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석기 시대
2) 신석기 시대
3) 청동기 시대
4) 초기 철기 시대
5) 초기국가
6) 삼국시대
7) 발해
8) 고려시대
9) 조선전기
10) 조선후기
2) 신석기 시대
3) 청동기 시대
4) 초기 철기 시대
5) 초기국가
6) 삼국시대
7) 발해
8) 고려시대
9) 조선전기
10) 조선후기
본문내용
표로 편찬하였으나, 아직 지주제를 그대로 계승하는 범위 내에서 농법의 개량만을 주장함
㉡ 실학적 농서
ⓐ 색경(박세당) : 현종 때, 채소·과수·화초 등의 재배법과 목축·양잠기술 소개, 종법 보급에 기여, 지주제적 경영 부정
ⓑ 산림경제(홍만선) : 숙종 때, 농업 이외의 임업, 축산 등에 관한 농의학사전
ⓒ 임원경제지(서유구) : 순조 때, 축산, 원예, 상업적 농업 등에 이르기까지집대성한 농업백과사전, 경영형 부농의 경영 원리를 바탕으로 임노동하의 지주제를 구상하여 체계화 함
ⓓ 과농소초(박지원) : 순조 때, 전제, 농기구 수리, 영농에 대한 언급, 한전론 주장, 당시 농서 중 체계가 가장 완벽하며 수리 조항을 처음으로 신설함
ⓔ 해동농서(서수호) : 정조 때 왕명으로 편찬한 한국농학을 집대성한 농서
㉡ 실학적 농서
ⓐ 색경(박세당) : 현종 때, 채소·과수·화초 등의 재배법과 목축·양잠기술 소개, 종법 보급에 기여, 지주제적 경영 부정
ⓑ 산림경제(홍만선) : 숙종 때, 농업 이외의 임업, 축산 등에 관한 농의학사전
ⓒ 임원경제지(서유구) : 순조 때, 축산, 원예, 상업적 농업 등에 이르기까지집대성한 농업백과사전, 경영형 부농의 경영 원리를 바탕으로 임노동하의 지주제를 구상하여 체계화 함
ⓓ 과농소초(박지원) : 순조 때, 전제, 농기구 수리, 영농에 대한 언급, 한전론 주장, 당시 농서 중 체계가 가장 완벽하며 수리 조항을 처음으로 신설함
ⓔ 해동농서(서수호) : 정조 때 왕명으로 편찬한 한국농학을 집대성한 농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