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상적 사회주의
2) 제1인터내셔널(1864∼1872)
3) 제2인터내셔널(1889∼1914)
4)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 1919-1943)
5) 유로코뮤니즘
2) 제1인터내셔널(1864∼1872)
3) 제2인터내셔널(1889∼1914)
4)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 1919-1943)
5) 유로코뮤니즘
본문내용
선과 약진은 한편으로 소련의 대외정책변화와 현실사회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Timmermann 1978, 21-23),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의 일정한 변화가 당시 68운동의 사회적 분위기와도 맞물림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다. 공산주의를 기본이념으로 한다는 점에서 유로코뮤니즘 정당들은 여전히 공산주의 사회의 건설을 목표로 하는 프롤레타리아 정당이었던 것이다.
유로코뮤니즘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이념은 민족적, 의회주의적 공산주의 사상이다. 유로코뮤니스트 정당들은 소련의 대외정책에서 소련의 국가이익 추구를 보았으며, 동구권의 현실사회주의에서 더 이상 혁명의 범례를 추구하지 않게 된 것이었다(Timmermann 1978, 21-23). 이탈리아 공산당을 선두로 이 정당들은 프롤레타리아 폭력혁명과 그에 따른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를 포기하였다. 그러나 공산주의 정당으로 잔존하게 되기는 했으나, 유로코뮤니스트 정당들은 구체적 집권전략에서 사민주의 정당들과의 차별성을 명확히 하는데 실패했다. 1990년대에 이탈리아 공산당이 '공산주의' 이념을 당명과 강령에서 삭제하고 사회주의 인터내셔날(SI)에 가입하게 된 것은 이러한 역정과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유로코뮤니즘을 규정하는 핵심적인 이념은 민족적, 의회주의적 공산주의 사상이다. 유로코뮤니스트 정당들은 소련의 대외정책에서 소련의 국가이익 추구를 보았으며, 동구권의 현실사회주의에서 더 이상 혁명의 범례를 추구하지 않게 된 것이었다(Timmermann 1978, 21-23). 이탈리아 공산당을 선두로 이 정당들은 프롤레타리아 폭력혁명과 그에 따른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를 포기하였다. 그러나 공산주의 정당으로 잔존하게 되기는 했으나, 유로코뮤니스트 정당들은 구체적 집권전략에서 사민주의 정당들과의 차별성을 명확히 하는데 실패했다. 1990년대에 이탈리아 공산당이 '공산주의' 이념을 당명과 강령에서 삭제하고 사회주의 인터내셔날(SI)에 가입하게 된 것은 이러한 역정과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표트르 개혁정책,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 페레스트로이카의 특징비교
[현대사회와 이데올로기] 민주적 사회주의와 '평등'
(서평)패퍼 사회주의와 생태주의
중국의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 마르크스와 마우쩌둥의 사회주의에 대하여..
사회국가(사회민주국가)와 사회주의국가의 구별,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할 국가형태
카프(K.A.P.F)문학과 이에 나타난 사회주의 리얼리즘
마르크스(맑스)의 사회주의 혁명 이론
19세기 중반 프랑스 나폴레옹 3세의 집권과 사회주의
중국의 교육개혁 (사회주의 시장경제에 있어서.......)
사회복지의 기본이념 중 페이비언 사회주의와 제 3의 길의 이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사회과학] 북한과 중국의 사회주의에 관해서
[요약] 성, 계급, 사회주의 (저자 - 린지 저먼 역자 - 장경선)
[책요약] 실현가능한 사회주의의 미래 - 알렉 노브 저
경제학)경제사적으로 사회주의의 성립, 발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