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Ⅱ. 본론
※ 아이리버의 성공요인
1. 기술과 스피드를 앞세운 시장 선점
2. 독자 브랜드 구축
3. 이노에 의한 디자인
4. 고객중심경영
Ⅲ. 결론
Ⅱ. 본론
※ 아이리버의 성공요인
1. 기술과 스피드를 앞세운 시장 선점
2. 독자 브랜드 구축
3. 이노에 의한 디자인
4. 고객중심경영
Ⅲ. 결론
본문내용
재해지역에 대한 즉각적인 무상 수리 방침 등은 아이리버의 고객중심경영을 보여주는 단편적인 예이다. 이렇게 고객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아이리버의 정신은 A/S에서도 엿볼 수 있다. 아이리버의 A/S는 “고객이 말하는 불만은 어떤 것이든 불량이며 우리의 책임”이라는 정신에서 출발한다. 본사 A/S 센터에는 항시 8명의 전담요원이 배치되어 고객 방문 시 30분 이내 수리가 가능하게 하며 A/S 고객에게는 사과의 뜻으로 양사장의 자필 사과편지를 동봉한 선물을 증정하고 있다. 그리고 아이리버는 지역별 A/S 대행계약을 맺지 않고 수신자부담 택배를 통한 A/S를 실시하고 있다. A/S 대행이 시간지연 및 불친절 등 오히려 고객 불만을 야기 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아이리버는 전국에 5개의 A/S 센터를 직접 운영하고 있는데 양 사장은 세계 표준의 A/S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꿈이라며 현재의 A/S 관련 인력을 보충, 향후 전국적인 A/S 대리점 망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하였다
Ⅲ. 결론
이리버의 국내시장에서의 성공요인으로는 기술과 스피드를 앞세운 시장 선점 전략, 독자적인 브랜드 구축, 디자인의 우수성,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는 고객중심경영 등임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중앙대학교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미국시장에서의 ipod 성공요인으로는 세련된 디자인,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 플레이어 자체의 편리한 인터페이스 등이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pod 유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ipod 유저들은 하드 타입의 큰 저장 공간, 가경경쟁력, 국내 제품이 갖지 못한 상대적 기술 우위, 디자인 등을 ipod의 강점으로, 단점으로는 제품 호환성과 무게 그리고 밧데리 교체에 있어 다소 불편함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러한 ipod는 잦은 음악교체를 꺼려하고 큰 저장용량을 선호하는 미국인들의 문화적 성향과 부합하여 미국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제품의 디자인과 크기를 중시하는 한국 시장에서는 플래시 메모리형 MP3플레이어에 밀리는 성향을 보였다. 역으로 한국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형 MP3플레이어가 미국시장에서는 점유율을 높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두 제품 모두가 단점 개선에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며 세계시장의 흐름도 변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어느 제품이 성공할지는 좀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Ⅲ. 결론
이리버의 국내시장에서의 성공요인으로는 기술과 스피드를 앞세운 시장 선점 전략, 독자적인 브랜드 구축, 디자인의 우수성, 고객을 최우선으로 하는 고객중심경영 등임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중앙대학교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미국시장에서의 ipod 성공요인으로는 세련된 디자인,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 플레이어 자체의 편리한 인터페이스 등이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pod 유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ipod 유저들은 하드 타입의 큰 저장 공간, 가경경쟁력, 국내 제품이 갖지 못한 상대적 기술 우위, 디자인 등을 ipod의 강점으로, 단점으로는 제품 호환성과 무게 그리고 밧데리 교체에 있어 다소 불편함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러한 ipod는 잦은 음악교체를 꺼려하고 큰 저장용량을 선호하는 미국인들의 문화적 성향과 부합하여 미국시장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제품의 디자인과 크기를 중시하는 한국 시장에서는 플래시 메모리형 MP3플레이어에 밀리는 성향을 보였다. 역으로 한국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형 MP3플레이어가 미국시장에서는 점유율을 높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두 제품 모두가 단점 개선에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며 세계시장의 흐름도 변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어느 제품이 성공할지는 좀더 두고 봐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