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산후 체력 관리의 필요성
본론 - 산후 체력 관리 방법
*산후 관리
1. 출산 후의 주의사항
2. 분만 후 산모의 상태
* 산후 운동(체조)
* 산후운동의 효과
* 수면과 안정을 취하는 자세
* 산후 몸매 관리
결론 - 산후 체력관리의 효능
본론 - 산후 체력 관리 방법
*산후 관리
1. 출산 후의 주의사항
2. 분만 후 산모의 상태
* 산후 운동(체조)
* 산후운동의 효과
* 수면과 안정을 취하는 자세
* 산후 몸매 관리
결론 - 산후 체력관리의 효능
본문내용
춘다. 숨을 내쉬면서 양발을 좌우로 보낸다.
효과
이 체조는 임신으로 인해 내장의 위치가 이동되어진 경우 특히 좌우로 이동된 것을 수정해주며 또 임신으로 인해 무력해져 있던 위장 간장 신장 대소장에 자극을 주어 그 기능을 높이므로 체내 독소 배설과 몸을 정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수정체조법
똑바로 누워서 양발은 발가락을 당겨서 두다리를 서로 안쪽 방향으로 비튼다. 양손은 주먹잡고 양팔을 서로 안쪽방향으로 비튼다. 숨을 내쉬면서 상체와 양발을 들어올리는데 이때 팔도 다리도 서로 안쪽 방향으로 비틀면서 허리로 바닥을 누른다.
효과
이 체조는 임신으로 인해 허리가 뒤로 휘어진 것을 수 정해주고 또 뒤로 밀려난 히프의 위치를 바르게 잡아 주며 팔(八)자 걸음을 수정해 준다. 또 배를 들어가게하며 복근을 조여준다. 팔다리의 벌어진 관절을 조여 주며 팔다리를 가늘게 해준다 .
수정체조법
엎드려서 두 다리를 펴고 발가락을 뒤로 민다. 양손은 얼굴 앞으로 많이 내어서 손바닥으로 마루에 짚는다. 숨을 내쉬면서 명치는 낮추고 머리부터 일으킨다. 이때 왼쪽다리를 뒤쪽으로 밀어서 조금 참는다. 다음에는 오른쪽 다리를 뒤로 밀어서 조금 참는다. 반복한다.
효과
이 체조는 임신으로 인해 힘이 빠지기 쉬운 허벅지 앞쪽 근육을 강화시켜준다.
결론 - 산후 체력관리의 효능
이 모든 운동은 산후에 산모의 건강과, 산후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것들이다. 산후 비만은 출산을 하고 난 뒤에는 몸조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임신 전의 건강과 체력을 되찾을 수 있다. 임신을 하게 되면 체중이 불어나는데 이것이 빠지지 않아서 비만이 될 수도 있고, 냉증, 탈모, 기미를 비롯한 자율 신경 실조증, 갱년기 장애, 골다공증,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즘, 불감증 등은 산후조리가 좋지 않아 생길 수 있는 병들이다. 보통 산욕기는 4~6주간이다. 이 기간동안 산모는 무리를 하지 않아야 한다. 관절을 비롯한 많이 사용하는 부위가 붓거나 시리고 아프게 된다. 아이를 안거나 젖을 먹일 때도 손목이나 팔, 어깨, 허리 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 고이고 받쳐주는 것이 좋다. 또 정신적으로 우울하고 불안하면 자궁수축이 늦어지고 기혈순환이 정체되어 무력해진다. 웃는 얼굴로 말과 행동을 조심하여 울거나 화를 내지 말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모유분비도 좋고 아이도 편안해진다. 산후에는 체력을 회복시키고 수유를 위해서도 충분한 영양이 필요하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담백한 음식이 좋으며,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 산후조리에 좋은 음식으로 미역과 다시마 등은 열을 식혀주고 피를 맑게 한다. 