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교육이 유아에 미치는 영향jo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기교육이 유아에 미치는 영향j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조기 교육이란?
-부모와 하는 놀이와 과잉 조기교육의 차이
2. 조기교육의 효과적인 측면
3. 과잉 조기 인지교육의 현황

4. 조기 교육의 중요성
1) 지능 발달의 중요성
2) 사회적 발달의 중요성
3) 정서적 발달의 중요성
4) 성격 형성의 중요성
5) 창의력 개발의 중요성

5. 조기교육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1) 조기 과잉 인지교육이 아동의 학습동기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2) 조기 과잉 인지교육이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3) 조기 과잉 인지교육이 아동의 두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6. 임상 사례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의 이견이 있고 특히 다른 나라에서는 이런 사례가 거의 없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공식적 진단체계에서는 이런 아동을 위한 진단을 찾을 수가 없다. 단지 최근에 터키 이스탄불에서 하루 5시간 이상 텔레비전을 보고자란 영유아들이 우리의 “비디오 증후군” 아동들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유일하게 우리와 비슷한 경우로 들 수 있다.
상기 아동은 사회성과 정서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시기에 비디오를 통한 인지 자극에만 과도하게 노출된 결과 사회성과 언어발달이 지연되고 자아 발달이 미숙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행히 만 3세 이하의 유아들은 조기에 문제가 발견되어 적절한 환경과 치료가 제공되면 1-2년 후에는 다시 정상적인 발달을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Ⅲ. 결 론
조기교육은 초기에 고착되어져갈 행동양식을 미리 차단하고 바람직한 행동양식으로 전환시켜 준다. 교육을 통해서 부모와 교사의 교육적 요구를 인식하고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데 어렵지 않다. 나아가 특정 교육집단이나 또래 집단에서의 사회적 요구를 인식하고 자신이 어떤 관계를 형성해야 되는지를 알게 되면서부터 아동의 행동은 개인적이기 보다 사회적 행동양식으로 전환하게 된다. 물론, 모두가 자연스럽게 사회적 요구에 바람직한 행동양식으로 전환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그렇지만, 늦게 교육을 시작한 아동보다는 훨씬 더 교육이 수월하고 교육적 효과 또한 높은 것이다. 조기에 아동을 교육함으로써 아동은 스스로 자기 자신을 통제하고 사회적 요구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기에 교육을 시작한 아동들은 자폐아동들에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행동문제들이 지속되지 않다. 조기 교육을 통해 아동은 성장하면서 사회, 행동, 정서, 언어가 자연스럽게 발달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조기교육은 초기의 행동상의 문제를 소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렇게 조기교육이 문제행동의 출현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동기가 될 수 있지만 그러나 인지, 언어, 사회 영역을 통합적으로 지도하기보다는 특정한 영역만을 교육할 경우 조기교육을 하더라도 문제행동을 소거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동 발달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불균형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조기교육에서 총체적인 교육과정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현재 영유아 때부터 시작되는 타율적 조기 인지교육이 아동의 여러 가지 정상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절실하다. 아동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한 고려가 없이 단순히 남이 하니까 안 하면 뒤쳐질까 두려운 마음에 많은 부모들이 경제적 부담을 안고 조기 인지교육을 시키는 것이 현실이다. 학자들은 이런 추세로 가면 미래 우리의 국가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금치 못하고 있다. 다시 한번 조기 인지교육에 대해 각 부모들이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사회적 홍보와 교육이 절실하며 국가적, 사회적 차원에서도 심사숙고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박은혜 외(2000). 세계의 유아교육 제도. 서울: 양서원.
이영석, 임명희(2006). 한국 유아교육의 회고와 전망. 서울: 교육 과학사.
권영례, 이영례 공저 (1998). 유아교육개론, 한국방송대학 출판부.
신의자 교수. 연세의대, 과잉조기학습이 유아의 정신적 발생에 미치는 영향
이영석 외 (20055). 유아교육론. 한국교원대학교 종합교원연수원. 문봉출판사.
최한수(20022). “한국유치원교육의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inswort h MDS, Blehar M,Waters E, Wall S(1978):Pattern of attachment: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Lawrence Erlbaum, Hillsdale, NJ
Benes FM(1994):Developmental changes in stress adaptation in relation to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723-739
Borris NW, Zeanah CH, Larrieu JA, Scheeringa MA, Heller SS(1998):Attachment disorders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diagnostic criteria. Am J Psychiatry, 155:2, 295-297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2.09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