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노사협의회의 임무
Ⅲ. 협의 의결 보고의 효과
Ⅳ. 임의중재제도
Ⅴ. 의결사항에 관한 문제점
Ⅱ. 노사협의회의 임무
Ⅲ. 협의 의결 보고의 효과
Ⅳ. 임의중재제도
Ⅴ. 의결사항에 관한 문제점
본문내용
자와 사용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이를 정당한 이유없이 이행하지 아니한 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문제점
동 규정이 임의규정에 그치고 있을뿐 아니라 노사의 합의에 의하여만 중재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으므로 독립적이고 합리적인 노사협의회 분쟁처리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Ⅴ. 의결사항에 관한 문제점
1. 의결사항의 의결강제수단 미흡
의결사항이 의결되지 않는 경우에 현행법에서는 임의중재를 둘 수 있으나, 당사자가 임의중재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의결을 강제할 수단이 없다.
2. 의결사항의 효력문제
의결된 사항의 효력에 관하여 아무런 규정이 없어 그 법적 효력이 불명확하다. 따라서 의결된 사항은 적어도 취업규칙보다 우선하는 효력을 부여함이 타당하다 하겠다.
이를 정당한 이유없이 이행하지 아니한 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문제점
동 규정이 임의규정에 그치고 있을뿐 아니라 노사의 합의에 의하여만 중재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으므로 독립적이고 합리적인 노사협의회 분쟁처리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Ⅴ. 의결사항에 관한 문제점
1. 의결사항의 의결강제수단 미흡
의결사항이 의결되지 않는 경우에 현행법에서는 임의중재를 둘 수 있으나, 당사자가 임의중재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의결을 강제할 수단이 없다.
2. 의결사항의 효력문제
의결된 사항의 효력에 관하여 아무런 규정이 없어 그 법적 효력이 불명확하다. 따라서 의결된 사항은 적어도 취업규칙보다 우선하는 효력을 부여함이 타당하다 하겠다.
추천자료
한국프로야구의 노사관계 결성에 대해 전망하시오
07년 개정법에 따른 공적 조정제도 전반에 대한 쟁점 검토
개정 노조법에 의한 대체근로의 제한에 대한 검토
한국사회의문제: 일자리나누기에대한서구의사례를검토하고우리나라의일자리나누기에대해비판...
단체협약의 규범적 부분과 관련한 노조법상 사항 검토
노동법상 노조전임자 관련 사항 검토
성과관리의 중요성과 노사관계의 중요성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위반 및 실효성 확보방안 검토
노조법상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검토
노동법상 해고의 절차적 제한 규정의 효력에 대한 연구
근기법상 징계권 전반의 검토
[감사][감사원][감사제도][감사체계]감사원의 개념, 감사원의 역사, 감사원의 지위, 감사원의...
[지적장애아동 부모교육]정신지체아 부모교육, 정신지체아동 부모교육, 지적장애아동 부모교...
노무현정부(참여정부) 노동정책의 동북아플랜, 노무현정부(참여정부) 노동정책 비정규보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