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보안시스템 구축을 갖추어야만 하는 것이 해킹으로부터 학교를 보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② 컴퓨터 운영체제는 최신 버전(패치 프로그램 포함)의 출시여부를 확인하여 항상 업그레이드를 하도록 노력하고, 해킹 차단 필터링 프로그램도 설치하여야 한다.
③ 컴퓨터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각종 로그 기록들을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④ 학교 전산망이 해킹 당한 의심이 보일 때는 다음기관들과 상담한다.
- 한국정보보호센터 : http://www.kisa.or.kr
- 침해사고 대응지원팀 : http://www.certcc.or.kr
- 정보윤리위원회 : http://www.icec.or.kr
-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http://www.police.go.kr/user/cyber112/index6.htm
- 검찰청 컴퓨터 범죄전담수사반 : http://dci.sppo.go.kr
◈ 지도 방법
① 해킹은 심각한 범법행위임을 강조한다.
② 해킹은 개인의 집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가재도구를 뒤지고 망가뜨리는 행위와 같음을 설명한다.
③ 해킹이 개인에게 가져오는 문제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의 손해도 적절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차. 바이러스 유포
현재 전 세계적으로 4만 여종의 바이러스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들에 의해 감염되어 나타나고 있는 경제적인 피해는 대단히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999년에 악명을 떨쳤던 'CIH'라는 바이러스에 의해 약 30여만대의 PC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러브 바이러스'에 의해 입은 피해 인구는 수 백만명이었으며, 그 피해액만도 약 7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 세계인이 그 피해를 받게된다고 하는 사실이 PC 사용자들에게 반드시 주지될 필요가 있다.
◈ 대처 방법
바이러스의 침입을 방어하는 대비책으로는 바이러스 백신프로그램의 설치이다.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은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을 감지하기도 하지만 감염으로부터 치료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백신프로그램도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오진을 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맹신하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습관적으로 기른다.
① 입력된 자료들을 정기적으로 백업해 놓는다.
② 통신을 통해 첨부 파일을 전송 받을 경우 백신 프로그램으로 감염여부를 검사한다.
③ 불법 복제된 소프트웨어는 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품을 사용하도록 한다.
④ 통신을 통해 공개 소프트웨어를 받는 경우 일주일 이상 경과된 것을 받는다.
⑤ 바이러스 피해가 의심될 때는 아래의 기관들과 상담한다.
- 하우리 : http://www.hauri.co.kr/
- 안철수 연구소 : http://home.ahnlab.com
◈ 지도 방법
사회의 모든 시스템이 전산화되어 가는 추세에서 컴퓨터 바이러스의 유포는 무서운 파괴력을 가질 수 있음을 주지시킨다.
① 바이러스 유포는 심각한 범죄 행위임을 학생들에게 주지시킨다.
② 감기가 전염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신이 퍼뜨린 감기 바이러스로 자신도 감기에 걸릴 수 있는 것이 현실세계이듯 가상공간의 바이러스 유포도 궁극적으로는 자신에게 피해가 돌아가는 행위임을 주지시킨다.
▣ 컴퓨터 백신업체들 ▣
업체명
홈페이지 주소(URL)
안철수 연구소
http://home.ahnlab.com/
하우리
http://www.hauri.co.kr/
시만텍코리아
http://www.symantec.co.kr/
트렌드
http://www.antivirus.co.kr/
에브리존
http://www.everyzone.com/
한바이러스
http://hanvirus.inuri.com/
카. 저작권 침해
저작물에 대해 가지는 저작자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다. 소프트웨어의 불법복제와 전송, 그리고 매매는 물론 PC 통신이나 인터넷 상에서 타인의 저작물을 저작자의 허가 없이 함부로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 대처 방법
저작권 침해의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학생들에게 주지시킴과 동시에 저작권 침해는 범죄임을 알려주는 관계법을 설명해줌으로써 저작권 침해를 막고자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내에서 교사들이 솔선 수범하여 불법 복제된 CD를 사용하지 않고 정품만을 사용하는 모범을 보여야 할 것이다.
◈ 지도 방법
① 저작권 침해는 절도와 같은 범법 행위임을 주지시킨다.
② 저작권 침해의 피해는 국민 모두에게 돌아가는 것임을 주지시킨다.
② 컴퓨터 운영체제는 최신 버전(패치 프로그램 포함)의 출시여부를 확인하여 항상 업그레이드를 하도록 노력하고, 해킹 차단 필터링 프로그램도 설치하여야 한다.
③ 컴퓨터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각종 로그 기록들을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④ 학교 전산망이 해킹 당한 의심이 보일 때는 다음기관들과 상담한다.
