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특징, 시장 활용, 개발년도)
2. 개발자 및 업체
3. 발명과정
4. 구조, 원리, 효과
5. 장 ․ 단점
6. 발달 변천사, 관련제품
7. 사회영향
8. 관련자료, 참고문헌
2. 개발자 및 업체
3. 발명과정
4. 구조, 원리, 효과
5. 장 ․ 단점
6. 발달 변천사, 관련제품
7. 사회영향
8. 관련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른 특징 및 장단점
① 냉각방식에 따른 분류
구분
직냉식 (자연대류방식)
간냉식 (강제순환방식)
특징
냉각기의 차가운 냉기를 자연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를 냉각시켜주는 방식
냉각팬에 의해 냉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냉장고 내부를 냉각시켜주는 방식
장점
* 전기소모량이 적다.
* 소음이 적다.
* 성에 제거시 별도의 동작이 필요없다.
* 냉장고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다.
단점
* 수동으로 성에를 제거해야 한다.
* 냉장고 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지 않다.
* 전기소모량이 많다.
* 소음이 크다.
② 냉동실의 위치에 따른 분류
구분
탑마운트
콤비
양문여닫이
형태
냉동실
냉장실
냉동실
냉장실
냉동실
냉장실
장점
* 설계적인 제품구현이
쉽다.
* 안정적으로 보인다.
* 폭이 넓은 식품 보관이
편리하다.
* 냉장실 활용도가 높다.
* 인체공학적으로 사용이
편리하다.
* 냉동실 활용도가 높다.
* 폭이 넓은 식품 보관이
편리하다.
* 도어 개폐 시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 수납이 편리하다.
* 보관식품의 확인이 쉽다.
* 내부 구조가 안정적이다.
* 키가 큰 식품 보관이
편리하다.
단점
* 냉동실 사용성이
떨어진다.
* 도어개폐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 냉장실 상단 사용이
불편하다.
* 도어 개폐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 설계적인 제품구현이
어렵다.
* 폭이 넓은 식품 보관이
불편하다.
2) 현실적인 장 단점
① 장점
ⓐ 먹다 남은 음식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 오랫동안 음식 보관이 가능하다.
② 단점
ⓐ 음식을 지나치게 오래 보관하게 되어 음식을 낭비하게 된다.
ⓑ 오래 보관된 음식은 신선도가 떨어진다.
ⓒ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6. 발달 변천사
1) 중국의 얼음 지하실
광대한 영토와 역사만큼이나 다양하고 풍부한 요리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인들은 기원전 1000년 무렵부터 얼음을 지하실에 보관하여 음식을 상하지 않도록 저장하였다.
2) 석빙고
얼음이 귀했던 옛날에 얼음을 저장하고 일년 내내 꺼내 쓰던 돌로 만든 창고로 신라시대때 만들어졌다.
3) 동빙고 서빙고
조선왕조에서는 태조 5년 한강변에 '동빙고'를 설치하고, 그 후 다시 4.7Km 떨어진 둔지산기슭 한강변에 '서빙고'를 두어 해마다 한강에 얼음이 얼면 그것을 떠다가 저장하였다.
4) 냉장기술의 연구 개발
14세기경 역시 음식의 냉장 보관법을 일찍 터득한 중국에서 제일 먼저, 그리고 이탈리아에서는 17세기경에 소금물의 증발이 물체의 열을 빼앗아가 소금물이 저장된 용기는 차가운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액체가 기화될 때의 기화열을 이용하는 지금의 전기냉장고의 원리와 비슷한 원시적인 형태의 원리를 이미 터득했으나 쉽사리 응용되지 못했다.
이처럼 음식을 단순히 눈이나 얼음에 싸두는 것 외에 인공적으로 냉장 보관하기 위한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어진 것은 19세기 초반부터였다.
영국 런던에 사는 68세의 제이콥 퍼킨스는 얼음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압축기를 만들어 1834년에 특허를 받았다. 퍼킨스는 압축시킨 에테르가 냉각 효과를 내면서 증발하였다가 응축되는 원리를 이용하였는데, 이 기계는 오늘날 가정용 냉장고가 탄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5) 전기냉장고
최초의 가정용 전기냉장고는 1918년 미국 캘비네이터사에서 개발되었다.
1930년대에 미국에서 극도로 축소된 압축기가 개발되면서 캐비닛 모양의 상자에 압축기를 장착한 현재 형태의 냉장고가 선보이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65년 금성사에서 최초로 국산 냉장고를 개발하여 오늘날 각종 국내ㆍ외 냉장고가 선보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김치전용 냉장고도 판매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6) 21세기형 냉장고
21세기에는 소음도 없고 환경파괴의 위험도 전혀 없으면서 기능이 다양한 전자 냉장고가 등장한다고 한다. 지금까지는 냉장고 안을 순환하는 액체(냉매)가 기체로 변하면서 냉장고 안에 있는 음식물에서 열을 빼앗아 냉각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앞으로 나올 전자 냉장고는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프레온 가스 같은 냉매와 이를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가 필요 없는 전혀 새로운 냉동법을 사용할 것이라고 한다.
