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관계 문헌의 개요
♧천식 : 천식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2. 본론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①개인력
②기본욕구 사정
③현재 정신력 사정
④과거 정신력 사정
⑤신체검진
⑥검사소견
⑦Medication Sheet
⑧Parenteral
-Problem list
-간호 과정 적용
3. 결론
-실습소감
-참고문헌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관계 문헌의 개요
♧천식 : 천식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2. 본론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①개인력
②기본욕구 사정
③현재 정신력 사정
④과거 정신력 사정
⑤신체검진
⑥검사소견
⑦Medication Sheet
⑧Parenteral
-Problem list
-간호 과정 적용
3. 결론
-실습소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t
IV. 12hr
(infusion pump
사용)
1. Theophylline의 수용성을 높이기위하여ethylenediamine 과의 combination으로 되어있으며 체내에서 분해되어 theophylline의 작용을 나타냄.
2.Acute severe asthma에 IV함.
IMPD125
IV. 6hr
수용성으로 adrenocorticol부족증을 제외한 응급상태에 IV함.
작용발현이 빠르고 용액조제 48시간내에 사용가능.
ISULAM
IV. 6hr
IISP
IV. 12hr
INS05
IV. 12hr
2. Problem list : 기침, 호기시 천명음, 불안 및 공포, 과호흡, 호흡곤란, 객담배출 곤란
3. 간호진단 : 기침이나 객담배출 곤란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호흡곤란이나 낯선 병원환경과 관련된 공포/불안
4. 간호 과정 적용
일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9월 29일
주관적 자료 :
“숨쉬기가 힘들어”
객관적 자료 :
-분비물 제거 불능
-호기성 천명
-빈맥(138회)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
-잦은 기침
-SaO2 : 96%
(nasal prong
착용상태임)
-호흡시 늑간 견축
기침이나 객담배출 곤란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단기목표 :
-9/30일까지 호흡을 할때 힘들어 하지 않는다.
-9/30일까지 기침 횟수가 줄어들 것이다.
장기목표 :
-10/4일까지 nasal prohg이 없이도 스스로 원활하게 호흡을 할수 있게 될 것이다.
-10/4일까지 호흡시 천명음이 들리지 않을것이다.
-10/4일까지 가래가 나오지 않을 것이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BP,P,R)하고 특히 호흡양상(호흡수, 깊이, 호흡음, 흉부견축)을 자세히 사정한다.
-만일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거나 감소된 기류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의사에게 보고한다.
-기관지 경련을 유발하는 요인(질병, 스트레스, 피로, 운동)을 파악하여 피하게 한다.
-좌위 or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호흡곤란을 해소하기 위해 처방된 산소를 투여할 것이다.(2l/일)
-기관지 경련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할 것이다.
(Aminophylline. IV)
-Nebulizer사용시 흡입을 가능한 깊게 하도록 한다(열을 셀때 까지 숨을 참았다가 입술을 오므려 숨을 내쉬도록 교육한다.)
-분비물 액활를 돕기 위해 아동을 잘 수화되게 한다.(수분을 다량 섭취하도록 한다, 가습기를 적용한다)
-6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도 살펴보았다.
-기관지나 다른 부분이감염 되지 않도록 주의 하였다. (간호 전과 후에 손씻기 수행)
-숨쉬기 힘들때나 네블라이져를 할때 좌위를 취하도록 교육하였다.
-하루에 2L의 산소를 nasal prong으로 투여하였다.
-Aminophylline을 12시간마다(am8, pm8)투여하였다.
-호흡기 분무치료시 깊게 숨을 들이마시도록 교육하였다.(투여시 무릎에 앉혀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한다.)
-조용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환아를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한다.
-수분을 자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가습기를 갖다 주었다
-경축된 기도로 공기가 통과할 때 천명이 발생하고 호흡을 돕기위해 보조근육들이 견축된다.
-자극, 알레르기등의 유발인자들은 콜린성 활동증진, 베타 adrenergic activity 감소를 일으키면서 기도환경을 변화시킴
-숨쉬기 편한 체위를 택한다.
-마스크는 질식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혈중 Theophylline 농도가 너무 높으면 안절부절 못하고 동요(afitation)를 유발한다.
-협조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이다.
-불안은 기관지 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켜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기도의 점액배출을 돕는다.
일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9월
29일
주관적 자료 :
“숨쉬기가 힘들어”
“집에 빨리 가고 싶어”
“간호사 누나가 무서워”
객관적 자료 :
-무섭고 걱정스러운 표정임
-증가되는 호흡노력
-간호처치도중 부모에게 매달리고 겁난 표정을 짓는다.
-불안정, 떨고 있다.
