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모노][기모노에 대한 상식][기모노 개념][기모노 역사][기모노 기본 형태][기모노 종류][기모노와 오비]기모노에 대한 상식, 기모노의 개념, 기모노의 역사, 기모노의 기본 형태, 기모노의 종류, 기모노와 오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모노][기모노에 대한 상식][기모노 개념][기모노 역사][기모노 기본 형태][기모노 종류][기모노와 오비]기모노에 대한 상식, 기모노의 개념, 기모노의 역사, 기모노의 기본 형태, 기모노의 종류, 기모노와 오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모노에 대한 상식

Ⅱ. 기모노의 개념

Ⅲ. 기모노의 역사
1. 원시시대·야마토 시대(˜561)
2. 아스카·나라 시대(562˜793)
3. 헤이안 시대(794˜1191)
4. 카마쿠라 시대(1192˜1335)
5. 무로마치 시대(1336˜1573)
6.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1574˜1602)
7. 에도 시대(1603˜1867)
8. 근대(1868˜)

Ⅳ. 기모노의 기본 형태

Ⅴ. 기모노의 종류
1. 후리소데(振袖)
2. 토메소데(留袖)
3. 호우몬기(訪問着)
4. 이로무지(色無地)
5. 쯔케사게(付下げ)
6. 코몬(小紋)

Ⅵ. 기모노와 오비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지만 화려한 색의 바탕무늬에 광택이 들어가 두드러지는 기모노는 축하석에 어울리며 수수한 색으로 눈에 띄지 않는 것은 상복으로 입을 수 있다. 문양이 들어가면 약식예복이 된다. 왼쪽 사진처럼 무난한 색은 맞추는 오비나 소품에 따라 화려하거나 수수하게 꾸밀 수 있다. 경조사 어느 쪽에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한벌 있으면 요긴하게 입을 수 있다.
5. 쯔케사게(付下げ)
호우몬기 다음가는 약식예복으로 전후 기모노 제작의 간략화에 따라 만들어졌다고 하는 설과 전시 중 화려한 기모노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고안된 것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지만 근대에 와서 만들어진 기모노이다. 한번 봐서는 호우몬기와 구별하기는 힘들지만 다른점은 무늬의 배치법이다. 호우몬기나 후리소데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에바하오리(繪羽)식인것에 비해 쯔케사게는 어깨, 소매, 깃에 독립된 문양이 놓이게 된다. 만들 때 상하가 바뀌지 않도록 그림을 그리는 것이 포인트이다. 호우몬기가 기모노를 한본 가봉하고 나서 문양을 그리는 것이라면 쯔케사게는 가봉한 그 상태에서 문양을 넣는 것이다. 옷가게에서도 쯔케사게와 코몬은 가봉 그 형태로 입을 수 있다.
6. 코몬(小紋)
기모노 가운데 가장 캐주얼한 기모노이다. 염색한 기모노인 경우는 카따소메(型染め)라고 해서 형지(型紙)를 사용해 같은 문양이 전체에 연속해서 놓이는 것이 특징이다. 기본적으로는 사교용 기모노이지만 격식 있는 문양이나 에도코몬과 같이 멀리서 보면 이로무지처럼 보이는 섬세한 무늬의 기모노는 격상해서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입을 수 가 있다.
Ⅵ. 기모노와 오비
일종의 허리띠로 작달막한 일본인의 체구를 눈가림하여 보다 예쁘게 보이기 하기 위한 미적 욕구에서 비롯된 아이디어이다. 원래의 기모노는 좁다란 띠를 둘러서 앞에서 묶었으나 임진왜란 무렵 일본인들이 한복의 넓은 옷고름과 선교사들의 사제복 허리에 새끼를 꼰 듯한 띠를 두르고 오른쪽 허리춤께에 예쁘장하게 매듭지어 늘어뜨린 모양을 접목시켜 오비가 퍼지게 되었다.
○ 나고야 오비 : 폭이 34cm, 길이가 356cm이상으로 평상시 할 수 있는 간편한 오비
○ 한하바 오비 : 폭이 15cm, 길이 350cm, 450cm
○ 쯔꾸리 오비 :오비 묶는 법이 간단해서 손쉽게 할 수 있고 여기저기 여행할 때도 편리한 오비
오비의 3대 색상기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 시슈우 : 손으로 직접 수를 놓은 무늬. 입체감과 독특한 따스함을 준다.
○ 소 매 : 옷감에 색상을 들이는 기법, 무궁무진한 무늬와 색상을 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오 리 : 수공이나 기계로 짠 것. 중후감과 격조감이 있어 예의복으로 최고이다. 화려하다.
참고문헌
▷ 김용안(2004), 키워드로 여는 일본의 향, J&C 출판사
▷ 박화진(2002), 일본문화 속으로, 일본어 뱅크
▷ 염혜정,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16
▷ 정인문(2004), 일본과 일본인, J&C
▷ 정형(2004), 일본 사회문화의 이해, 보고사
▷ 홍하상, 열두겹 기모노의 속사정
▷ 황영식(2003), 맨눈으로 보는 일본, 도서출판 모티브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2.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