7. 관련제품
1) 김치냉장고
일반 냉장고는 일정 기간 냉각을 반복하기 때문에 냉장고 안의 온도 차이가 심하다. 따라서 냉장고에 김치를 보관할 경우 일주일 정도면 맛이 쉬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김치만을 따로 보관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냉장고를 말한다.
일반 냉장고는 문을 열면 무거운 한랭공기가 바닥으로 쏟아져 흘러내리면서 뜨거운 공기가 유입된다. 이 때문에 문을 닫으면 다시 냉각시켜 본래의 온도까지 도달하는 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김치냉장고는 서랍식 또는 상부 개폐식으로 만들어져 문을 열더라도 냉기가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아 원래의 냉장고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김치냉장고는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공기보다 무거워 위로 솟아나오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일반 냉장고와 구별되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이러한 냉장고 내부의 냉기 단속능력이다.
김치냉장고를 이용하면 싱싱한 김치를 보통 4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는데, 숙성기에는 온도를 5~7℃로 유지하고, 그 뒤에는 0℃로 조정해 놓으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처음에는 김치전용 냉장고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과일·야채·육류 등도 얼지 않은 신선한 상태로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김치냉장고가 등장하고 있다.
2) 와인냉장고
포도주의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포도주는 레드와인의 경우 13∼18℃, 화이트와인의 경우 5∼8℃ 상태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이를 서로 다른 온도에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습도를 60∼80%로 유지시켜 코르크마개의 상태도 최적으로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3) 화장품냉장고
화장품을 신선하게 유지 보관하는 냉장고를 말한다. 화장품은 보통 에서 보관할 때 가장 좋은데, 열전도 반도체 냉각방식으로 이온도를 유지시켜 화장품을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화장품 성분이 피부미용에 좋은 효과를 내게 해준다.
8. 관련자료, 참고문헌
[에어컨 및 냉장고 구조와 원리]
① 냉각방식에 따른 분류
구분
직냉식 (자연대류방식)
간냉식 (강제순환방식)
특징
냉각기의 차가운 냉기를 자연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를 냉각시켜주는 방식
냉각팬에 의해 냉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냉장고 내부를 냉각시켜주는 방식
장점
* 전기소모량이 적다.
* 소음이 적다.
* 성에 제거시 별도의 동작이 필요없다.
* 냉장고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다.
단점
* 수동으로 성에를 제거해야 한다.
* 냉장고 내의 온도분포가 균일하지 않다.
* 전기소모량이 많다.
* 소음이 크다.
② 냉동실의 위치에 따른 분류
구분
탑마운트
콤비
양문여닫이
형태
냉동실
냉장실
냉동실
냉장실
냉동실
냉장실
장점
* 설계적인 제품구현이
쉽다.
* 안정적으로 보인다.
* 폭이 넓은 식품 보관이
편리하다.
* 냉장실 활용도가 높다.
* 인체공학적으로 사용이
편리하다.
* 냉동실 활용도가 높다.
* 폭이 넓은 식품 보관이
편리하다.
* 도어 개폐 시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 수납이 편리하다.
* 보관식품의 확인이 쉽다.
* 내부 구조가 안정적이다.
* 키가 큰 식품 보관이
편리하다.
단점
* 냉동실 사용성이
떨어진다.
* 도어개폐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 냉장실 상단 사용이
불편하다.
* 도어 개폐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 설계적인 제품구현이
어렵다.
* 폭이 넓은 식품 보관이
불편하다.
2) 현실적인 장 단점
① 장점
ⓐ 먹다 남은 음식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 오랫동안 음식 보관이 가능하다.
② 단점
ⓐ 음식을 지나치게 오래 보관하게 되어 음식을 낭비하게 된다.
ⓑ 오래 보관된 음식은 신선도가 떨어진다.
ⓒ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6. 발달 변천사
1) 중국의 얼음 지하실
광대한 영토와 역사만큼이나 다양하고 풍부한 요리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인들은 기원전 1000년 무렵부터 얼음을 지하실에 보관하여 음식을 상하지 않도록 저장하였다.
2) 석빙고
얼음이 귀했던 옛날에 얼음을 저장하고 일년 내내 꺼내 쓰던 돌로 만든 창고로 신라시대때 만들어졌다.
3) 동빙고 서빙고
조선왕조에서는 태조 5년 한강변에 '동빙고'를 설치하고, 그 후 다시 4.7Km 떨어진 둔지산기슭 한강변에 '서빙고'를 두어 해마다 한강에 얼음이 얼면 그것을 떠다가 저장하였다.
4) 냉장기술의 연구 개발
14세기경 역시 음식의 냉장 보관법을 일찍 터득한 중국에서 제일 먼저, 그리고 이탈리아에서는 17세기경에 소금물의 증발이 물체의 열을 빼앗아가 소금물이 저장된 용기는 차가운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액체가 기화될 때의 기화열을 이용하는 지금의 전기냉장고의 원리와 비슷한 원시적인 형태의 원리를 이미 터득했으나 쉽사리 응용되지 못했다.
