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목표>
<관련 교육과정>
1. 단원 설정의 이유
2. 단원 구성의 방향
3. 전 학년 학습 내용과의 관련
4. 지도상의 유의점
5. 본문
6. 학생활동적용
7. 대단원 평가 계획
<관련 교육과정>
1. 단원 설정의 이유
2. 단원 구성의 방향
3. 전 학년 학습 내용과의 관련
4. 지도상의 유의점
5. 본문
6. 학생활동적용
7. 대단원 평가 계획
본문내용
일부 사대부들이 우리글 훈민정음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의 상소를 올린 것은 조정의 본뜻을 이해하지 못한 처사로 심히 유감스러운 일이다.: 의견
p. 116 목표학습: ‘우리 꽃 산책’을 일고, 판단하며 읽기와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다음을 사실과 의견으로 구분하여 보자.
· 앵초의 어린잎은 산나물로, 뿌리를 포함한 식물 전체는 약재로 이용된다.
· 붓꽃의 큼직한 무리를 만나면 그 신선한 아름다움과 반가움에 작은 감동이 일어난다.
2. 글쓴이의 개인적인 느낌이 드러난 부분을 찾아 써 보자.
· 앵초:
· 붓꽃:
· 쑥부쟁이:
· 팔손이:
풀이) 1번문제에서 더 나아가 글쓴이의 개인적인 느낌이 드러난 부분을 찾는 활동이다. 느낌과 의견은 사실을 바탕ㅇ로 해서 함께 드러나는 경우가 많아 구분하기 쉽지않다. 그러므로 개인별 또는 모둠별로 학생들이 찾은 것을 발표해 보게 한다.
3. 글쓴이가 이 글을 쓴 궁극적인 의도는 무엇인지 말해보자.
각 계절별로 피는 우리 나라 꽃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꽃에 관심과 애정을 가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글을 썼다.
7. 대단원 평가 계획
(1)평가의 초점
-의도나 목적을 파악하며 글을 읽을 수 있는가?
-글 속에서 사실과 의견을 구분할 수 있는가?
-글쓴이의 주장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가?
-글쓴이의 주장의 근거를 말할 수 있는가?
(2)평가방법
이 단원의 목적은 판단하며 읽기의 장점을 알고, 실제로 글을 읽는 활동을 통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독서습관을 길러주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읽기 자료를 평가의 제재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평가방법으로는 선다형 지필 평가나 단답형 평가, 서술형 평가, 수행 평가 모두 활용 가능할 것이다.
① 선다형 평가: 글을 제시하고 제재의 내용이해를 물어보기, 주장한 근거 찾아보기,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등의 문항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다.
② 단답형 평가: 적당한 단어나 문장을 찾는 작업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게 하는 빈 칸 채우기 유형이 될 수 있다.
③ 서술형 평가 및 수행 평가: 글의 주제 찾기, 자신의 의견 적어보기, 주장의 타당성 검토하기, 반대 주장 펼쳐 보기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단원 중요내용]←http://cafe.daum.net/creation- 참고
· 글의 의도나 목적에 따른 글의 종류
글의 목적
정보 전달
설득
정서 표현
종류
설명문, 안내문, 보고문, 기사문 등
논설문, 연설문, 신문 사설 등
일기, 편지, 또는 시, 소설, 수필, 희곡 등 문학 작품
성격
객관적, 해설적, 사실적
주관적, 논리적, 설득적
비유적, 함축적
유의점
명확하고 분명하게 쓴다.
주장에 대한 타당한 근거나 이유를 밝힌다.
글에 숨어 있는 함축적 의미를 상상해 가며 읽는다.
주제
대부분 명시적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명시적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암시적인 경우가 많다.
ㅇ명시적 주제와 암시적 주제
→명시적 주제 : 글을 쓰는 의도나 목적이 겉으로 드러나는 글
→암시적 주제 : 글을 쓰는 의도나 목적이 속으로 숨겨져 있는 글
p. 116 목표학습: ‘우리 꽃 산책’을 일고, 판단하며 읽기와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다음을 사실과 의견으로 구분하여 보자.
· 앵초의 어린잎은 산나물로, 뿌리를 포함한 식물 전체는 약재로 이용된다.