요오드, 칼륨 등 무기질이 많으므로 권할 만한 식품이다. 잉어나 가물치, 팥, 호박 등은 위장기능을 촉진하고 부기를 내리는데 좋다. 무 잎이나 쑥, 연뿌리 등은 무기물이 많아 산후의 피를 맑1게 하고 지혈과 자궁수축을 도와준다. 산후의 체중조절은 분만 후 6개월에 걸쳐 본래의 체중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모유를 먹인다면 수유기에는 유즙분비를 위해 매일 500칼로리를 더 섭취한다. 통상 수유기를 6개월 정도 지속하는 것이 좋다고 하나 여러 가지 이유로 수유를 중단한다면 임신전의 식생활로 돌아가야 된다. 또한 몸매를 가꾸기 위해서 과식과 가공식품은 피해야 한다. 보통 산후 우울증이나 어렵게 출산을 하고 난 뒤의 보상심리로 식사량을 임신했을 때보다 더 늘리기도 하는데 더 심한 비만이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아랫배에는 꼭 복대를 하고 운동은 산욕기가
끝나는 대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산후에 비만을 관리하기보다는 산전의 체중관리가 더욱 중요해진다. 임신중의 체중관리는 산후비만의 예방차원 뿐 아니라 출산시의 고통을 줄이고, 태아의 과다성장을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비만이 되면 체지방이 증가하여 자연히 자궁 주위, 골반 내부, 분만의 통로에 지방조직이 증가하
게 되므로 난산이 될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산후라고 해서 비만 치료의 원칙이 바뀌지는 않는다. 이처럼 산후 비만은 출산 후의 영향도 있지만 임신 시에 관리를 해줘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산후의 체력관리도 중요하지만 산전의 산모의 관리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목차
서론 - 산후 체력 관리의 필요성
본론 - 산후 체력 관리 방법
*산후 관리
1. 출산 후의 주의사항
2. 분만 후 산모의 상태
* 산후 운동(체조)
* 산후운동의 효과
* 수면과 안정을 취하는 자세
* 산후 몸매 관리
결론 - 산후 체력관리의 효능
효과
이 체조는 임신으로 인해 내장의 위치가 이동되어진 경우 특히 좌우로 이동된 것을 수정해주며 또 임신으로 인해 무력해져 있던 위장 간장 신장 대소장에 자극을 주어 그 기능을 높이므로 체내 독소 배설과 몸을 정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수정체조법
똑바로 누워서 양발은 발가락을 당겨서 두다리를 서로 안쪽 방향으로 비튼다. 양손은 주먹잡고 양팔을 서로 안쪽방향으로 비튼다. 숨을 내쉬면서 상체와 양발을 들어올리는데 이때 팔도 다리도 서로 안쪽 방향으로 비틀면서 허리로 바닥을 누른다.
효과
이 체조는 임신으로 인해 허리가 뒤로 휘어진 것을 수 정해주고 또 뒤로 밀려난 히프의 위치를 바르게 잡아 주며 팔(八)자 걸음을 수정해 준다. 또 배를 들어가게하며 복근을 조여준다. 팔다리의 벌어진 관절을 조여 주며 팔다리를 가늘게 해준다 .
수정체조법
엎드려서 두 다리를 펴고 발가락을 뒤로 민다. 양손은 얼굴 앞으로 많이 내어서 손바닥으로 마루에 짚는다. 숨을 내쉬면서 명치는 낮추고 머리부터 일으킨다. 이때 왼쪽다리를 뒤쪽으로 밀어서 조금 참는다. 다음에는 오른쪽 다리를 뒤로 밀어서 조금 참는다. 반복한다.
효과
이 체조는 임신으로 인해 힘이 빠지기 쉬운 허벅지 앞쪽 근육을 강화시켜준다.
