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통해 국어의 특징을 알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 의식을 강화시키기 위해 설정하였으며 품사의 개념, 분류 기준, 특성을 탐구해 가는 과정을 통해 수많은 단어들을 일정한 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음을 깨달아, 어휘 더 나아가 국어에 대한 관점을 가질 수 있게 하는데 중점을 둔다.
교수-학습 방법
㉠ 다양한 종류의 단어들을 제시한 뒤 각 단어들이 갖고 있는 특성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단어들을 일정한 분류 기준에 따라 무리지어 나눌 수 있음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을 탐구해 낼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고 품사의 종류와 특성을 발견해 가는 과정을 통해 어휘 더 나아가 국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4. 표현 의도에 따라 사동피동 표현이 달리 사용됨을 안다.
성취기준 : 사동피동 표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국어를 정확하게 표현하거나 이해하고 현재의 국어 생활 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한다.
교수-학습 방법
㉠ 사동피동 표현을 능동주동 표현과 비교하여 그 개념을 이해하도록 한다.
㉡ 사동피동 표현을 사용한 담화와 글의 의미를 문맥적심리적사회적 의미를 고려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사동피동표현을 사용할 때에 의미해석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주동능동 표현과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구체적인 언어 자료 각각을 대상으로 사동피동표현을 사용한 심리적사회적 특성을 유추해보도록 지도한다.
㉣ 사동피동 표현이 꼭 필요한 경우이거나 사동피동으로밖에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닌 데에도 사동피동 표현을 사용하는 용례를 대상으로 왜 사동피동 표현을 사용했는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5. 지시어가 글의 구조와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성취기준 : 지시어가 담화 또는 글 전체 구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고 지시어에 유의하여 담화 또는 글의 의미를 꼼꼼하게 이해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설정한다.
교수-학습 방법
㉠ 지시어에는 ‘이, 그, 저, 이것, 그것, 저것, 여기, 거기, 저기, 어떻게, 그렇게, 저렇게,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와 같은 지시어의 개념을 구체적인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지시어가 다수 사용된 담화 또는 글 한편을 꼼꼼하게 분석하는 활동을 통해 지시어가 담화 또는 글 전체 구조와 의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구해 낼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수-학습 방법
㉠ 다양한 종류의 단어들을 제시한 뒤 각 단어들이 갖고 있는 특성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단어들을 일정한 분류 기준에 따라 무리지어 나눌 수 있음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을 탐구해 낼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고 품사의 종류와 특성을 발견해 가는 과정을 통해 어휘 더 나아가 국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4. 표현 의도에 따라 사동피동 표현이 달리 사용됨을 안다.
성취기준 : 사동피동 표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국어를 정확하게 표현하거나 이해하고 현재의 국어 생활 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한다.
교수-학습 방법
㉠ 사동피동 표현을 능동주동 표현과 비교하여 그 개념을 이해하도록 한다.
㉡ 사동피동 표현을 사용한 담화와 글의 의미를 문맥적심리적사회적 의미를 고려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사동피동표현을 사용할 때에 의미해석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주동능동 표현과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구체적인 언어 자료 각각을 대상으로 사동피동표현을 사용한 심리적사회적 특성을 유추해보도록 지도한다.
㉣ 사동피동 표현이 꼭 필요한 경우이거나 사동피동으로밖에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닌 데에도 사동피동 표현을 사용하는 용례를 대상으로 왜 사동피동 표현을 사용했는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5. 지시어가 글의 구조와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성취기준 : 지시어가 담화 또는 글 전체 구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고 지시어에 유의하여 담화 또는 글의 의미를 꼼꼼하게 이해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설정한다.
교수-학습 방법
㉠ 지시어에는 ‘이, 그, 저, 이것, 그것, 저것, 여기, 거기, 저기, 어떻게, 그렇게, 저렇게,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와 같은 지시어의 개념을 구체적인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지시어가 다수 사용된 담화 또는 글 한편을 꼼꼼하게 분석하는 활동을 통해 지시어가 담화 또는 글 전체 구조와 의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구해 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추천자료
7차교육과정 4대요소 요약
7차국어과교육과정 중 국어지식영역
7차교육과정에서 학교의 모습과 그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7차교육과정평가운영실태와개선방안
7차교육과정
제7차교육과정분석
[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의 역사, 국어과 교육과정, 영어과 교육...
7차교육과정
제7차교육과정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의 유형과 특성, 제7차교육과정 정보통신기술활용교...
중학교(중등)의 교육목표, 중학교(중등)의 시간배당, 중학교(중등)의 제7차교육과정, 중학교(...
[ICT활용][정보통신기술]제7차교육과정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배경과 유용성, 제7차교육...
[농어촌교육][제7차교육과정][특별지원][농어촌교육의 문제점][농어촌교육의 과제]농어촌교육...
제7차교육과정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의미와 내용체계, 제7차교육과정 정보통신기술(I...
[마음가짐][자세]교육자로서 교사의 마음가짐(자세), 인간으로서 교사의 마음가짐(자세),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