-떨리는 목소 리
호흡곤란이나 낯선 병원환경과 관련된 공포/불안
단기 목표 :
9/30일까지 환아는 병원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 덜게 된다.
장기 목표 :
-10/4까지 환아는 병원치료에 적극 협조하고 간호사를 신뢰하게 될 것이다.
-침착하고 조용하고 돌보듯이 아동을 대할 것이다.
-아동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만일 원한다면 부모의 무릎에 앉힌다. 신중하게 움직이고 행위를 설명하며 아동에게 접근한다.
-아동이 nasal prong을 적용시 저항한다면 부모가 아동에게 확신을 주도록 격려하도록 교육한다.
만일 실패한다면 억제대를 사용해서라도 적용한다.
-아동을 보면 눈을 마주치며 잘 웃어주고, 상냥하고 친절하게 대하였다.
-간호처치시에 아동이 저항을 하면 부모 무릎에 앉히거나 부모가 아동에게 확신있게 얘기하도록 교육하거나 수행하였다. 아동의 항변이나 항의에 상관없이 시행한다.
-간호행위가 왜 필요한지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아동의 불안을 누군가 알고 있고 아동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무엇을 한다는 느낌에 의해 불안은 감소될 것이다.
-아동의 항의에 의해 처치가 지연되고 아동 편에서 항의 행위가 지속되는 원인이 될 것이므로 항의에상관없이 시행한다.
-아동의 불안은 부모의 불안이 감소 되면 보통 감소하게 될것이다.
Ⅲ. 결론
-실습 소감 : 처음 실습을 SICU에서 해서 그런지 환자들의 병명도 비슷하고, 공통된 부분이 많아서 적응하기가 좀 낳았다.
NS병동을 하면서 공부할 때 가장 어려웠던 신경계를 많이 이해할수 있게 되어서 좋았다.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서 공부할 것도 더 많고 외울 것도 많지만 NS병동을 접해봤다는 것만으로도 많은 공부가 된 것 같아서 즐겁다.
참고문헌
-전시자, 김강미자외 공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임상간호 매뉴얼(7판), 현문사, 2003년 출판.
-김소야자, 김순용외 3명 수문사, 1990년 출판.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p288~302
-한윤복외 2명 현문사, 1997년 출판, 개정판 간호과정, 부록
IV. 12hr
(infusion pump
사용)
1. Theophylline의 수용성을 높이기위하여ethylenediamine 과의 combination으로 되어있으며 체내에서 분해되어 theophylline의 작용을 나타냄.
2.Acute severe asthma에 IV함.
IMPD125
IV. 6hr
수용성으로 adrenocorticol부족증을 제외한 응급상태에 IV함.
작용발현이 빠르고 용액조제 48시간내에 사용가능.
ISULAM
IV. 6hr
IISP
IV. 12hr
INS05
IV. 12hr
2. Problem list : 기침, 호기시 천명음, 불안 및 공포, 과호흡, 호흡곤란, 객담배출 곤란
3. 간호진단 : 기침이나 객담배출 곤란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호흡곤란이나 낯선 병원환경과 관련된 공포/불안
4. 간호 과정 적용
일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9월 29일
주관적 자료 :
“숨쉬기가 힘들어”
객관적 자료 :
-분비물 제거 불능
-호기성 천명
-빈맥(138회)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
-잦은 기침
-SaO2 : 96%
(nasal prong
착용상태임)
-호흡시 늑간 견축
기침이나 객담배출 곤란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단기목표 :
-9/30일까지 호흡을 할때 힘들어 하지 않는다.
-9/30일까지 기침 횟수가 줄어들 것이다.
장기목표 :
-10/4일까지 nasal prohg이 없이도 스스로 원활하게 호흡을 할수 있게 될 것이다.
-10/4일까지 호흡시 천명음이 들리지 않을것이다.
-10/4일까지 가래가 나오지 않을 것이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BP,P,R)하고 특히 호흡양상(호흡수, 깊이, 호흡음, 흉부견축)을 자세히 사정한다.
-만일 저산소증 증상이 나타나거나 감소된 기류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의사에게 보고한다.
-기관지 경련을 유발하는 요인(질병, 스트레스, 피로, 운동)을 파악하여 피하게 한다.
-좌위 or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호흡곤란을 해소하기 위해 처방된 산소를 투여할 것이다.(2l/일)
-기관지 경련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할 것이다.
(Aminophylline. IV)
-Nebulizer사용시 흡입을 가능한 깊게 하도록 한다(열을 셀때 까지 숨을 참았다가 입술을 오므려 숨을 내쉬도록 교육한다.)
-분비물 액활를 돕기 위해 아동을 잘 수화되게 한다.(수분을 다량 섭취하도록 한다, 가습기를 적용한다)
-6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도 살펴보았다.
