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3. 팔꿈치를 구부리면서 왼팔을 물에서 빼낸다. 물속에 있는 오른팔은 팔꿈치를 높이 유지한 상태에서 뒤쪽 아래로 구부리면서 물 젓기를 시작한다.
4. 왼팔이 리커버리 되는 동안 오른팔은 물 젓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수면과 물을 젓는 팔의 팔꿈치가 이루는 각은 90? 가 된다.
5. 오른팔을 엉덩이쪽으로 밀면서 왼팔은 전방으로 밀어준다.
6. 팔꿈치가 먼저 물속에서 나오도록 오른팔을 빼내고 왼팔은 물을 아래쪽으로 밀어 당기기 시작한다.
Recovery (리커버리)
물에서 팔동작이 완료되면 손을 빼올려 어깨 전방으로 옮기는 상태. 평영에서는 다리를 끌어 오는 동작을 말한다.
팔동작
Pull과 recovery
팔 동작은 편의상 Pull과 recovery 두 가지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Pull
입수 시 손은 거의 편 상태여야 하며 손가락이 입수되었을 때 팔꿈치는 편안하게 어느 정도 구부러져 있어야 한다.
Pull의 첫 단계에서는 팔부터 시작하여 전완 순서로 이어지며 손이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어서 매우 큰 원 형태를 취하게 된다. 척골의 끝도 약간 위쪽으로 회전된다. 손목은 약간 밑으로 구부러져 있다.
손가락이 처음에 입수하고 그 다음 손목 전완 팔꿈치 순서로 입수한다. 엄지손가락은 새끼손가락 보다 약간 낮게 경사진다.
Pull의 중반부에서 팔꿈치는 반드시 바깥쪽으로 향해 있어야 한다. Pull은 S자 모양으로 움직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 손바닥면은 pull의 진행에 따라 바깥쪽으로 움직였다가 안쪽으로 다시 바깥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Pull은 팔이 완전히 펴지기 전에 끝나게 되고 엄지손가락이 허벅지를 스쳐 나가는 순간에 손을 들어 올려 recovery 동작에 들어간다.
Recovery
Recovery로 들어가기 위한 미는 단계는 수면 밑에서 이루어진다.
팔이 물 밖으로 들어 올려질 때 팔이 구부러져 있어야 하며 몸의 롤링 때문에 어깨는 처음에 물 수면 밖으로 보였다가 그 다음 상완과 팔꿈치 손목 그리고 마지막으로 손이 나온다.
팔꿈치는 위로 높이 들려 있다. 전완이 약간 느슨하게 되어서 팔꿈치부터 되돌리기를 시작한다.
되돌리기의 중반부에서 손가락은 전완이 재입수되는 지점으로 인도된다.
이렇게 손이 팔꿈치를 끌고 다니는 형태는 어깨관절을 보다 나은 형태로 작용하게끔 해준다.
좌우롤링
노 브리싱(무호흡)으로 크롤에 롤링을 연습해 본다. 우선 수영장 바닥에 가상의 일직선을 그어놓고 시선은 그 선을 따라가며 자유형 팔동작을 한다. 몸을 좌우 45°정도 기울이면서, 어깨가 충분히 나오게 하고 몸의 롤링 감각을 익혀 본다. 롤링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를 보면 호흡하려고 고개만 돌리게되고 머리→어깨→허리→다리로 이어지는 롤링은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이점을 유의해서 연습을 하다 보면 몸의 롤링이 충분히 이루어진다. 참고로 사이드 킥( 몸을 90°각도 옆으로 틀어서 자유형 킥을 한다)을 충분히 연습을 하면, 몸의 롤링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자유형킥, 배영킥 두종목의 킥을 다 잘 할 수 있게 된다.
스트로크를 최대한 이용한다.
충분한 팔 동작을 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기 위해 뒤로 물을 밀든지, 손끝이 엉덩이나 넓적다리 옆에 닿은 다음, 수면 위로 팔을 들어올린다.
캐치(물 잡는 동작)
물 을 잡는 동작에 있어서 S, ?, ↓(일자) 의 여러 가지 의논과 연구 자료가 많이 있지만, 세계적인 유명한 선수들을 보면 거의 ↓(일자) 형태로 물을 캐치한다. 물론 자신의 체형이나, 근력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자신에 맞는 캐치 법을 찾아 연습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캐치, 푸시의 힘과 속도 조절
물을 캐치 할 때는 20∼40% 정도의 힘 과, 약간 느린 속도로 물을 캐치하고, 푸시 할 때는 60∼100% 이상의 힘을 주며 빠르게 푸시 한다. 그리고 리커버리 할 때는 0%에 가깝게 힘을 빼주어야 한다.
자유형의 팔꿈치 높이기 동작
자유형 선수는 물 긁기를 할 때 팔꿈치가 높게 유지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동작은 근력을 몸통과 상완에 전달해주기 때문에 단순히 떠 있는 동작이라고 하기 보다는 최대근력을 사용하는데 중요한 기술이다.
