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와 종교다원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위일체와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삼위일체론적인 사고의 필요성
2. 종교다원주의의 실체
3. 종교다원주의 비판
4. 다원주의의 그리스도 이해
5. 삼위일체론에서의 종교다원주의 평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였던 삼위일체론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이들의 주장은 단군신화를 삼위일체론적으로 해석하려 했던 윤성범의 토착화신학의 시도보다 훨씬 더 과격하다고 하겠다. 우리는 이 점에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싶다. 과연 기독교의 독특성을 포기하면서까지 종교다원주의를 옹호하며 타종교와의 대화를 시도해야 하는가?
이점에서 종교다원주의는 배타주의는 말할 것도 없고, 포괄주의 보다 더 과격한 운동임을 알 수 있다.
종교다원주의의 논의에서 성령에 관한 언급을 찾아보기 쉽지 않는데, 이점은 종교다원주의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기독론이 아니라 기독론을 전제한 성령론에 입각한 포괄주의를 시도할 수는 없을까? 즉 성령은 그리스도를 준비시킨 이로서 그리스도가 찾아온 자들도 준비시키시는 분이다. 그러나 문화나 종교는 그 자체로 선한 것이 아니라 꾸중과 경책을 받아야 마땅하다. 이 점에서 비기독교적 종교들을 동정적이고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는 없을까? "너희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은 이 헛된 일을 버리고 천지와 바다와 그 가운데 만유를 지으시고 살아 계신 하나님께로 돌아오라 함이라 하나님이 지나간 세대에는 모든 족속으로 자기의 길들을 다니게 묵인하였도다."(행 14:15-16) 이런 복음전도는 다원주의자들이 비판하듯이 제국주의의 전횡이 아니라 "온유와 두려움"(벧전 3:16)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독자의 변증은 섬김을 받는 것이 아니라 섬기는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에서 나타난다. 이 점에서 예수 이름에 근거한 내용적 배타주의는 방법적 포괄주의를 지녀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 간의 대화가 때로는 새로운 선교의 방법이 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선교와 전도에 의한 개종은 궁극적으로는 성령의 역사에 속한다. 진리의 영인 성령님은 모든 문화와 종교를 초원하여 종교의 본질을 드러내며, 모든 문화나 종교가 지니는 비 본질을 심판하신다.
Ⅲ. 결론
다원주의는 개별성을 존중하는 운동이다. 따라서 각 종교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된다. 이는 무책임한 혼합주의를 금하며 도전과 충격을 줄 수는 있다. 우리가 다원성을 거절할 수 없는 한, 다원주의의 한 양태로서 종교 간의 대화는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성경의 하나님과 그리스도 그리고 구원 등은 다른 종교의 개념으로 환원될 수 없는 독특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우리는 신 중심적인 종교다원주의를 결코 수용할 수 없다. 유해무, http://www.kcsi.or.kr/news/notice/newsletter/news54/4.html, 9월 월례발표회
<참고문헌>
전호진, 종교 다원주의와 타종교 선교 전략 (개혁주의신행협회, 2003)
유해무(한국칼빈학회), 칼빈신학해설(대한기독교서회, 2005)
유해무, http://www.kcsi.or.kr/news/notice/newsletter/news54/4.html, 9월 월례발표회
방기섭, http://kdaq.empas.com/dbdic/db_view.jsp?ps=src&num=3076385, 2003-05-01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1.19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