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할례와 인권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본론
[제1절] 여성할례의 개념
[제2절] 아프리카의 여성할례 현황
[제3절] 여성할례의 문제점
[제4절] 여성할례가 존속하는 원인
[제5절] 도덕적 보편주의와 윤리적 다원주의
[제6절] 여성할례문제의 해결방안

[제3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케냐
60
59
나이지리아
60
40
소말리아
99
9
수단
85
12
그리고 국제사면위원회는 2000년 9월 할례를 UN난민지위협약이 규정하는 ‘박해’로 인정, 세계 각국이 망명허용의 근거로 받아들여 줄 것을 촉구했다. 스웨덴과 미국은 할례당할 위험에 처한 여성의 자국 망명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실제로 미국은 이 문제로 망명을 허용한 사례가 있기도 하다. 장복희, 인도법논총, 국제난민법상 성별 관련 박해
여성할례 근절을 위한 월드비전 한국의 노력도 있다. 월드비전은 한국의 3대 핵심사업 중 하나인 옹호사업(Advocacy)의 일환으로, 아직도 자행되고 있는 여성할례 근절을 위해 소말리아 Puntland 지방에서 여성할례의 부작용에 대한 건강 교육 및 치료 서비스 제공, 지역 종교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근절 활동 참여 유도, 부모 및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의식 고취 및 교육 제공, 산파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 교육 실시 및 일자리 제공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2006년 여성할례에 대한 세계보건기구 보고서
[제3장] 결론
아프리카 지역 여성들은 종교적 이유나 남성 중심의 사회 분위기 때문에 성적인 면에 있어서-물론 다른 면에서도 그렇지만- 엄청난 고통을 당해왔다. 서로 동등한 위치에서 행해져야 할 성문화가 남성 우위의 문화로 버젓이 자리 잡고 있으며, 여성할례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여성들이 억압당해 왔다는 것은 분명한 인권 유린이다. 남성들과 나이든 여성들로부터 반 강제적으로 할례를 당한 어린 소녀들이 자라서 또 여성할례의 전통을 이어간다.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로, 또 그 딸에게로 이어진 여성할례는 더 이상 미래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지금이 그 썩은 고리를 끊을 시기이다.
오랜 세월동안 아프리카의 여성들은 여성할례를 당해 왔지만 최근 들어서야 제대로 된 자기 목소리들을 낼 수 있게 되었다. 많은 여성들이 당당하게 할례를 폐지하자고 외치며 기존의 인습에 맞서고 있다. 그로 인해 다른 반대 단체로부터 피해를 보는 여성들도 많지만 이들은 끊임없이 한 목소리를 내며 여성할례의 폐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너무 오래 존속하던 것이라 여성할례를 짧은 시간 안에 완전 폐지한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더 많은 여성들이 여성할례 폐지를 주장할 것이고, 적극적으로 반대 운동에 나설 것이고,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들은 정말로 잘하고 있다.
<참고문헌>
- 조부연, 아프리카학회지 제22집, 아프리카 여성할례와 인권 문제
- 홍진주, 여성연구논집 제13집, 아프리카의 여성할례와 문제점
- 데이비드 골래허, 세계에서 가장 논쟁이 된 외과수술의 역사 할례 포경수술 성기훼손
- 조선일보 2007년 9월1일
- Newsweek, 통권 249, 1996년 10월 16일
- 권수현, 대한철학회 논문집, 도덕규범의 보편성과 다원성의 문제 -문화주의적 방법으로 보는 여성할례-
- 한겨레21 1998년 12월 31일 제239호
- 장복희, 인도법논총, 국제난민법상 성별 관련 박해
- 2006년 여성할례에 대한 세계보건기구 보고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5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