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특징
2. 계몽주의 교육
3. 계몽주의시대의 교육
1). 영국의 일요학교
2). 조교제도
3). 미국의 자선학교
4. 루소(J.J. Rousseau, 1712-1778)
5. 범애학파의 교육
6. 바제도우
2. 계몽주의 교육
3. 계몽주의시대의 교육
1). 영국의 일요학교
2). 조교제도
3). 미국의 자선학교
4. 루소(J.J. Rousseau, 1712-1778)
5. 범애학파의 교육
6. 바제도우
본문내용
성선설 및 자유주의에 입각한 자연주의에 기초한 것이다.
5. 범애학파의 교육
①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영향을 받아 이를 독일에서 실천에 옮겼다.
②공리공론보다는 실리에 중점을 두었으며 종교나 국가의 차별없이 전 인류를 사랑하여 평화롭고 행복한 삶을 사는 시민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③신체단련과 정신도야를 강조하였으며, 직관교수, 유희를 통한 교육, 체벌금지 및 선행장려 등을 중시
④바제도우, 트랍, 잘츠만, 캄페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6. 바제도우
①독일의 신학자, 교수이며 범애학파의 대표적 인물로 루소의 “에밀”과 라 샬롯데의 “국민교육론”의 영향을 받아 그 이론을 실천에 옮겼다. 그림이 삽입된 “독서초본”을 출판
②범애학교를 세워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학습분위기를 조성하고자 노력
5. 범애학파의 교육
①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영향을 받아 이를 독일에서 실천에 옮겼다.
②공리공론보다는 실리에 중점을 두었으며 종교나 국가의 차별없이 전 인류를 사랑하여 평화롭고 행복한 삶을 사는 시민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③신체단련과 정신도야를 강조하였으며, 직관교수, 유희를 통한 교육, 체벌금지 및 선행장려 등을 중시
④바제도우, 트랍, 잘츠만, 캄페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6. 바제도우
①독일의 신학자, 교수이며 범애학파의 대표적 인물로 루소의 “에밀”과 라 샬롯데의 “국민교육론”의 영향을 받아 그 이론을 실천에 옮겼다. 그림이 삽입된 “독서초본”을 출판
②범애학교를 세워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학습분위기를 조성하고자 노력
추천자료
계몽사상가로서 루소 사상의 독자성의 영역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인간 정신의 진보에 관한 역사적 개요
콩트의 사회학(지식사회학)
루소(J. J. Rousseau)의 교육사상
한국교육사와 사양교육사
레싱의 문학관과 그의 작품 분석
계몽기(계몽사상)교육사상, 계몽기(계몽사상)자연주의 교육사상가 루소, 계몽기(계몽사상)범...
계몽사조와 신인문주의 교육에 대해
근대와 현대에 나타난 평화론과 전쟁론
수사학의 전통과 작문 이론
[Biblical Archaeology] 성경고고학 과제물 (Assignments and Midterm Exam)
근대의 교육
< 프랑스 대혁명 >
[연극의 이해][낭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