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특성 비교
- 시장구조적 의미
- 이윤극대화
- 시장가격
2.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주요 이슈 논의
- 완전경쟁: 매몰비용(sunk costs), 장기적 이윤이 제로임에도 시장에 머무는 이유
- 독점: 독점의 비효율성, 독점적 경쟁
- 시장구조적 의미
- 이윤극대화
- 시장가격
2.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의 주요 이슈 논의
- 완전경쟁: 매몰비용(sunk costs), 장기적 이윤이 제로임에도 시장에 머무는 이유
- 독점: 독점의 비효율성, 독점적 경쟁
본문내용
0
7
4
28
4
-2
8
3
24
3
-4
- <표 3>의 제1열과 2열은 독점기업이 공급하는 재화에 대한 수요곡선이다. 이 독점기업은 물 1갤런을 생산하면 $10에 팔 수 있다. 2갤런을 생산하면 가격을 $9로 낮추어야 다 팔 수 있다. 3갤런일 때는 $8로 더 낮추어야 다 팔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독점기업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하는 시장수요곡선의 형태를 띈다.
- 제4열의 평균수입은 독점기업이나 경쟁시장 기업이나 항상 시장가격과 똑같다. 제5열의 한계수입은 제품 한 단위를 더 판매했을 때 발생하는 총수익의 변화이다. 예를 들어 이 기업이 3갤런의 물을 판매했을 때 총수입은 $24이고, 판매량을 4갤런으로 한 단위 증가시켰을 때 총수입은 $28이다. 따라서 한계수입은 $4이다.
- <표 3>에서 보듯이 독점기업의 한계수입은 제품가격보다 항상 작다. 예를 들어 생산량을 3갤런에서 4갤런으로 늘리면 한계수입은 $4이지만, 가격은 갤런당 $7이다. 이것은 독점기업의 수요곡선이 우하향하기 때문이다. 즉 판매량을 늘리려면 반드시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가격인하는 이미 판매되고 있는 기존의 모든 수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에 독점기업의 한계수입은 가격보다 낮게 되는 것이다.
<그림 1> 독점기업의 이윤극대적 가격 결정 포인트
※ 독점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는 가격을, 먼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생산량을 결정한 후 이 생산량을 판매할 수 있는 시장수요곡선으로부터 찾아낸다.
※ 자연독점은 시장 전체수요를 여러 생산자보다 한 생산자가 더 적은 비용으로 생산공급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7
4
28
4
-2
8
3
24
3
-4
- <표 3>의 제1열과 2열은 독점기업이 공급하는 재화에 대한 수요곡선이다. 이 독점기업은 물 1갤런을 생산하면 $10에 팔 수 있다. 2갤런을 생산하면 가격을 $9로 낮추어야 다 팔 수 있다. 3갤런일 때는 $8로 더 낮추어야 다 팔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독점기업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하는 시장수요곡선의 형태를 띈다.
- 제4열의 평균수입은 독점기업이나 경쟁시장 기업이나 항상 시장가격과 똑같다. 제5열의 한계수입은 제품 한 단위를 더 판매했을 때 발생하는 총수익의 변화이다. 예를 들어 이 기업이 3갤런의 물을 판매했을 때 총수입은 $24이고, 판매량을 4갤런으로 한 단위 증가시켰을 때 총수입은 $28이다. 따라서 한계수입은 $4이다.
- <표 3>에서 보듯이 독점기업의 한계수입은 제품가격보다 항상 작다. 예를 들어 생산량을 3갤런에서 4갤런으로 늘리면 한계수입은 $4이지만, 가격은 갤런당 $7이다. 이것은 독점기업의 수요곡선이 우하향하기 때문이다. 즉 판매량을 늘리려면 반드시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가격인하는 이미 판매되고 있는 기존의 모든 수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에 독점기업의 한계수입은 가격보다 낮게 되는 것이다.
<그림 1> 독점기업의 이윤극대적 가격 결정 포인트
※ 독점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는 가격을, 먼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생산량을 결정한 후 이 생산량을 판매할 수 있는 시장수요곡선으로부터 찾아낸다.
※ 자연독점은 시장 전체수요를 여러 생산자보다 한 생산자가 더 적은 비용으로 생산공급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