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귀인이론에 대해서[`A+레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 귀인이론에 대해서[`A+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귀인이란 무엇인가

3. 심리학자들의 귀인이론 소개

4. Bernard Weiner의 귀인이론과 예, 사례 분석

5. 부정적 귀인 성향 : 사례 분석

6. 부정적 귀인의 원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 환경의 오직 한두 측면에 국한되거나 집중되고, 반복되는 일련의 행동, 자세 및 발성을 볼 수 있다. 기타 종교적 엑스터시, 신비주의적 경험, 귀신들림 또는 빙의, 영매 또는 무당의 신이 내린 상태, 환각제 중독상태, 어린이가 학대당한 후 등에서 나타난다. 주의집중을 강하게 할 때 나타나는 환각, 마비, 감각장애 등 무의식적 반복행동 등도 이에 해당한다.
- 해리성 혼미
ICD-10의 진단명으로 환자의 행태는 혼미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킨다. 그러나 진찰 및 검사 결과 신체적 원인의 증거를 찾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다른 해리성 장애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스가 심했던 최근의 사건, 혹은 현저한 대인관계의 문제나 사회적 문제 등의 심리적 원인들이 발견된다. 혼미는 수의적 운동이 없고, 빛, 소리, 신체접촉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 소실된 상태이다. 환자는 장시간 꼼짝 않고 누워 있거나 앉아 있다. 말하기나 의도적인 동작도 거의 없다. 어느 정도의 의식장애가 있을 수 있지만 근육 긴장도, 자세, 호흡, 때로는 눈을 뜨거나 조정된 안구운동으로 미루어 환자가 잠들었거나 의식상실이 되어 있지 않음이 분명하다.
- 해리상태
강한 강제적 설득 시에 여러 수준의 해리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뇌, 사고개조, 테러리스트에 포로로 사로잡혔을 때, 광신적 종교의식, 납치된 사람이 강요받을 때 등 해리상태가 나타난다. 나치스 집단수용소 포로들에서도 볼 수 있었다. 몽유병도 유사해리상태이다. (DSM-Ⅲ-R에서 몽유병은 수면장애로 분류되고 있다)
▲한 사람에게 둘 이상의 인격(人格)이 있어, 한 인격이 행한 일을 다른 인격이 기억하지 못하는 '이중(또는 다중) 인격' : 해리성 정체 장애
한 사람이 둘 이상의 인격을 가지고 있는 정신 질환.
다중인격장애라고도 하며, 예전에는 빙의라고도 하였다. 이 질환자의 90%는 여성이다. 이 병명은 1980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100여 년 전부터 의학계에 알려져 왔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이중인격이고, 3개부터 수십 개까지의 인격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중인격은 실제로 한 사람 안에 여러 개의 인격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내부에서 오랫동안 형성된 정신 상태의 일부분들이 일시적으로 그 사람의 전체를 조종하는 것이다. 의학계는 이에 따라 1994년 다중인격장애라는 병명을 해리성정체장애로 변경하였다.
원인은 유년시절에 받은 육체적 또는 성적 학대로 알려져 있다. 그외에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 끔찍한 사고의 목격 등 정신적 외상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로 환자의 95~100%가 어린시절에 근친상간이나 학대를 받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것을 심한 학대나 정신적 외상의 충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대면하고 싶지 않은 현실을 피하기 위해 새로운 인격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이 질환자들의 숨겨진 성격은 특히 분노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 상태가 생기는 이유는 다른 사람의 그러한 행동을 자신도 모르게 닮기 때문이다.
증세는 특정한 인격이 그 사람의 마음을 장악할 동안 경험한 것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며, 그러한 인격의 존재도 알지 못한다. 그러나 여러 성격 중 한두 인격이 다른 성격들의 존재를 어렴풋이 알고 있는 경우도 있다. 각각의 인격은 서로 다른 취향과 나이, 특징을 보이며, 드물게는 환자 자신이 전혀 모르는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들은 자신의 증세를 감추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자신의 증세를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도 있다. 이들에게는 오랜 치료기간 동안 여러 진단이 내려지는데, 해리성정체장애로 확진되기까지 평균 7년이 걸린다고 한다. 현재는 최면을 통한 진단이 가장 신뢰 있고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법은 최면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최면은 존재하는 다양한 인격들을 불러내고, 한 인격이 다른 인격을 점차 알게 하며, 이들 사이에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기술을 선택하여 궁극적으로 부정적 인격의 파괴적 요소들을 조절하고 방어하는 인격으로 융합시키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강간을 당했던 경험이나 살인 등 기억하고 싶지 않은 '짧은 순간'만을 기억하지 못하는 '심인성(心因性) 기억상실증' 등이 있다. (Psychogenic amnesia)
뇌의 뚜렷한 병변 없이 정신적인 충격에 의하여 기억이 상실되는 경우를 이른다. 즉 특정 기억이 심한 정신적인 고통이나 불안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불안이나 고통을 피하기 위하여 자신의 머릿속에서 그러한 기억을 지워버린 결과이다. 빠른 시간 안에 회복 되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평생 동안 기억이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7. 참고 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
7-1. 참고문헌
<규범적 귀인에서 상식적 귀인에 이르는 통합적 귀인모형의 모색>, 최상진최순영,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김재건, 상명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4
<연구논문 : 귀인과정 (歸因過程)의 분석과 대인관계의 귀인유형>, 김원신, 한국산학경영학회, 2004
<인간의 마음과 행동 (제3판)>, 한덕웅 외, 박영사, 2004년
<귀인이론> Kelly G. Shaver 저, 최순영 옮김, 중앙적성출판사
, Heider, 1958
<인간의 동기화이론>, Bernard Weiner, 계명대학교출판부, 1987년
7-2. 인터넷 사이트
가우리블로그정보센터(GAURY BLOG INFORM CENTER)
http://blog.naver.com/uprightks?Redirect=Log&logNo=140019734122
http://cafe.naver.com/caupsych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5
http://www.psychonews.co.kr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7&dir_id=709&eid=QVOiwrOKDaIsdBnjkqSnDmdNt+6wj55A

키워드

교육,   심리,   귀인,   이론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3.1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