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 화랑곡나방의 종내경쟁
2. 실험목적
3. 이론적 배경
1) 종내경쟁
2) 종내경쟁은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3) 자원들에 대한 종내경쟁의 효과
4. 재료 및 실험 방법
5. 결과
6. 고찰
2. 실험목적
3. 이론적 배경
1) 종내경쟁
2) 종내경쟁은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3) 자원들에 대한 종내경쟁의 효과
4. 재료 및 실험 방법
5.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이 밀도와 관련이 있는 것인지 알아보았다.
이 실험은 현미 10g을 먹이로 한정하여 실험하였다. 현미는 화랑곡나방의 주먹이가 아니어서 실험 후 성충이 된 개체는 없었다. <표.1>을 보면 5마리의 유충을 넣었을 때에는 유충 2마리, 번데기 1마리가 살아서 생존율이 0.6이었고, 10마리의 유충을 넣었을 때에는 유충 2마리, 번데기 1마리가 살아서 생존율이 0.3이었고, 20마리 유충을 넣었을 때에는 유충은 보이지 않았고 번데기가 11마리가 있어서 생존율이 0.55였다. 마지막으로 40마리를 넣었을 때에는 유충이 8마리, 번데기가 5마리가 있어서 생존율이 0.325였다. 이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표.2>인데, 생존율이 밀도와 일정한 관계로 보여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10마리를 넣었던 실험을 제외하고 본다면 밀도가 늘어남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론상에서처럼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용 자원양이 줄어들고 그로 인한 종내 경쟁이 심화되어 생존율이 낮아졌다고 해석할 수 있다. 개체군의 밀도가 과도하게 높아진 실험4의 경우에는 생존율이 0.5도 되지 않았다. 이것으로 보아 자원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개체군이 무리하게 번식하여 밀도를 높이는 것보다 적당한 밀도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개체군의 크기를 극대화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먹이가 부족한 경우에는 같은 개체군 사이에서 서로를 잡아먹기도 한다고 한다. 그래서 처음에 넣은 유충 수와 실험 결과로 나타나는 살아있는 유충과 번데기 수 의 합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는 실험2와 실험4에서 각각 유충 한 마리씩이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이 죽은 유충까지 고려하여 수를 세어본다면 실험1에서는 2마리가, 실험2에서는 6마리가, 실험3에서는 9마리가, 실험4에서는 26마리가 안 보였고, 이들은 종내 경쟁 중에 다른 개체에게 먹힌 것으로 생각된다. 이 비율을 계산하여 보니 실험1에서는 0.4, 실험2에서는 0.6, 실험3에서는 0.45, 실험4에서는 0.65로 나타났다. 이것도 생존율에서처럼 일관성을 보이지 않는 실험2를 제외하고 본다면 실험1, 실험3, 실험4로 갈수록 종내경쟁이 심해지면서 서로에게 먹힌 비율도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2와 실험4에서 죽은 유충이 남겨져있던 것은 먹이가 부족해서 생존율을 낮추었는데, 생존율이 매우 낮아져서 경쟁력이 약한 유충을 먹지 않아도 될 만큼 적은 비율만 살아남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여기서 실험2와 실험4의 절대적인 수치를 비교해보면 같은 양의 먹이 속에서 죽은 유충으로 발견된 수는 한 마리로 같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먹이의 양이 같았고, 처음에 넣었던 유충의 수가 10마리와 40마리로 현저히 차이가 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론과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되었다. 이론적으로 생각해본다면 40마리의 유충을 넣었던 실험4에서가 당연히 실험2에서보다 자원의 요구도가 훨씬 높으므로 경쟁력이 약한 유충을 남기지 않고 모두 자원으로 활용했어야 했을 것이다. 실험2에서 유난히 활동성이 좋은 유충이 있었는데 그 이유가 생존율이 낮아지면서 절대적으로 많은 양의 먹이를 확보한 것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험4에서는 그처럼 활동성이 좋은 유충은 없었다. 즉 실험4에서는 실험2와 비교하였을 때 개체당 가용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고, 경쟁력이 약해서 죽은 유충을 자원으로 활용하지 않음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결론적으로 같은 양의 자원이 있을 경우 개체군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개체군의 가용자원이 감소하고 자원의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내경쟁이 심화되어 생존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은 현미 10g을 먹이로 한정하여 실험하였다. 