997), 한의학 이야기, 푸른나무
· 최원철(1999), 생명에는 동서가 따로 없다, 천일문화사
· 홍태수(1988), 단전호흡 수련법, 서울: 세명문화사
기는 만물이 본래 갖추고 있는 본질 즉 구성력, 만물이 스스로 변화 생성할 수 있는 생명력, 상호 조화 작용할 수 있는 조화력 등의 힘을 갖고 있다.
호흡(呼吸)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습니까? 호흡이란 숨을 말하며 에너지의 순환을 말한다. 공기를 호흡하는 것도 에너지의 순환이며, 음식물을 먹고 배설하는 것은 곡기의 순환이며, 사람이나 자연 등 환경과의 관계에서 오감으로 받아들이고 표현이나 행동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은 생기의 순환이니 이 모든 에너지의 순환작용을 호흡이라 하며 숨이라 한다. 그러므로 공기를 호흡함에는 폐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하늘 기를 받아들이는 것이며 하늘기중에 산소도 일부 포함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단전의 기운으로 호흡할 수 있는 것이다. 산소는 폐에 까지 밖에 이를 수 없지만 공기의 기운은 단전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단전호흡은 어떤 것입니까? 호흡이 천지기를 받아들이는 것인 줄 알고 단전의 기운으로 공기를 호흡하는 것이 단전호흡이다. 기운은 느낌으로 감지할 수는 있지만 형태로 볼 수는 없다. 그러므로 보려고 하지 말고 느끼려고 해야 한다. 단전호흡이란 호흡을 고르고(조식) 안정되게 하므로 기를 느끼기 위한 방편이라 할 것이니 기를 느끼고 심신을 안정시키는데 주력할 일이지 호흡 그 자체에 머물러서는 아니 될 것이다.
단전호흡은 어떤 방법으로 합니까? 기운을 느끼기 위해서는 먼저 기운이 느낄 수 있을 만큼 강해져야 할 것이다. 물질문명속에서 보여지고 만져지는 것을 분별하는 데만 익숙해져서 느끼는 감각이 무디어진 현대인들에게는 더욱 강한 감각적인 기운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단전호흡법도 느끼는 호흡법보다 먼저 강화하는 호흡법이 필요하게 된 것이나 기본은 느끼기 위한 호흡이므로 느끼는데 중심을 잡고 강화해나가도록 해야한다. 단전호흡수련을 얼마정도 하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까? 기 수련은 정성을 통해 느끼고 깨닫는 수련이므로 기간을 정해 말할 수 없으나 정성의 정도에 따라 기간이 결정될 것이며 한호흡 시작할 때부터 기의 변화는 일어나므로 시작하는 순간부터 알게 모르게 수련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는 관심의 정도에 따라 증감되므로 작은 변화에도 관심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이해하므로 효과가 뚜렷해질 것이다. 복식호흡이란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단전호흡과는 어떻게 다릅니까? 복식호흡은 심호흡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이다. 복식호흡은 공기를 많이 마시고 많이 내뱉는다는 호흡법이나 기의 개념이 없다. 어깨·가슴·배를 단계적으로 부풀리므로 폐의 용량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이다. 단전호흡은 량을 중요시 하는 것이 아니라 질을 중요시 하며 공기를 氣로 생각하는 호흡이다. 복식호흡은 의식이 분산되며 단전호흡은 의식이 집중되는 호흡이다. 어떤 시간에 수련하는 것이 좋습니까? 단전호흡을 통한 기의 집중은 세가지 방향으로 기가 집중된다고 할수 있다. 첫째 공기중의 기(천기), 둘째 신체 감각의 기, 셋째 의식의 기(심기) 이다. 그러므로 공기가 맑고, 차거나 덥지 않을 때, 몸의 조건이 좋을때 (즉 배가 너무 부르거나 허기지지 않을 때, 몸이 너무 피로하지 않을 때 등) 마음이 편안할 때 등이 수련에 효과적이라 말할 수 있다. 시간적으로는 전부는 아니지만 대게가 밤에 잠들기 전이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가 좋은 조건이라 할 수 있으나, 단전호흡은 기를 이용하여 기를 안정시키고 조화시키는 수련이므로 오히려 앞에 말한 조건이 좋지 않을 때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다시 말해 수련시간은 조건을 따지지 말고 항상 해야하는 수련이다.
수련장소는 어떤 곳이 좋습니까? 공기가 맑고 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안정된 곳이 좋다 할 것이다. 그러나 수련이 진전됨에 따라 어떤 곳에서도 할수 있어야 하는 수련이다. 처음은 의식이 분산되는 시끄러운 장소는 수련이 어려우나 단전호흡이 되면 어떤 시끄러운 장소에서도 의식이 분산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단전호흡을 하면 병이 치료되고 건강해진다고 하는데 사실입니까? 생명은 숨을 쉬므로 그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건강은 숨을 통한 에너지의 순환이 순조로와 우리 몸과 마음의 조화가 유지될 때 얻어지는 것이므로 공기의 호흡을 고르게 하는 단전호흡은 마음과 몸을 안정시키므로 조화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병은 몸이나 마음의 부조화에서 생기는 것이니 단전호흡은 몸과 마음의 안정을 얻어 편안하게 할 것이므로 병이 자연 치유되는 것이다. 저는 한달정도 수련을 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나면 하루 두서너 시간도 하고 바쁜 날은 수련을 못할 때도 있는데 그래도 좋습니까? 시간이 나면 두서너 시간도 하고 바쁘면 한호흡이라도 해야 한다. 바빠서 숨을 몸쉰다 할 수 없으니 바빠서 수련을 못한다는 말은 성립되지 않는다. 단전호흡수련은 바로 숨쉬는 일이다. 저는 오랜 위장병으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흔히 있는 일반적인 병들은 얼마나 수련하면 고칠수 있습니까? 병의 정도와 원인에 따라 다르고 수련의 정성에 따라 다르다. 단전호흡수련은 치병이 목적이 아니라 치병은 수련 중에 얻어지는 부수 효과라고 해야 한다.
참고문헌
· 김성훈 외 2명(2001), 한방과 건강생활, 정문각
· 민정암(1995), 기공, 서울:대원사
· 신동원·김남일·여인석, 한 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들녘
· 이현주(1989), 이완술로서의 단전호흡 교육의 단기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최승훈(1997), 한의학 이야기, 푸른나무
· 최원철(1999), 생명에는 동서가 따로 없다, 천일문화사
· 홍태수(1988), 단전호흡 수련법, 서울: 세명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