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대적 관점인 표면적 교육과정과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비판자들로 하여금 잠재적 교육과정의 무용성을 주장하게 하는 계기가 될지 모르겠지만, 이것은 또한 잠재적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효과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무시하고 신경 쓰지 않으려고 해도, 어차피 인류가 표면적 교육과정을 계속하는 한 그 뒤에는 항상 잠재적 교육과정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고, 또 짧은 지면에서는 이야기하지 못하겠지만, 잠재적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특성(교사의 인격적 측면의 영향을 많이 받음, 표면적 교육과정과 함께 조화 될 때 더욱 효과적)들을 생각해 볼 때 그것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좀 더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그것은 마땅히 존립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끝-
-끝-
추천자료
[구성주의] 정보화 사회와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대안학교의 역사
[+A]학습장애의 정의, 원인, 특성, 교육(통합교육 내용중심 교과의 교수)
21세기가 원하는 바람직한 교사상
교육조직학교조직에대한이해
교육이란
교재와 수업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주요 내용 정리
[간호학특론C]중산층과 빈곤층 각 1인씩 총 2인을 선정하여 과제유형에 따라 사례분석 - 의료...
[간호학특론C]서치만의 질병과정에 대해 만성질환자와 급성질환자를 비교하여 사례분석하여 ...
교육과 교육과정
특수교육 위한 교육의 개념 정리
중산층과 빈곤층의 의료추구행위분석
방통제 교육과정 과제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