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2. 역사적 사고력의 의미
3.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
4. 맺음말
2. 역사적 사고력의 의미
3.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
4. 맺음말
본문내용
성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역사적 사건이나 현상을 말해주는 증거의 일부가 자료에 빠져 있을 경우 그 증거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다른 사실을 밝혀내는 보간과 종전과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 증거를 해석하는 대안적 해석이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역사적 상상력의 특징인 하위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역사적 상상력은 증거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서 필요한 범주이지만 반드시 증거에 입각해서 이루어져야 하는 사고 작용이다. 역사적 상상력의 하위 기능으로는 삽입, 증거의 간극 파악 (보간), 감정이입적 이해, 상상적 재구성, 행위의 대안적 해석 등을 들 수 있다.
네 번째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범주는 역사적 판단력이다. 역사가는 연구 과정에서 외에도 도덕적 판단도 한다. 여기에 학술적 전통에 따라 역사가는 자신의 선입관을 극복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역사는 판단의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사적 판단력은 역사적 논쟁이나 딜레마에 접했을 때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의사 결정을 하는 능력으로, 역사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될 수 있다. 역사적 사고력의 가장 좋은 방법은 학생들에게 역사 증거를 토대로 논쟁을 다양하게 분석할 기회를 제공하고, 나타난 문제에 대해 다양한 시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를 역사적 사고의 특성에 입각해서 연대기 파악력 · 역사적 탐구력 · 역사적 상상력 · 역사적 판단력 네 가지로 구분하고, 하위범주별 특징과 세부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들 하위 범주는 개념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4. 맺음말
본 글에서는 역사적 사고력을 역사가의 사고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보고, 역사 지식을 이용하여 역사 문제에 대한 가설을 산출하거나 해결 방안을 찾으면서 역사 이해에 도달하려는 의도적이고 복합적인 정신활동을 수행하는 인지적 조작 능력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역사적 사고력의 실체를 좀 더 분명히 밝히고, 역사 학습목표 설정의 준거로 삼고자 역사적 사고력의 범주를 연대기 파악력 · 역사적 탐구력 · 역사적 상상력 · 역사적 판단력 네 가지로 설정했다.
역사적 사고력은 이들 하위 범주의 조작 능력이 조합된 것이므로, 역사 학습 목표의 설정에는 내용과 기능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뤄야 한다. 그리고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해서 학생들에게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될 수 있는 한 많이 마련해 줘야함을 명심해야 한다.
지금까지 역사적 상상력의 특징인 하위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역사적 상상력은 증거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서 필요한 범주이지만 반드시 증거에 입각해서 이루어져야 하는 사고 작용이다. 역사적 상상력의 하위 기능으로는 삽입, 증거의 간극 파악 (보간), 감정이입적 이해, 상상적 재구성, 행위의 대안적 해석 등을 들 수 있다.
네 번째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 범주는 역사적 판단력이다. 역사가는 연구 과정에서 외에도 도덕적 판단도 한다. 여기에 학술적 전통에 따라 역사가는 자신의 선입관을 극복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역사는 판단의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사적 판단력은 역사적 논쟁이나 딜레마에 접했을 때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의사 결정을 하는 능력으로, 역사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될 수 있다. 역사적 사고력의 가장 좋은 방법은 학생들에게 역사 증거를 토대로 논쟁을 다양하게 분석할 기회를 제공하고, 나타난 문제에 대해 다양한 시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를 역사적 사고의 특성에 입각해서 연대기 파악력 · 역사적 탐구력 · 역사적 상상력 · 역사적 판단력 네 가지로 구분하고, 하위범주별 특징과 세부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들 하위 범주는 개념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4. 맺음말
본 글에서는 역사적 사고력을 역사가의 사고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보고, 역사 지식을 이용하여 역사 문제에 대한 가설을 산출하거나 해결 방안을 찾으면서 역사 이해에 도달하려는 의도적이고 복합적인 정신활동을 수행하는 인지적 조작 능력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역사적 사고력의 실체를 좀 더 분명히 밝히고, 역사 학습목표 설정의 준거로 삼고자 역사적 사고력의 범주를 연대기 파악력 · 역사적 탐구력 · 역사적 상상력 · 역사적 판단력 네 가지로 설정했다.
역사적 사고력은 이들 하위 범주의 조작 능력이 조합된 것이므로, 역사 학습 목표의 설정에는 내용과 기능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뤄야 한다. 그리고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해서 학생들에게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될 수 있는 한 많이 마련해 줘야함을 명심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