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 케이스입니다.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신부전 케이스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 문헌의 개요

II.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1) 개인 력
2) 기본 욕구 사정
3) 현재 건강 력 사정
4) 과거 건강 력 사정
5) 신체 검진
6) 검사 소견
7) 의학적 치료 계획
① 내과적 치료
ⓐ 식이요법
ⓑ 약물요법

III. 결 론
총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N(urea nitrogen)
15.9
mg/dl
5-23
Creatinine(serum)
2.8
mg/dl
0.6-1.3
(7) 의학적 치료 계획
① 내과적 치료
ⓐ 식이요법: 일반 식사함
ⓑ 약물요법
약 명
유나이티드탄산칼슘
투여시기
식후 30분
용 량
1정
투여방법
PO
효능효과
위 십이지장 궤양, 위염, 위산과다 등의 제산작용, 칼슘보급
부 작 용
변비, 구역, 설사, 가려움증
약 명
레날민
투여시기
식후 30분
용 량
1알
투여방법
PO
효능효과
투석환자, 만성신부전에 의한 질소혈증 환자의 비타민 B, C보급
부 작 용
알러지성 과민 반응
약 명
훼로바유서방
투여시기
식후 30분
용 량
1알
투여방법
PO
효능효과
철결핍성 빈혈의 예방 및 치료
부 작 용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복통
약 명
라식스
투여시기
식후 30분
용 량
2알
투여방법
PO
효능효과
고혈압(본태성, 신성 등), 울혈성 심부전, 복수
부 작 용
과립구증, 혈소판/백혈구 감소증
약 명
멕페란
투여시기
딸꾹질 날때만 복용
용 량
1알
투여방법
PO
효능효과
소화기능 이상 치료제, 제토제
부 작 용
악성 신경마비 증후군, 무월경, 지속성 유즙 누출, 여성형 유방, 수지진전, 근경직, 경.안부의 연축, 안구회전발작, 초조감, 복통, 설사 등
(8) 투석 시 대상자 정보
- AVF Lt.arm 수술: 2005년 4월 29일
- 투석시작일: 2006년 7월 5일
- 투석 종류: HD
- 투석 부위: AVF Lt.
- Dry wt(kg): 58.3kg
- 투석일: 2008년 1월 15일
- Duration: pm12:23~pm16:23
- pre B.wt(kg): 61.5kg /3.3
- post B.wt(kg): 58.3kg/-3.2
- UFR(goal)(l): 0.8
- pre B.P: 140/90mmHg
- start 직후 B.P: 140/80mmHg
- post B.P: 160/80mmHg
- Dialysate 종류: BDEX+B2
- Temp: 36
- conductivity: 14.0
- 헤파린 초기: 1000
- 헤파린 유지: 500
- V.P.: 88
- Dialyzer: B3-1.3A
- kt/v-nPCR: 1.47(4월)
- 조혈제: EPO(I.U/Day): 5000 BIDEX 혈액투석 1회당(injections: IEPO5S 1@ IV)
- 투석액: 헤모트레이트 비2호액 10L+N/S 1L
헤모비덱스 0.1% 1호액 10L
- Dialysate flow: 500ml/min
- Blood flow: 260ml/min
- Ultrafiltration THP/mmHg: 0.8/88
- 주 2회 투석함
- 투석 중 발 구르기와 팔 근력운동 시행
* Dry w.t의 결정 요인: 정기적인 흉부 X-ray 사진과 함께 평소의 압력이나 투석중의 혈압 변화, 투석 전후의 혈액 데이터 등을 참고로 의사가 결정한다. 투석전 상태에서 혈압이 고혈압 140mmHg 미만, 최고혈압 90mmHg 미만이고, 심흉비 50% 이하(여성은 55% 이하)의 기준으로 여유 수분이 없는 상태의 체중이 이상적이다. 다음 투석 시점까지 증가하는 체중은 거의 수분 증가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수개월간 장기에 걸친 체중의 변화는 수분의 증감과 함께 근육이 관련된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적정 체중은 변화한다.
(9) 투석 시 간호
1) 투석 전 환자 간호
환자가 입실하여 체중을 잰다.(61.5kg)
particular edema, cheap complain check, vital sign check한다.(140/90mmHg)
정해진 dry w.t를 고려하여 ultrafiltration을 결정한다.(58.3kg, 3.3kg)
HD start
2) 투석 중 환자 간호
혈압을 1시간마다 check
(140/80mmHg, 150/90mmHg, 150/80mmHg, 150/80mmHg)
계속적으로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살핀다. (sweat sign, nausea, vomiting, headache, dizziness, mental change, hypotension, hypertension 등): 증상 나타나지 않음
환자는 발 구르기와 팔운동을 한다.(투석 시작 후 1시간)
환자가 딸꾹질하여 멕페란을 투여한다.(1알, PO)
3) 투석 후 환자 간호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살핀다.
활력징후를 체크한다.(160/80mmHg)
post HD 체중을 체크한다.(58.3kg)
다음 스케줄 날짜를 확인해준다.(2008년 1월 18일 12시 30분까지 입실 교육)
III. 결 론
1. 총 평가: 이**님은 3년전 갑자기 식욕이 떨어져 음식을 아무것도 먹지 못하여 입원하게 되었고, 그 결과 CRF라는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당뇨, 고혈압, 사구체 신염으로 인한 CRF의 원인이 아니라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CRF라고 한다. 2006년 7월부터 혈액 투석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님은 다른 곳은 아픈 곳 없이 건강한데 신장만 안 좋다고 하면서 신장은 앞으로 낫지도 않는 병이라며 허탈해 하는 모습을 보았다. 투석은 앞의 문헌고찰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장의 기능을 제대로 못하여 그 신장의 기능인 노폐물 제거와 전해질 불균형의 교정 등의 기능을 대신해 주는 대체 요법으로서 혈액 투석, 복막투석, 신장 이식 등이 있다. 이**님은 주 2회 투석을 받으며, 화요일과 금요일에 투석을 한다. 건체중의 결정은 주치의가 대상자의 상태와 CT를 보고 결정하는 것이라고 한다. 보통 투석 전 체중에서 건체중을 뺀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체중을 빼게 되는데, 그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대자가 힘들어 하므로 많이 빼지 않고 주치의와 상의 하여 결정한다. 투석을 하는 대상자들의 경우 비가역적인 질병이라 심리적으로 우울하면서 몸무게나 혈압에 민감하므로 밝은 웃음을 대상자에게 주며, 간호에 각별히 신경 써야한다.
2. 참고문헌
① 전시자 외, 제4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05년 1월
② 황옥남 김진경, 심화학습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I), 현문사, 2002년 12월
③ http://druginfo.co.kr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02.05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6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