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 통해 강고한 도덕적 품성의 도야가 가능해짐.
품성의 도야는 교재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어린이의 심정을 도야하여 도덕적 품성을 기르고자 하는 교육운동임.
훈련 (품성도야)
교수
도덕적 품성을 지향.
교재를 매개로 하지 않음.
교재를 매개로 함.
직접적으로 어린이의 심정을 도야하여 달성.
지식, 기능의 전달에 의해 목적을 달성.
훈련 (품성도야)
관리
영속적인 도야를 목적으로 함. (의지의 도야)
일시적인 교정에 의해 단편적 효과를 노림.
의지 그 자체는 관리에 의해, 통찰력은 교수에 의해 형성된 후 두개의 능력이 결합되어 도덕적인 성격형성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것을 훈련이 수행함. 그러므로 훈련은 종래의 동요하는 의지를 강고한 도덕적 품성과 결부시켜 나가는 것임.
3) 의의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의의는 이론적인 교육과 실천적 교육(도덕교육) 그리고 미감적 교육(감성교육)이 ‘교육적 수업’의 틀 속에서 통합이 시도되고 있다는 데 있음. 학교 교육의 틀 속에서 도덕 교육의 목표는 본격적인 도덕성의 형성에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성장세대를 도덕에 입문시키는 것이 훨씬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감안할 때, 헤르바르트의 ‘도덕교육론’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품성의 도야는 교재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어린이의 심정을 도야하여 도덕적 품성을 기르고자 하는 교육운동임.
훈련 (품성도야)
교수
도덕적 품성을 지향.
교재를 매개로 하지 않음.
교재를 매개로 함.
직접적으로 어린이의 심정을 도야하여 달성.
지식, 기능의 전달에 의해 목적을 달성.
훈련 (품성도야)
관리
영속적인 도야를 목적으로 함. (의지의 도야)
일시적인 교정에 의해 단편적 효과를 노림.
의지 그 자체는 관리에 의해, 통찰력은 교수에 의해 형성된 후 두개의 능력이 결합되어 도덕적인 성격형성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것을 훈련이 수행함. 그러므로 훈련은 종래의 동요하는 의지를 강고한 도덕적 품성과 결부시켜 나가는 것임.
3) 의의
헤르바르트 교육학의 의의는 이론적인 교육과 실천적 교육(도덕교육) 그리고 미감적 교육(감성교육)이 ‘교육적 수업’의 틀 속에서 통합이 시도되고 있다는 데 있음. 학교 교육의 틀 속에서 도덕 교육의 목표는 본격적인 도덕성의 형성에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성장세대를 도덕에 입문시키는 것이 훨씬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감안할 때, 헤르바르트의 ‘도덕교육론’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