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한국 정부는 무죄인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들어가며

제2장 한일 청구권 협정
제1절 한일 청구권 협정의 체결 배경
[1] 한일 기본조약의 체결 경위
[2] 한일 청구권 협정의 기본 내용
제2절 한일 청구권 협정의 문제점
[1] 문제가 된 배경
[2] 문제점
제3절 일본의 입장
[1] 일본 법원의 태도
[2] 일본 국내의 개별 청구권 소멸에 관한 입장
제4절 한국 정부의 책임
[1] 한일 청구권 협상 중 문제점
[2] 한일 청구권 협정 후 배상문제
[3] 1990년 이후 정부의 책임
제5절 국제법적 검토
[1] 개인의 청구권 소멸
[2] 사정 변경의 원칙
[3]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
[4] 배상청구권
[5] 국제 선례
[6] 국제 기구
[7] 외교상의 해결과 중재위원회에 의한 방안의 길

제3장 한국 정부의 대응
제1절 한일 청구권 협정에 대한 대응
제2절 외교적 태도
제3절 정부의 활동

제4장 한국 정부의 책임
제1절 외교적 보호권
제2절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제3절 행복추구권

제5장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행복추구권의 내용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일반적 행동 자유권, 개성의 자유로운 발현권, 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결합한 행복추구권의 내용으로서 자기결정권이다. 이 경우에는 마지막 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결합한 행복추구권이 문제가 되므로 여기에 관하여만 살펴보겠다.
자기결정권은 헌법 제 10조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와 행복추구권’에서 도출되는 권리이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로부터 일반적 인격권을 도출하고 일반적 인격권과 행복추구권으로부터 자기운명결정권, 성적자기결정권 1990년 9월 10일, 89헌마32.
, 자기 생활영역의 자율형성권 1997년 3월 27일, 95헌가14.
, 혼인의 자유 1998년 8월 27일, 96헌가22.
를 도출한 바 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에서는 성적자기결정권 침해와 국가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침해받아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손상에 의한 행복추구권 침해를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제5장] 마치며
지난 2006년 7월 일본군‘위안부’ 피해 할머니 109명은 정부의 무책임한 대응에 대한 행복추구권을 침해받았다며 헌법소원심판 청구서를 제출했다. 할머니들은 한일협정문서 공개 후 외교통상부가 ‘일본에 법적 책임이 있다’고 했으면서도 여태껏 일본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매일경제, 2006년 7월 6일자 기사.
일본 측의 책임은 말할 것도 없고, 일본 측의 사과 없는 태도를 방치한 한국 정부의 책임도 크다 할 것이다.
잘못된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의 개인적 청구권까지 발목이 잡혀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물론 개인적 청구권 문제는 일본 법원의 이해할 수 없는 태도가 문제이지만, 한국 정부의 잘못된 협정 체결도 한 몫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를 깨끗하게 청산하지 않고서는 한일 양국 모두 진정한 미래란 없다. 이제 한국 정부도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정부는 국제법과 국제 선례에 따라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은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배상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고, 전쟁범죄와 같은 형사책임은 포함되지 않았음을 공식적으로 당당히 밝히고 일본 정부에 문제제기를 공식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일 청구권 협정의 재검토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진정한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위해서는 일본의 과거사 청산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고, 이는 평화의 연쇄 고리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Gay J. McDougall, 조시현 역, “맥두갈 보고서 : 무력충돌 중의 체계적 강간, 성노예제와 노예제와 다름없는 관행 (1)”, 민변, 민주화를 위한 변론, 1998년 10월호, 제24호.
라디카 쿠마라스와미, “전시 군성노예제 문제에 관한 UN 인권위원회 특별보고서”, 이미경의원 의정자료집1.
이장희, “한일 청구권협정의 재검토와 개정방향”,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법적 해결의 전망,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법률위원회 엮음, 풀빛 2001.
이장희, “2차대전에 대한 일본의 법적 책임청산”, 해방 50년, 한일수교 30년의 재조명, 아사연 학술시민포럼시리즈 95-2, 도서출판 아사연, 1995.
최봉태, “일본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본군‘위안부’ 재판의 현황과 과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법적 해결의 전망,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법률위원회 엮음, 풀빛 2001.
사봉관 “행정청의 부작위로 인한 기본권 침해의 구제”, 헌법학연구, 한국헌법학회, 제13권 제4호, 2007.
김영희, “군대 위안부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정대협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림대 국제대학원 석사 논문, 2002.
박원순, “일본의 전쟁책임은 끝났는가?”, 정신대 자료집 Ⅳ, 1993.
Comfort Women, Report of a Mission, International Commission of Jurists, Geneva, Switzerland, November 1994.
한국정신대연구소, “할머니 군위안부가 뭐예요?”, 한겨레 신문사, 2000.
정대협 실무 대책반,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실태조사 중간보고서”, 1992.
정인섭, “일본의 전쟁책임 이행상의 문제점”, 정대협 진상조사연구회(엮음),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진상”, 역사비평사, 1997.
조정현, “국제법상 ‘위안부’ 문제 - 국가책임과 개인의 형사책임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 학위논문, 1999.
이효재,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의 전개과정”,정대협 진상 조사 연구회(엮음),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진상, 역사비평사, 1997.
계희열, “헌법학 中”, 박영사, 2004.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05. pp.364-365,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5.
홍성방 “헌법Ⅱ”, 현암사, 2008.
이승우, “일본군위안부의 손해배상청구”, 한국동북아논총, 한국동북아학회, 제11권제2호 통권39집, 2006.
한겨레 21, “참을 수 없는 정부의 직무유기”, 제388호, 2000.
김기범, “한일협정 문서 공개의 내용과 영향”, 아태지역동향, 한양대학교 아태지역 연구센터, 통권 제157호, 2005.
정진성, “전시 하 여성침해의 보편성과 역사적 특수성 : 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한국여성학, 한국여성학회, 제19권 2호, 2003.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묻는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법률위원회 엮음, 풀빛 2001.
송기춘, “국가의 기본권 보장의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 영상자료
KBS 일요스페셜, “베일 속의 한일협정, 문서 한일 양국은 왜 40년 동안 침묵하나?”, 2004년 8월 15일 방송.
조성봉, “보이는 어둠”, 하늬영상, 2002.
- 웹사이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http://www.womenandwar.net
인권운동사랑방 http://www.sarangbang.or.kr
나눔의 집 http://www.nanum.org
  • 가격1,9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