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아동문학이란 무엇인가?
2.동심 천사주의 문학의 문제점
3.카프 문학의 문제점
4.현 아동문학의 문제점과 지향점
5.올바른 아동문학이란?
2.동심 천사주의 문학의 문제점
3.카프 문학의 문제점
4.현 아동문학의 문제점과 지향점
5.올바른 아동문학이란?
본문내용
세계의 타인의 고통을 일깨워 주고 자신의 행복만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존재로 자라지 않도록 도와줄 것이다.
권정생의 문학이 우리 아동문학에 시사하는 점은 아동문학사에서 누구도 거들떠보지 않던 똥이나 시궁창 같이 더럽고 지저분한 곳을 소재로 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동심천사주의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일로 왕자, 공주, 꽃, 행복과는 거리가 번 소재들이다. 이렇게 냄새나도 더럽고 어두운 곳을 권정생은 아주 따뜻한 눈길로 바라보며 동화를 쓰고 있다. 이는 우리 주위에 힘들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우리 세계에 조명 받지 못한 이웃들에게 관심을 촉구한다. 즉 생명은 귀천이 없다는 평등적인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강아지 똥>에서 권정생은 무가치한 똥이 시련을 넘어서 가치 있는 존재로 거듭나는 일련의 과정을 쓰고 있는데 이러한 과정이 아이들에게 주는 무한한 감동은 이로 말할 수 없다.
위의 네 문학을 고찰해본 결과 ‘올바른 아동문학이란 어떠한 것이다’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첫째로 리얼리티가 담겨있어야 한다. 동심 천사주의에서 낭만적 판타지의 세계에 머물러 아이들에게 허무한 즐거움을 안겨 준다면 현덕, 북한문학, 이원수, 권정생은 리얼리티를 통해 아이들에게 감동을 일깨웠다. 이러한 현실 인식적 아동관은 어린이들이 문학에서 느끼는 감동이 현실과 분리 되지 않고 자신을 성숙시킬 계기를 만들어 튼튼한 감정의 소유자가 되도록 한다.
두 번째로 어린이의 연령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입말의 구현이다. 아무리 위대한 사상을 내포하고 훌륭한 이야기의 전개가 이어지더라도 어린이가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면 이는 아동문학이 될 수가 없다. 권정생과 같이 쉽고 간단하게 풀어 쓰더라도 충분히 훌륭한 문학이 탄생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아동문학에는 건전한 아동관이 심어져야 한다. 카프문학과 같이 어린이가 현실을 헤쳐 나가도록 하는 어린이를 어린이답지 않게 보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아야 한다. 어린이가 어린이다우면서 그 어린이의 입장에 맞는 올바른 행동적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밝혀온 바와 같이 우리 아동문학은 리얼리티를 바탕으로 건전한 아동관을 가지고 어린이들의 연령 심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어린이들이 널리 이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상되어 나가야할 것이다.
올바른 아동문학은 무엇인가?
- ‘우리 동화 바로 읽기’를 읽고-
교과명:
교수명:
학 번:
이 름:
제출일:
권정생의 문학이 우리 아동문학에 시사하는 점은 아동문학사에서 누구도 거들떠보지 않던 똥이나 시궁창 같이 더럽고 지저분한 곳을 소재로 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동심천사주의에서는 생각할 수 없는 일로 왕자, 공주, 꽃, 행복과는 거리가 번 소재들이다. 이렇게 냄새나도 더럽고 어두운 곳을 권정생은 아주 따뜻한 눈길로 바라보며 동화를 쓰고 있다. 이는 우리 주위에 힘들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을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우리 세계에 조명 받지 못한 이웃들에게 관심을 촉구한다. 즉 생명은 귀천이 없다는 평등적인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강아지 똥>에서 권정생은 무가치한 똥이 시련을 넘어서 가치 있는 존재로 거듭나는 일련의 과정을 쓰고 있는데 이러한 과정이 아이들에게 주는 무한한 감동은 이로 말할 수 없다.
위의 네 문학을 고찰해본 결과 ‘올바른 아동문학이란 어떠한 것이다’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첫째로 리얼리티가 담겨있어야 한다. 동심 천사주의에서 낭만적 판타지의 세계에 머물러 아이들에게 허무한 즐거움을 안겨 준다면 현덕, 북한문학, 이원수, 권정생은 리얼리티를 통해 아이들에게 감동을 일깨웠다. 이러한 현실 인식적 아동관은 어린이들이 문학에서 느끼는 감동이 현실과 분리 되지 않고 자신을 성숙시킬 계기를 만들어 튼튼한 감정의 소유자가 되도록 한다.
두 번째로 어린이의 연령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입말의 구현이다. 아무리 위대한 사상을 내포하고 훌륭한 이야기의 전개가 이어지더라도 어린이가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면 이는 아동문학이 될 수가 없다. 권정생과 같이 쉽고 간단하게 풀어 쓰더라도 충분히 훌륭한 문학이 탄생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아동문학에는 건전한 아동관이 심어져야 한다. 카프문학과 같이 어린이가 현실을 헤쳐 나가도록 하는 어린이를 어린이답지 않게 보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아야 한다. 어린이가 어린이다우면서 그 어린이의 입장에 맞는 올바른 행동적 변화를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밝혀온 바와 같이 우리 아동문학은 리얼리티를 바탕으로 건전한 아동관을 가지고 어린이들의 연령 심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어린이들이 널리 이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상되어 나가야할 것이다.
올바른 아동문학은 무엇인가?
- ‘우리 동화 바로 읽기’를 읽고-
교과명:
교수명:
학 번:
이 름:
제출일: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문학과제
아동문학의 개념과 활용방법
아동문학의 특수성에 대해서 서술.
아동문학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장르(언어, 수학, 과학, 도덕, 미술등)의 통합교육이 갖고 있...
아동문학에서의 환상성과 리어리즘과의 관계 및 상호작용에 대하여 논하시오
아동문학에서의 환상성과 리어리즘의 관계 및 상호작용에 대하여 기술.
20세기 아동문학의 특징을 설명하고 21세기를 향한 전망과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에 대한 ...
20세기 아동문학의 특징을 설명하고 21세기를 향한 전망과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한본...
[아동문학] 유아의 독서습관과 그림책의 관계를 정리하시오
[아동문학] 민담의 의미와 교육적 가치에 대해 서술하시오
교사로서 아동문학의 역사를 알아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논하시오.
아동문학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토론해보시오
아동문학의 목적에 합당한 작품을 하나 선택하셔서 간단하게 요약하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아동문학교육]동시의 유형을 분류 기준에 따라 자세히 기술하고, 그 중 한 가지 유형에 해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