현미는 화랑곡나방의 주먹이가 아니어서 실험 후 성충이 된 개체는 없었다. <표.1>을 보면 5마리의 유충을 넣었을 때에는 유충 2마리, 번데기 1마리가 살아서 생존율이 0.6이었고, 10마리의 유충을 넣었을 때에는 유충 2마리, 번데기 1마리가 살아서 생존율이 0.3이었고, 20마리 유충을 넣었을 때에는 유충은 보이지 않았고 번데기가 11마리가 있어서 생존율이 0.55였다. 마지막으로 40마리를 넣었을 때에는 유충이 8마리, 번데기가 5마리가 있어서 생존율이 0.325였다. 이 생존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표.2>인데, 생존율이 밀도와 일정한 관계로 보여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10마리를 넣었던 실험을 제외하고 본다면 밀도가 늘어남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론상에서처럼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용 자원양이 줄어들고 그로 인한 종내 경쟁이 심화되어 생존율이 낮아졌다고 해석할 수 있다. 개체군의 밀도가 과도하게 높아진 실험4의 경우에는 생존율이 0.5도 되지 않았다. 이것으로 보아 자원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개체군이 무리하게 번식하여 밀도를 높이는 것보다 적당한 밀도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개체군의 크기를 극대화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먹이가 부족한 경우에는 같은 개체군 사이에서 서로를 잡아먹기도 한다고 한다. 그래서 처음에 넣은 유충 수와 실험 결과로 나타나는 살아있는 유충과 번데기 수 의 합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는 실험2와 실험4에서 각각 유충 한 마리씩이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이 죽은 유충까지 고려하여 수를 세어본다면 실험1에서는 2마리가, 실험2에서는 6마리가, 실험3에서는 9마리가, 실험4에서는 26마리가 안 보였고, 이들은 종내 경쟁 중에 다른 개체에게 먹힌 것으로 생각된다. 이 비율을 계산하여 보니 실험1에서는 0.4, 실험2에서는 0.6, 실험3에서는 0.45, 실험4에서는 0.65로 나타났다. 이것도 생존율에서처럼 일관성을 보이지 않는 실험2를 제외하고 본다면 실험1, 실험3, 실험4로 갈수록 종내경쟁이 심해지면서 서로에게 먹힌 비율도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2와 실험4에서 죽은 유충이 남겨져있던 것은 먹이가 부족해서 생존율을 낮추었는데, 생존율이 매우 낮아져서 경쟁력이 약한 유충을 먹지 않아도 될 만큼 적은 비율만 살아남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여기서 실험2와 실험4의 절대적인 수치를 비교해보면 같은 양의 먹이 속에서 죽은 유충으로 발견된 수는 한 마리로 같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먹이의 양이 같았고, 처음에 넣었던 유충의 수가 10마리와 40마리로 현저히 차이가 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이론과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되었다. 이론적으로 생각해본다면 40마리의 유충을 넣었던 실험4에서가 당연히 실험2에서보다 자원의 요구도가 훨씬 높으므로 경쟁력이 약한 유충을 남기지 않고 모두 자원으로 활용했어야 했을 것이다. 실험2에서 유난히 활동성이 좋은 유충이 있었는데 그 이유가 생존율이 낮아지면서 절대적으로 많은 양의 먹이를 확보한 것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험4에서는 그처럼 활동성이 좋은 유충은 없었다. 즉 실험4에서는 실험2와 비교하였을 때 개체당 가용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고, 경쟁력이 약해서 죽은 유충을 자원으로 활용하지 않음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결론적으로 같은 양의 자원이 있을 경우 개체군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개체군의 가용자원이 감소하고 자원의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내경쟁이 심화되어 생존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천자료
[노동운동] 이주노동자의 실태와 노동운동방향
A+ 지속 가능한 사회의 실태와 과제
파견근로제도(근로자 파견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생태주의 교육
시장과 이윤지향의 소비주의에 대하여 -프롬의 입장에 비추어
한국의 최저 임금제
여성과 사회 A+ 정리노트
서구 열강의 중국 경제침략 및 중국의 대응
[상대적 잉여가치][절대적 잉여가치율][잉여가치량][잉여가치생산][잉여가치]상대적 잉여가치...
빈곤(빈곤문제)의 정의, 빈곤(빈곤문제)의 원인, 빈곤아동(빈곤아동문제)의 유형, 빈곤아동(...
사회적 노동의 사회주의적 조직화
한국사회문제
서비스기업의 성공이나 실폐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