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이편'에 나타나는 탈해의 정체와 이와 관련된 신라와 가야의 기록이 차이나는 배경의 파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제제시

(2) 자료제시
1) “제4탈해왕” 조에 보이는 수로왕 관련기록
2) “가락국기”에 보이는 탈해 관련 기록
3) 탈해가 왕위에 오르기까지의 기록

(3) 자료해석
1) 탈해의 특징분석
2) 탈해와 수로왕사이의 사건에 대한 신라와 가야 자료의 입장차이 문제

본문내용

용으로 한다. ‘가락국기’의 기록으로 보아 수로세력이 탈해세력을 자체적인 힘으로 제압축출할 수 있었다고 판단되고, ‘제4탈해왕’의 기록 또한 이와 관련하여 이견이나 다른 입장을 보이지 않으므로, ‘가락국기’의 기록은 대체로 믿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제4탈해왕’의 기록은 탈해세력의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함에 있어 세력의 기본적 성격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복지향적인 것을 비추어 판단할 때 윤색되지 않았나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고 본다. ‘제4탈해왕’기록은 ‘수로왕이 신하와 백성들과 북을 치고 떠들면서 맞아들여 머물러 두고자 했으나, 배는 빨리 달아나…….’라고 기록하여, 탈해세력이 의도적으로 가야에서 머무르지 않았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탈해세력의 성격을 감안 할 때 탈해세력이 신라에 들어와 살 집을 빼앗고, 남해왕이 이를 보고 탈해를 지혜로운 사람이라 여겨 맏딸을 시집보냈다 함은 세력이 머무를 땅을 빼앗고, 신라왕이 탈해의 세력을 만만치 않다고 보아 회유하려 했다고 해석 할 수도 있다. 또한 탈해집단은 결국 신라의 왕위를 차지하게 되며, 역사기록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런 신라와 가야의 입장 차이가 기록 간에 차이가 생기게 된 배경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목차
(1) 주제제시
(2) 자료제시
1) “제4탈해왕” 조에 보이는 수로왕 관련기록
2) “가락국기”에 보이는 탈해 관련 기록
3) 탈해가 왕위에 오르기까지의 기록
(3) 자료해석
1) 탈해의 특징분석
2) 탈해와 수로왕사이의 사건에 대한 신라와 가야 자료의 입장차이 문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