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간호와영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간호와영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생성된 질소 노폐물 배설에 에너지가 필요함
▣ 소화, 흡수 및 대사
- 소화와 흡수
; stomach에서 시작해서 아미노산으로 되어 소장 점막을 통해 흡수되어 간으로 이동
* stomach : pepsin
pancreatic juice : trypsin, chymotripsin, carboxypeptidase
장벽 분비물 : aminopeptidase, dipeptidase
- 아미노산은 간에서 특수한 단백질 합성 (간세포, 비필수아미노산, 혈장 알부민)에 이용됨
간에서 혈류로 유리되어 조직/세포로 운반되어 단백질 합성에 이용됨
- 단백질 이화작용
정상적 이화작용 이상으로 이화작용 촉진 ← 저열량/저단백 식이, 질병, 외상, 스트레스
신체는 아미노산을 단백질로 저장할 수 없으나 필요시 조직단백으로 아미노산 공급
▣ 급원
- 우유, 육류, 채소, 전분
- 과일에는 미량, 순수지질(기름, 버터, 쇼트닝)에는 전혀 없음
▣ 단백질 질 평가
- 생물학적 방법 : 생물가, 단백질 실이용률, 단백질 효율
화학적 방법 : 화학가, 소화율이 고려된 아미노산가
* 생물가 : 체내로 흡수된 질소량에 대한 체내 보유 질소량의 백분률
즉, 흡수된 단백질이 얼마나 체단백으로 전환되었는가
필수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질소 비율이 높을수록 생물가가 높아짐
;; “생물가가 높은 단백질”
☞ kidney/liver 질환자에게 필요한 단백질
▣ 권장량
- 총 열량의 15%
- 임산부, 수유부에서 특히 요구량 많음 : 일일 15g, 20g 각각 (일반 성인은 1-1.3g)
- 질소균형
양의 질소균형 : 조직합성률 > 조직파괴율 → 질소섭취량이 질소배설량보다 많음
음의 질소균형 : 조직합성률 < 조직파괴율 → 질소섭취량보다 질소배설량이 많음
← 열량 섭취 부족으로 식품단백과 조직단백을 열량원으로 사용
▣ 단백질 결핍증
← 아동 : 성장을 위해 단백질 요구량 증가
성인 : 질병(식욕부진 등에 의한 영양섭취부족, 흡수장애, 생성 저하, 배설 촉진 질병)
- 아동 : 콰시오카(Kwashiokor), 마라스무스
▣ 단백질 과잉증
- 과잉의 단백질 섭취
→ 동물성 단백질 속의 산성의 황아미노산이 중화되어 소변을 통한 칼슘 손실 증가
육류 속의 단백질/지방 가열 시 발암물질 생성
요소배설 증가로 신장 부담
암모니아 생성 증가로 간 부담
▣ 선천성 대사이상
- 호모시스틴뇨증
: cystathionine synthetase 결함으로 이 효소의 기질인 homocysteine 농도 증가
→ 동맥경화
: 단백질 섭취 감소, 비타민 B6 섭취 증가, 엽산 섭취 증가 필요
- 페닐케톤뇨증
: phenylalanine hydroxyase 결함으로 페닐알라닌 증가로 인함
→ 뇌손상으로 인해 정신 지체 가능
: 페닐알라닌 적은 식품이나 특수 분유 사용
- 단풍 당뇨증
: 루신, 이소루신, 발린 등의 아미노산의 산화적 탈탄소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의
유전적 결함으로 케톤산 증가 → 신경장애, 지능장애
: 아미노산 제한 특수 분유나 식품
체내 단백질 분해로 인한 이들 아미노산 유리 막기 위해
충분한 열량과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공급
Ⅲ. 지질 Lipid
- 탄수화물/단백질보다 더 많은 에너지 생성 : 1g 당 9Cal
- 혈장 지질 : 중성지방(triglycerides : TG), 콜레스테롤(cholesterol), 인지질, 유리지방산
증가 시 고지혈증(hyperlipidemia) → 죽상경화 →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 초래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yceridemia)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
▣ TG 기능
- 농축된 에너지원, 그러나 비효율적
- 맛, 향미 제공
- 위 배출시간(GET) 증가로 포만감 증가
- 지용성 비타민 흡수 촉진
- 체온조절
- 장기보호
▣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 cf. 포화지방산: 탄화수소 사슬을 이루는 각 탄소가 2개 수소원자와 2개 인접한 탄소원자 를 갖고 있어 이중결합이 없음
- 불포화지방산
올리브유, 콩기름, 참기름, 홍화기름 등 식물성 기름
시스(cis)형, 트란스(trans)형
* 수소 첨가 시 trans형으로 바뀜
→ 포화지방산 유사 특징 가짐
ex) 마가린, 쇼트닝 등
“무늬만 불포화지방산”
▣ 필수지방산
-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 기능 : 세포막 구조적 완전성 유지
혈청 cholesterol 감소
두뇌발달, 시각기능 유지
▣ 인지질
- 대표적 : 난황의 lecithin : 유화제(마요네즈!)
▣ 지단백 (lipoprotein)
- 지질이 혈장을 통해 이동 시 비수용성이므로 이 형태로 이동
- 중심부에 소수성 지질과 표면에 친수성 지질 및 아포단백(apoprotein)으로 구성
apoprotein은 A,B,C, 이들도 세분됨 (예로, AI, AII.......CIII)
apo A - HDLC, apo B - LDLC
- 5종류 : chylomicrons, VLDL, IDL, LDL, HDL
HDL : high-density lipoprotein :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
LDL : low-density lipoprotein :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
▣ 스테로이드 호르몬
- 부신피질 호르몬, 생식선 호르몬
▣ 스테롤
- cholesterol(동물성 식품), 에르고스테롤(식물성 식품)
- 콜레스테롤 : 세포막과 수초 주요 구성요소
스테로이드 호르몬, 담즙 생성에 필요
▣ 지질 소화 및 흡수
- 위 : lipase
- 담낭 : 담즙
- 췌장 : pancreatic lipase
- 점막세포를 통해 흡수외어 문맥을 통해 간으로 이동
- 95% 정도가 흡수되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출
* steatorrhea(지방변) ← 불충분한 담즙 생성, 섬유소 풍부 식이, 급속한 위장관 운동..
- 췌장질환, 담낭질환, 비만,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등에서 저지방식이
▣ 숨겨진 지방(invisible fat) 주의 : 고기, 난황, 전유, 견과류, 디저트, 우유, 빵
▣ 권장량
- 총 열량의 20-25%가 바람직
- 30% 미만이어야 비만, 심혈관질환, 암(유방암, 대장암) 발생 가능성 감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1.27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6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