-기관지나 다른 부분이감염 되지 않도록 주의 하였다. (간호 전과 후에 손씻기 수행)
-숨쉬기 힘들때나 네블라이져를 할때 좌위를 취하도록 교육하였다.
-하루에 2L의 산소를 nasal prong으로 투여하였다.
-Aminophylline을 12시간마다(am8, pm8)투여하였다.
-호흡기 분무치료시 깊게 숨을 들이마시도록 교육하였다.(투여시 무릎에 앉혀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한다.)
-조용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하고 환아를 혼자 남겨두지 않도록 한다.
-수분을 자주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가습기를 갖다 주었다
-경축된 기도로 공기가 통과할 때 천명이 발생하고 호흡을 돕기위해 보조근육들이 견축된다.
-자극, 알레르기등의 유발인자들은 콜린성 활동증진, 베타 adrenergic activity 감소를 일으키면서 기도환경을 변화시킴
-숨쉬기 편한 체위를 택한다.
-마스크는 질식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혈중 Theophylline 농도가 너무 높으면 안절부절 못하고 동요(afitation)를 유발한다.
-협조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이다.
-불안은 기관지 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켜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기도의 점액배출을 돕는다.
일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9월
29일
주관적 자료 :
“숨쉬기가 힘들어”
“집에 빨리 가고 싶어”
“간호사 누나가 무서워”
객관적 자료 :
-무섭고 걱정스러운 표정임
-증가되는 호흡노력
-간호처치도중 부모에게 매달리고 겁난 표정을 짓는다.
-불안정, 떨고 있다.
-떨리는 목소 리
호흡곤란이나 낯선 병원환경과 관련된 공포/불안
단기 목표 :
9/30일까지 환아는 병원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 덜게 된다.
장기 목표 :
-10/4까지 환아는 병원치료에 적극 협조하고 간호사를 신뢰하게 될 것이다.
-침착하고 조용하고 돌보듯이 아동을 대할 것이다.
-아동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만일 원한다면 부모의 무릎에 앉힌다. 신중하게 움직이고 행위를 설명하며 아동에게 접근한다.
-아동이 nasal prong을 적용시 저항한다면 부모가 아동에게 확신을 주도록 격려하도록 교육한다.
만일 실패한다면 억제대를 사용해서라도 적용한다.
-아동을 보면 눈을 마주치며 잘 웃어주고, 상냥하고 친절하게 대하였다.
-간호처치시에 아동이 저항을 하면 부모 무릎에 앉히거나 부모가 아동에게 확신있게 얘기하도록 교육하거나 수행하였다. 아동의 항변이나 항의에 상관없이 시행한다.
-간호행위가 왜 필요한지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아동의 불안을 누군가 알고 있고 아동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무엇을 한다는 느낌에 의해 불안은 감소될 것이다.
-아동의 항의에 의해 처치가 지연되고 아동 편에서 항의 행위가 지속되는 원인이 될 것이므로 항의에상관없이 시행한다.
-아동의 불안은 부모의 불안이 감소 되면 보통 감소하게 될것이다.
Ⅲ. 결론
-실습 소감 : 처음 실습을 SICU에서 해서 그런지 환자들의 병명도 비슷하고, 공통된 부분이 많아서 적응하기가 좀 낳았다.
NS병동을 하면서 공부할 때 가장 어려웠던 신경계를 많이 이해할수 있게 되어서 좋았다.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서 공부할 것도 더 많고 외울 것도 많지만 NS병동을 접해봤다는 것만으로도 많은 공부가 된 것 같아서 즐겁다.
참고문헌
-전시자, 김강미자외 공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임상간호 매뉴얼(7판), 현문사, 2003년 출판.
-김소야자, 김순용외 3명 수문사, 1990년 출판.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p288~302
-한윤복외 2명 현문사, 1997년 출판, 개정판 간호과정, 부록
키워드
추천자료
간호이론(간호과정, 기록과보고, 의사소통)
당뇨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DKA
지역간호학케이스
지역사회 방문간호 사례연구
지역간호학 방문간호 케이스
[아동간호학] 폐렴case study
수술 전,후간호
[아동간호학]인슐린의존성 당뇨환자 case study
신생아 가사(Neonatal asphyxia) 케이스 스터디
Fracture (골절) case study 간호사례연구
[지역사회간호학] Chapter2. 지역사회 간호과정 요약 정리
[성인간호학] 심부전 울혈성 심부전 (CHF; Congestive Heart Failure) 케이스 스터디
(지역사회간호학) 방문 간호사례 보고서/간호과정/보건소실습
당뇨, 병동 케이스 스터디, A+ ,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