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당 창건과정에서 나타난 전위당 지상주의
(2) 파벌 투쟁과 화요파 당의 문제
(3) 당강령의 부재와 정치노선의 문제
(4) 신간회의 해소와 통일전선문제
(2) 파벌 투쟁과 화요파 당의 문제
(3) 당강령의 부재와 정치노선의 문제
(4) 신간회의 해소와 통일전선문제
본문내용
기 때문에 노동자와 농민의 조직적 진출을 가로막았던 점도 노동자 계급의 헤게모니 장악을 어렵게 만들었을 것이다. 또한 합법 공간의 이용에 대한 지나친 기대로 일제의 탄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점 등이 그 실패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아니라 신간회에는 공산주의자들이 많이 진출하고 있었지만 중앙조직과 지방조직의 상당수가 지역의 명망가나 민족주의자로 채워져 있었다. 이와 같은 조직구성은 1928년 ‘조공’ 3, 4차 조직의 대 검거로 인해 신간회 지부의 간부들이 검거되는 상황이 발생하자 신간회는 점차 민족주의자들이 활개치는 기관으로 전락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들은 일제의 탄압에 극심한 동요를 일으켜 급속히 우경화되기 시작했다.
신간회의 해소는 이런 배경속에서 결정되었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과 원산총파업 등으로 대중적 진출이 두드러짐에도 불구하고 신간회는 겨우 대중 연설을 통한 사후적인 활동에 머물렀다. 이제 신간회 상층부의 우경화가 대중과 연대할 수 없을 만큼 명백하게 되었다. 통일전선 운동은 일제에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물적 토대를 가진 대상과의 연대가 되어야 하는데 그 대상의 한 축인 민족주의 계열이 사실상 몰락하는 상황에서 통전의 계속성은 허구적인 논리에 불과하였다.
즉 신간회 운동의 실패 이유를 단순히 ‘조공’의 조직, 사상적인 지도의 부재로 몰고 가서만은 안된다는 것이다. 해소문제에 있어서도 비록 ‘조공’이 12월 테제를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좌익적 결정을 내렸지만, 연대할 대상이 사실상의 정치적인 물적 토대를 상실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해소 결정만을 나무랄 수는 없을 것이다.
뿐만아니라 신간회에는 공산주의자들이 많이 진출하고 있었지만 중앙조직과 지방조직의 상당수가 지역의 명망가나 민족주의자로 채워져 있었다. 이와 같은 조직구성은 1928년 ‘조공’ 3, 4차 조직의 대 검거로 인해 신간회 지부의 간부들이 검거되는 상황이 발생하자 신간회는 점차 민족주의자들이 활개치는 기관으로 전락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들은 일제의 탄압에 극심한 동요를 일으켜 급속히 우경화되기 시작했다.
신간회의 해소는 이런 배경속에서 결정되었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과 원산총파업 등으로 대중적 진출이 두드러짐에도 불구하고 신간회는 겨우 대중 연설을 통한 사후적인 활동에 머물렀다. 이제 신간회 상층부의 우경화가 대중과 연대할 수 없을 만큼 명백하게 되었다. 통일전선 운동은 일제에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물적 토대를 가진 대상과의 연대가 되어야 하는데 그 대상의 한 축인 민족주의 계열이 사실상 몰락하는 상황에서 통전의 계속성은 허구적인 논리에 불과하였다.
즉 신간회 운동의 실패 이유를 단순히 ‘조공’의 조직, 사상적인 지도의 부재로 몰고 가서만은 안된다는 것이다. 해소문제에 있어서도 비록 ‘조공’이 12월 테제를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좌익적 결정을 내렸지만, 연대할 대상이 사실상의 정치적인 물적 토대를 상실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해소 결정만을 나무랄 수는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