팔이 높게 유지되는 시간이 너무 길게 되면 팔의 동작이 너무 과장되고 딱딱하게 될 수도 있다.
기술이 부족한 영자들은 그들의 팔꿈치를 떨어뜨리고 수영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물이 손에서 미끄러져 나가기 때문에 근력을 물 긁는데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팔 젓기 시 손이 몸의 중심선 너머까지 가로질러가는 영법을 터득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Pull (풀)
수영의 팔젓기 동작. 연습에서는 손만의 연습 P라는 약자를 쓴다.
연결동작
몸 전체의 움직임을 완전히 익힌 단계에서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 것이 스트로크와 킥의 콤비네이션이다.
콤비네이션 기본
크롤 영법에서 콤비네이션의 기본은 보행동작에 있다. 2킥으로 수영할 때 손발의 밸런스는 보행할 때와 같다. 다라서 스트로크와 킥의 관계를 연습에 의해 완전히 익힌 경우는 킥을 하지 않고 팔만으로 헤엄쳐 본다. 팔의 움직임에 맞추어 한번 스트로크에 자연스럽게 다리가 두 번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점을 의식하여 킥을 하면, 2비트 영법이 완성된다.
(보행 동작과 같다)
사람이 걸을 때의 손발의 움직임. 오른손이 앞으로 나오면 자연적으로 왼발이 앞으로 나온다.
(2비트 수영)
2비트의 수영 동작, 오른팔이 입수하면 왼발이 내려가는 상태.
6킥 영법
논리적으로 그다지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스트로크 한 번 할 때 차는 킥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2킥의 포인트만 잡는다면 킥은 자연스럽게 6킥이 된다. 단 초보자일 경우는 자신의 킥 수를 본인이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사람에게 체크해 달라고 부탁한다. 왜냐하면, 수영은 콤비네이션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킥이 꼭 6킥이 아니더라도 기본이 되는 타이밍만 맞춘다면 무리하게 교정할 필요는 없다.
참고사이트
http://www.finflier.com
http://www.swimdoctor.co.kr
http://www.aqus.co.kr
http://www.bestswim.co.kr
http://kr.yahoo.com
3. 팔꿈치를 구부리면서 왼팔을 물에서 빼낸다. 물속에 있는 오른팔은 팔꿈치를 높이 유지한 상태에서 뒤쪽 아래로 구부리면서 물 젓기를 시작한다.
4. 왼팔이 리커버리 되는 동안 오른팔은 물 젓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수면과 물을 젓는 팔의 팔꿈치가 이루는 각은 90? 가 된다.
5. 오른팔을 엉덩이쪽으로 밀면서 왼팔은 전방으로 밀어준다.
6. 팔꿈치가 먼저 물속에서 나오도록 오른팔을 빼내고 왼팔은 물을 아래쪽으로 밀어 당기기 시작한다.
Recovery (리커버리)
물에서 팔동작이 완료되면 손을 빼올려 어깨 전방으로 옮기는 상태. 평영에서는 다리를 끌어 오는 동작을 말한다.
팔동작
Pull과 recovery
팔 동작은 편의상 Pull과 recovery 두 가지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Pull
입수 시 손은 거의 편 상태여야 하며 손가락이 입수되었을 때 팔꿈치는 편안하게 어느 정도 구부러져 있어야 한다.
Pull의 첫 단계에서는 팔부터 시작하여 전완 순서로 이어지며 손이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어서 매우 큰 원 형태를 취하게 된다. 척골의 끝도 약간 위쪽으로 회전된다. 손목은 약간 밑으로 구부러져 있다.
손가락이 처음에 입수하고 그 다음 손목 전완 팔꿈치 순서로 입수한다. 엄지손가락은 새끼손가락 보다 약간 낮게 경사진다.
Pull의 중반부에서 팔꿈치는 반드시 바깥쪽으로 향해 있어야 한다. Pull은 S자 모양으로 움직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 손바닥면은 pull의 진행에 따라 바깥쪽으로 움직였다가 안쪽으로 다시 바깥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Pull은 팔이 완전히 펴지기 전에 끝나게 되고 엄지손가락이 허벅지를 스쳐 나가는 순간에 손을 들어 올려 recovery 동작에 들어간다.
Recovery
Recovery로 들어가기 위한 미는 단계는 수면 밑에서 이루어진다.
팔이 물 밖으로 들어 올려질 때 팔이 구부러져 있어야 하며 몸의 롤링 때문에 어깨는 처음에 물 수면 밖으로 보였다가 그 다음 상완과 팔꿈치 손목 그리고 마지막으로 손이 나온다.
팔꿈치는 위로 높이 들려 있다. 전완이 약간 느슨하게 되어서 팔꿈치부터 되돌리기를 시작한다.
되돌리기의 중반부에서 손가락은 전완이 재입수되는 지점으로 인도된다.
이렇게 손이 팔꿈치를 끌고 다니는 형태는 어깨관절을 보다 나은 형태로 작용하게끔 해준다.