- 한국정보보호센터 : http://www.kisa.or.kr
- 침해사고 대응지원팀 : http://www.certcc.or.kr
- 정보윤리위원회 : http://www.icec.or.kr
-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http://www.police.go.kr/user/cyber112/index6.htm
- 검찰청 컴퓨터 범죄전담수사반 : http://dci.sppo.go.kr
◈ 지도 방법
① 해킹은 심각한 범법행위임을 강조한다.
② 해킹은 개인의 집에 무단으로 침입하여 가재도구를 뒤지고 망가뜨리는 행위와 같음을 설명한다.
③ 해킹이 개인에게 가져오는 문제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의 손해도 적절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차. 바이러스 유포
현재 전 세계적으로 4만 여종의 바이러스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들에 의해 감염되어 나타나고 있는 경제적인 피해는 대단히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999년에 악명을 떨쳤던 'CIH'라는 바이러스에 의해 약 30여만대의 PC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러브 바이러스'에 의해 입은 피해 인구는 수 백만명이었으며, 그 피해액만도 약 7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 세계인이 그 피해를 받게된다고 하는 사실이 PC 사용자들에게 반드시 주지될 필요가 있다.
◈ 대처 방법
바이러스의 침입을 방어하는 대비책으로는 바이러스 백신프로그램의 설치이다.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은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을 감지하기도 하지만 감염으로부터 치료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백신프로그램도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오진을 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맹신하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습관적으로 기른다.
① 입력된 자료들을 정기적으로 백업해 놓는다.
② 통신을 통해 첨부 파일을 전송 받을 경우 백신 프로그램으로 감염여부를 검사한다.
③ 불법 복제된 소프트웨어는 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정품을 사용하도록 한다.
④ 통신을 통해 공개 소프트웨어를 받는 경우 일주일 이상 경과된 것을 받는다.
⑤ 바이러스 피해가 의심될 때는 아래의 기관들과 상담한다.
- 하우리 : http://www.hauri.co.kr/
- 안철수 연구소 : http://home.ahnlab.com
◈ 지도 방법
사회의 모든 시스템이 전산화되어 가는 추세에서 컴퓨터 바이러스의 유포는 무서운 파괴력을 가질 수 있음을 주지시킨다.
① 바이러스 유포는 심각한 범죄 행위임을 학생들에게 주지시킨다.
② 감기가 전염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신이 퍼뜨린 감기 바이러스로 자신도 감기에 걸릴 수 있는 것이 현실세계이듯 가상공간의 바이러스 유포도 궁극적으로는 자신에게 피해가 돌아가는 행위임을 주지시킨다.
▣ 컴퓨터 백신업체들 ▣
업체명
홈페이지 주소(URL)
안철수 연구소
http://home.ahnlab.com/
하우리
http://www.hauri.co.kr/
시만텍코리아
http://www.symantec.co.kr/
트렌드
http://www.antivirus.co.kr/
에브리존
http://www.everyzone.com/
한바이러스
http://hanvirus.inuri.com/
카. 저작권 침해
저작물에 대해 가지는 저작자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다. 소프트웨어의 불법복제와 전송, 그리고 매매는 물론 PC 통신이나 인터넷 상에서 타인의 저작물을 저작자의 허가 없이 함부로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 대처 방법
저작권 침해의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학생들에게 주지시킴과 동시에 저작권 침해는 범죄임을 알려주는 관계법을 설명해줌으로써 저작권 침해를 막고자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 내에서 교사들이 솔선 수범하여 불법 복제된 CD를 사용하지 않고 정품만을 사용하는 모범을 보여야 할 것이다.
◈ 지도 방법
① 저작권 침해는 절도와 같은 범법 행위임을 주지시킨다.
② 저작권 침해의 피해는 국민 모두에게 돌아가는 것임을 주지시킨다.
추천자료
정보화시대의 사이버윤리
정보사회와 윤리 명예훼손 모욕 사이버 성폭력 스토킹
정보사회와 윤리
[경영정보]델 컴퓨터사의 SCM 도입 성공사례
수학교육현장에서의 교육정보화 실태 및 컴퓨터활용 학습활동의 효과
정보사회와 윤리를 읽고
정보통신 윤리
중1 기술,가정 (Ⅴ. 컴퓨터와 정보 처리) - 내용 정리(가정과 수업)
[A+평가 레포트]올바른 정보사회를 위한 청소년 정보통신 윤리교육 방안
[에듀넷][에듀넷활용][교육정보화]에듀넷의 의미, 에듀넷의 의의, 에듀넷의 접속방법과 에듀...
[윤리문제][GMO][줄기세포][낙태][취재][담화][안락사][정보화사회]유전자조작식품(GMO) 윤리...
[기업윤리경영][기업윤리][윤리경영][기업경영]기업윤리경영의 개념, 기업윤리경영의 배경, ...
정보사회와 윤리
[과학기술과 직업윤리] 컴퓨터와 개인도덕성 그리고 사회정책.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