결론 - 산후 체력관리의 효능
이 모든 운동은 산후에 산모의 건강과, 산후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것들이다. 산후 비만은 출산을 하고 난 뒤에는 몸조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임신 전의 건강과 체력을 되찾을 수 있다. 임신을 하게 되면 체중이 불어나는데 이것이 빠지지 않아서 비만이 될 수도 있고, 냉증, 탈모, 기미를 비롯한 자율 신경 실조증, 갱년기 장애, 골다공증,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즘, 불감증 등은 산후조리가 좋지 않아 생길 수 있는 병들이다. 보통 산욕기는 4~6주간이다. 이 기간동안 산모는 무리를 하지 않아야 한다. 관절을 비롯한 많이 사용하는 부위가 붓거나 시리고 아프게 된다. 아이를 안거나 젖을 먹일 때도 손목이나 팔, 어깨, 허리 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 고이고 받쳐주는 것이 좋다. 또 정신적으로 우울하고 불안하면 자궁수축이 늦어지고 기혈순환이 정체되어 무력해진다. 웃는 얼굴로 말과 행동을 조심하여 울거나 화를 내지 말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모유분비도 좋고 아이도 편안해진다. 산후에는 체력을 회복시키고 수유를 위해서도 충분한 영양이 필요하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담백한 음식이 좋으며,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 산후조리에 좋은 음식으로 미역과 다시마 등은 열을 식혀주고 피를 맑게 한다. 요오드, 칼륨 등 무기질이 많으므로 권할 만한 식품이다. 잉어나 가물치, 팥, 호박 등은 위장기능을 촉진하고 부기를 내리는데 좋다. 무 잎이나 쑥, 연뿌리 등은 무기물이 많아 산후의 피를 맑1게 하고 지혈과 자궁수축을 도와준다. 산후의 체중조절은 분만 후 6개월에 걸쳐 본래의 체중으로 돌아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모유를 먹인다면 수유기에는 유즙분비를 위해 매일 500칼로리를 더 섭취한다. 통상 수유기를 6개월 정도 지속하는 것이 좋다고 하나 여러 가지 이유로 수유를 중단한다면 임신전의 식생활로 돌아가야 된다. 또한 몸매를 가꾸기 위해서 과식과 가공식품은 피해야 한다. 보통 산후 우울증이나 어렵게 출산을 하고 난 뒤의 보상심리로 식사량을 임신했을 때보다 더 늘리기도 하는데 더 심한 비만이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아랫배에는 꼭 복대를 하고 운동은 산욕기가
끝나는 대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산후에 비만을 관리하기보다는 산전의 체중관리가 더욱 중요해진다. 임신중의 체중관리는 산후비만의 예방차원 뿐 아니라 출산시의 고통을 줄이고, 태아의 과다성장을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비만이 되면 체지방이 증가하여 자연히 자궁 주위, 골반 내부, 분만의 통로에 지방조직이 증가하
게 되므로 난산이 될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산후라고 해서 비만 치료의 원칙이 바뀌지는 않는다. 이처럼 산후 비만은 출산 후의 영향도 있지만 임신 시에 관리를 해줘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산후의 체력관리도 중요하지만 산전의 산모의 관리 또한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목차
서론 - 산후 체력 관리의 필요성
본론 - 산후 체력 관리 방법
*산후 관리
1. 출산 후의 주의사항
2. 분만 후 산모의 상태
* 산후 운동(체조)
* 산후운동의 효과
* 수면과 안정을 취하는 자세
* 산후 몸매 관리
결론 - 산후 체력관리의 효능
키워드
추천자료
[호텔인사관리론]호텔 인사관리의 필요성 및 교육훈련의 이론적 배경 : 롯데호텔 분석
재정관리의 필요성과 재테크 전략
환위험 관리 수단․방법에 대한 평가 및 개발
임금관리 준거기준 설정 및 접근 방법
[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스트레스 발생][스트레스 관리][stress]스트레스의 개념, 스트레...
[중소기업경영론]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관하여 설명하시오(중소기업 인적자원관리의 정...
[A+평가 레포트]사례관리의 개념, 필요성, 목적, 과정
[위험관리의 의의와 중요성] 중소기업 위험관리의 필요성, 기업위험의 유형(종류)
[노인복지론] 사례관리 - 사례관리의 이해와 사례관리의 구체적인 요소(개념, 기능, 가치, 역...
모니터링과 사례관리 (모니터링목적, 모니터링방법, 재사정, 평가) 보고서
[사무관리 (Office Management)] 사무관리의 개념(정의)과 필요성, 공문서, 문서소통원칙, 문...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하시오 [아동안전관리]
[체력육성법] 체력의 정의와 구성요소, 트레이닝의 원칙과 방법, 근력트레이닝(등척성-등장성...
[자원복지 관리기술] 자원개발의 의의와 필요성, 마케팅전략에 따른 자원개발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