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사업이전에 따른 근로자대표의 지위
3. 노동조합과 연계된 근로자대표의 지위
2. 사업이전에 따른 근로자대표의 지위
3. 노동조합과 연계된 근로자대표의 지위
본문내용
게 계속적인 근로자대표의 지위를 부여하여 위의 경우와 동일하게 판단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본다. 다만 사업이전의 결과로 노동조합과 이전된 근로자간의 조합원 관계에 변동이 초래될 경우에는 노동조합의 근로자대표에 관한 지위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으며, 이전된 사업이 계속적인 별개의 독자성을 확보유지한다면 이전된 근로자들 중에서 별도의 근로자대표를 선출하면 될 것이다.
향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근로자대표 나아가 종업원대표의 기능과 역할을 노동조합의 기능과는 원칙적으로 분화시키면서 필요한 경우에 보충적인 관계를 설정한다면, 입법정책적으로는 - 과반수노조가 비조합원을 공정하게 대표할 법적인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한 - 근로자(종업원)대표의 지위를 과반수 노조에 직접적으로 결부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향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근로자대표 나아가 종업원대표의 기능과 역할을 노동조합의 기능과는 원칙적으로 분화시키면서 필요한 경우에 보충적인 관계를 설정한다면, 입법정책적으로는 - 과반수노조가 비조합원을 공정하게 대표할 법적인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한 - 근로자(종업원)대표의 지위를 과반수 노조에 직접적으로 결부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추천자료
사용자의 이익대표자의 조합결성
우리나라 산별노조의 발전과 그 영향
근로계약 체결시 근로자 보호
[졸업논문] 비정규직 문제 및 해결방안 연구
비정규직 증가의 원인과 장단점 분적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여성근로자문제 - 육아휴직제도의 필요성, 현황, 문제점, 해결방안
[임금][임금제도][임금체계]임금과 임금제도 및 임금체계 심층 분석(임금 정의, 임금 의의, ...
비정규직의 확산 및 영향과 비정규직 문제 개선방안
[최저임금제]최저임금(최저임금제)의 정의, 최저임금(최저임금제)의 대상자, 최저임금(최저임...
근로자의 의의
비정규 노동과 노동정책의 과제
산재보험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