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익사업의 의의
2. 필수유지업무
3. 공익사업에 대한 쟁의행위 제한의 필요성
2. 필수유지업무
3. 공익사업에 대한 쟁의행위 제한의 필요성
본문내용
업무협정이 체결되거나 동법 제42조의4 제2항에 따른 노동위원회의 결정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필수유지업무에 근무하는 조합원 중 쟁의행위기간동안 근무하여야 할 조합원을 통보하여야 하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 근로자를 지명하고 이를 노동조합과 그 근로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노동조합이 쟁의행위 개시 전까지 이를 통보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수유지업무에 근무하여야 할 근로자를 지명하고 이를 노동조합과 그 근로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2. 공익사업에 대한 쟁의행위 제한의 필요성
공익사업에서 쟁의행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국민경제 및 일상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일부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으나 이러한 제한은 헌법상 쟁의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것이어서는 아니된다.
2. 공익사업에 대한 쟁의행위 제한의 필요성
공익사업에서 쟁의행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국민경제 및 일상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일부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으나 이러한 제한은 헌법상 쟁의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것이어서는 아니된다.
추천자료
농업에 대한 기상학의 응용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실태, 그리고 문제점과 해결방안
중국 SI 산업 현황과 삼성 SDS의 기업 진출 전략 분석
[방카슈랑스] 방카슈랑스에 관한 이론적 고찰
노인학대에대해
청소년 교정복지
[경영학] 경영혁신을 위한 ERP구축에 관한 고찰
노인주거의 유형과 실태 정책 현황 및 정책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모금활동의 이념과 현황 및 사회복지기관의 모금활동, 이념과 현황 문제점, 모금활동과 모금 ...
[정부회계]회계란 무엇인가, 회계의 종류, 회계투명성의 의의, 정부회계 자본, 정부회계 보고...
CJ그룹의 채용전략 분석
교정복지의 개념 및 원리와 정당성
한국, 일본, 미국의 아동복지정책 비교와 문제점 및 대안모색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