좌우롤링
노 브리싱(무호흡)으로 크롤에 롤링을 연습해 본다. 우선 수영장 바닥에 가상의 일직선을 그어놓고 시선은 그 선을 따라가며 자유형 팔동작을 한다. 몸을 좌우 45°정도 기울이면서, 어깨가 충분히 나오게 하고 몸의 롤링 감각을 익혀 본다. 롤링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를 보면 호흡하려고 고개만 돌리게되고 머리→어깨→허리→다리로 이어지는 롤링은 잘 안 되는 경우가 많다. 이점을 유의해서 연습을 하다 보면 몸의 롤링이 충분히 이루어진다. 참고로 사이드 킥( 몸을 90°각도 옆으로 틀어서 자유형 킥을 한다)을 충분히 연습을 하면, 몸의 롤링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자유형킥, 배영킥 두종목의 킥을 다 잘 할 수 있게 된다.
스트로크를 최대한 이용한다.
충분한 팔 동작을 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기 위해 뒤로 물을 밀든지, 손끝이 엉덩이나 넓적다리 옆에 닿은 다음, 수면 위로 팔을 들어올린다.
캐치(물 잡는 동작)
물 을 잡는 동작에 있어서 S, ?, ↓(일자) 의 여러 가지 의논과 연구 자료가 많이 있지만, 세계적인 유명한 선수들을 보면 거의 ↓(일자) 형태로 물을 캐치한다. 물론 자신의 체형이나, 근력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자신에 맞는 캐치 법을 찾아 연습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캐치, 푸시의 힘과 속도 조절
물을 캐치 할 때는 20∼40% 정도의 힘 과, 약간 느린 속도로 물을 캐치하고, 푸시 할 때는 60∼100% 이상의 힘을 주며 빠르게 푸시 한다. 그리고 리커버리 할 때는 0%에 가깝게 힘을 빼주어야 한다.
자유형의 팔꿈치 높이기 동작
자유형 선수는 물 긁기를 할 때 팔꿈치가 높게 유지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동작은 근력을 몸통과 상완에 전달해주기 때문에 단순히 떠 있는 동작이라고 하기 보다는 최대근력을 사용하는데 중요한 기술이다.
팔이 높게 유지되는 시간이 너무 길게 되면 팔의 동작이 너무 과장되고 딱딱하게 될 수도 있다.
기술이 부족한 영자들은 그들의 팔꿈치를 떨어뜨리고 수영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물이 손에서 미끄러져 나가기 때문에 근력을 물 긁는데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팔 젓기 시 손이 몸의 중심선 너머까지 가로질러가는 영법을 터득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Pull (풀)
수영의 팔젓기 동작. 연습에서는 손만의 연습 P라는 약자를 쓴다.
연결동작
몸 전체의 움직임을 완전히 익힌 단계에서 중요한 포인트가 되는 것이 스트로크와 킥의 콤비네이션이다.
콤비네이션 기본
크롤 영법에서 콤비네이션의 기본은 보행동작에 있다. 2킥으로 수영할 때 손발의 밸런스는 보행할 때와 같다. 다라서 스트로크와 킥의 관계를 연습에 의해 완전히 익힌 경우는 킥을 하지 않고 팔만으로 헤엄쳐 본다. 팔의 움직임에 맞추어 한번 스트로크에 자연스럽게 다리가 두 번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점을 의식하여 킥을 하면, 2비트 영법이 완성된다.
(보행 동작과 같다)
사람이 걸을 때의 손발의 움직임. 오른손이 앞으로 나오면 자연적으로 왼발이 앞으로 나온다.
(2비트 수영)
2비트의 수영 동작, 오른팔이 입수하면 왼발이 내려가는 상태.
6킥 영법
논리적으로 그다지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스트로크 한 번 할 때 차는 킥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2킥의 포인트만 잡는다면 킥은 자연스럽게 6킥이 된다. 단 초보자일 경우는 자신의 킥 수를 본인이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사람에게 체크해 달라고 부탁한다. 왜냐하면, 수영은 콤비네이션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킥이 꼭 6킥이 아니더라도 기본이 되는 타이밍만 맞춘다면 무리하게 교정할 필요는 없다.
참고사이트
http://www.finflier.com
http://www.swimdoctor.co.kr
http://www.aqus.co.kr
http://www.bestswim.co.kr
http://kr.yahoo.com
추천자료
사형제도 폐지
제주도 펜션 및 휴양주택단지 시장현황 및 운영실태 분석
아동학대의 개념 및 원인, 현황, 향후과제
수영이론
사회봉사명령제도의 운용실태 및 과정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수영에 관한 레포트
보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사형제도 논란
사형제도의 법적관점에의 고찰
우리나라의 교정행정
창업기업 조세(세금, 세무)의 종류, 창업기업 조세(세금, 세무)의 지원대상, 창업기업 조세(...
소자본점포창업(소점포창업, 소자본창업)의 정의, 소자본점포창업(소점포창업, 소자본창업)의...
기도부흥 프로젝트 요약정리 (성경형 기도, 관계형 기도, 소원형 기도, 영성 개발형 기도, 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