· 붓꽃의 큼직한 무리를 만나면 그 신선한 아름다움과 반가움에 작은 감동이 일어난다.
2. 글쓴이의 개인적인 느낌이 드러난 부분을 찾아 써 보자.
· 앵초:
· 붓꽃:
· 쑥부쟁이:
· 팔손이:
풀이) 1번문제에서 더 나아가 글쓴이의 개인적인 느낌이 드러난 부분을 찾는 활동이다. 느낌과 의견은 사실을 바탕ㅇ로 해서 함께 드러나는 경우가 많아 구분하기 쉽지않다. 그러므로 개인별 또는 모둠별로 학생들이 찾은 것을 발표해 보게 한다.
3. 글쓴이가 이 글을 쓴 궁극적인 의도는 무엇인지 말해보자.
각 계절별로 피는 우리 나라 꽃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꽃에 관심과 애정을 가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글을 썼다.
7. 대단원 평가 계획
(1)평가의 초점
-의도나 목적을 파악하며 글을 읽을 수 있는가?
-글 속에서 사실과 의견을 구분할 수 있는가?
-글쓴이의 주장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가?
-글쓴이의 주장의 근거를 말할 수 있는가?
(2)평가방법
이 단원의 목적은 판단하며 읽기의 장점을 알고, 실제로 글을 읽는 활동을 통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독서습관을 길러주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읽기 자료를 평가의 제재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평가방법으로는 선다형 지필 평가나 단답형 평가, 서술형 평가, 수행 평가 모두 활용 가능할 것이다.
① 선다형 평가: 글을 제시하고 제재의 내용이해를 물어보기, 주장한 근거 찾아보기,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등의 문항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다.
② 단답형 평가: 적당한 단어나 문장을 찾는 작업을 통해 의미를 형성하게 하는 빈 칸 채우기 유형이 될 수 있다.
③ 서술형 평가 및 수행 평가: 글의 주제 찾기, 자신의 의견 적어보기, 주장의 타당성 검토하기, 반대 주장 펼쳐 보기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단원 중요내용]←http://cafe.daum.net/creation- 참고
· 글의 의도나 목적에 따른 글의 종류
글의 목적
정보 전달
설득
정서 표현
종류
설명문, 안내문, 보고문, 기사문 등
논설문, 연설문, 신문 사설 등
일기, 편지, 또는 시, 소설, 수필, 희곡 등 문학 작품
성격
객관적, 해설적, 사실적
주관적, 논리적, 설득적
비유적, 함축적
유의점
명확하고 분명하게 쓴다.
주장에 대한 타당한 근거나 이유를 밝힌다.
글에 숨어 있는 함축적 의미를 상상해 가며 읽는다.
주제
대부분 명시적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명시적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암시적인 경우가 많다.
ㅇ명시적 주제와 암시적 주제
→명시적 주제 : 글을 쓰는 의도나 목적이 겉으로 드러나는 글
→암시적 주제 : 글을 쓰는 의도나 목적이 속으로 숨겨져 있는 글
키워드
추천자료
인터넷 매체교육 중심으로한 디지털 시대의 국어교육
국어교육학 개론 탐구문제의 답
국어교육과 그의 목표
[초등교육]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교육과 과학과교...
국어과교육과 수학과교육 일반학습모형(일반수업모형), 사회과교육 일반학습모형(일반수업모...
[학습지도][수학과][국어과][사회과][실과과][도덕과]학습지도 이론, 학습지도 원리, 학습지...
[제6차교육과정][영어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미술교육과정]제6차교육과정의 특성, 제6차교...
[학습전략][교육전략][수업전략][교수학습전략]국어과교육 학습전략, 영어과교육 학습전략, ...
실과교육 학습지도(수업지도), 기술가정과교육 학습지도(수업지도), 체육과교육 학습지도(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국어과교육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수학과교육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정신지체아교육의 역사, 정신지체아교육의 목표, 정신지체아교육의 기능적 생활기술교육, 정...
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특징, EBS교육방송의 공익적기능, EBS교육방송과 국어교...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교육,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교육, 초등학교 1학년 슬기로운생활교과교...
구성주의 교육이론과 국어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