이처럼 음식을 단순히 눈이나 얼음에 싸두는 것 외에 인공적으로 냉장 보관하기 위한 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어진 것은 19세기 초반부터였다.
영국 런던에 사는 68세의 제이콥 퍼킨스는 얼음을 인공적으로 만드는 압축기를 만들어 1834년에 특허를 받았다. 퍼킨스는 압축시킨 에테르가 냉각 효과를 내면서 증발하였다가 응축되는 원리를 이용하였는데, 이 기계는 오늘날 가정용 냉장고가 탄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5) 전기냉장고
최초의 가정용 전기냉장고는 1918년 미국 캘비네이터사에서 개발되었다.
1930년대에 미국에서 극도로 축소된 압축기가 개발되면서 캐비닛 모양의 상자에 압축기를 장착한 현재 형태의 냉장고가 선보이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65년 금성사에서 최초로 국산 냉장고를 개발하여 오늘날 각종 국내ㆍ외 냉장고가 선보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김치전용 냉장고도 판매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6) 21세기형 냉장고
21세기에는 소음도 없고 환경파괴의 위험도 전혀 없으면서 기능이 다양한 전자 냉장고가 등장한다고 한다. 지금까지는 냉장고 안을 순환하는 액체(냉매)가 기체로 변하면서 냉장고 안에 있는 음식물에서 열을 빼앗아 냉각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앞으로 나올 전자 냉장고는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프레온 가스 같은 냉매와 이를 순환시키기 위한 압축기가 필요 없는 전혀 새로운 냉동법을 사용할 것이라고 한다.
7. 관련제품
1) 김치냉장고
일반 냉장고는 일정 기간 냉각을 반복하기 때문에 냉장고 안의 온도 차이가 심하다. 따라서 냉장고에 김치를 보관할 경우 일주일 정도면 맛이 쉬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김치만을 따로 보관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냉장고를 말한다.
일반 냉장고는 문을 열면 무거운 한랭공기가 바닥으로 쏟아져 흘러내리면서 뜨거운 공기가 유입된다. 이 때문에 문을 닫으면 다시 냉각시켜 본래의 온도까지 도달하는 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김치냉장고는 서랍식 또는 상부 개폐식으로 만들어져 문을 열더라도 냉기가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아 원래의 냉장고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김치냉장고는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공기보다 무거워 위로 솟아나오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일반 냉장고와 구별되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이러한 냉장고 내부의 냉기 단속능력이다.
김치냉장고를 이용하면 싱싱한 김치를 보통 4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는데, 숙성기에는 온도를 5~7℃로 유지하고, 그 뒤에는 0℃로 조정해 놓으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처음에는 김치전용 냉장고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과일·야채·육류 등도 얼지 않은 신선한 상태로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김치냉장고가 등장하고 있다.
2) 와인냉장고
포도주의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포도주는 레드와인의 경우 13∼18℃, 화이트와인의 경우 5∼8℃ 상태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이를 서로 다른 온도에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습도를 60∼80%로 유지시켜 코르크마개의 상태도 최적으로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3) 화장품냉장고
화장품을 신선하게 유지 보관하는 냉장고를 말한다. 화장품은 보통 에서 보관할 때 가장 좋은데, 열전도 반도체 냉각방식으로 이온도를 유지시켜 화장품을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화장품 성분이 피부미용에 좋은 효과를 내게 해준다.
8. 관련자료, 참고문헌
[에어컨 및 냉장고 구조와 원리]
키워드
추천자료
[광촉매] 광촉매의 원리와 효과, 안정성 및 응용, 시장성에 대하여
건강 운동의 기본원리와 운동의 종류, 운동 강도, 운동 지속시간, 운동빈도, 운동의 단계에 ...
장애인통합교육의 개념, 장애인통합교육의 이념과 원리, 장애인통합교육의 발전, 한국 장애인...
의사결정학습(의사결정수업모형)의 의의와 원리, 의사결정학습(의사결정수업모형)의 효과와 ...
[HACCP] HACCP의 도입효과와 기본원리
카오스이론(혼돈이론)의 의미와 원리, 카오스이론(혼돈이론) 수학적 방법론, 카오스이론(혼돈...
호신술의 정의 및 개념과 개발, 필요성, 구성, 원리와 기법, 사용방법, 역사, 효과 총체적 조...
벌레에 물렸을 때 발생하는 증상을 해결하는 ‘버물리’의 원리와 효과 증진 방안
유아에게 효과적인 의사소통언어를 위한 교수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위한 유아 언어 ...
양력의 발생원리 (양력이란?, 베르누이 원리, 베르누이 원리의 오류, 받음각과 양력, 배면비...
[사회복지정책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국민연금의 소득재분배 효과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
학습지도의 원리 (학습지도,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지도 방법, 효과적인 교수법)
Zeigarnik효과와 통찰 학습을 중심으로 하여 형태주의 학습원리를 서술. 피아제의 인지 발달 ...
[비용편익분석과 비용효과분석]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과 비용효과분석(Co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