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도자기][고려청자 역사][고려청자 종류][고려청자 제작과정][고려청자문양 특징][고려청자 의미]고려청자의 역사, 고려청자의 종류, 고려청자의 제작과정, 고려청자문양의 특징, 고려청자의 의미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청자][도자기][고려청자 역사][고려청자 종류][고려청자 제작과정][고려청자문양 특징][고려청자 의미]고려청자의 역사, 고려청자의 종류, 고려청자의 제작과정, 고려청자문양의 특징, 고려청자의 의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려청자의 역사
1. 10세기
2. 11세기
3. 12세기
4. 13세기
5. 14세기

Ⅲ. 고려청자의 종류
1. 소문청자(素文靑磁)
2. 청자 상형(象形)·양각(陽刻)·음각(陰刻)·투각(透刻)·노태(露胎)
3. 청자 상감류
4. 철채청자(鐵彩靑磁)
5. 연리문청자(練理文靑磁)
6. 화금청자(畵金靑磁)

Ⅳ. 고려청자의 제작과정
1. 수비
2. 성형
3. 조각
1) 상감
2) 투각
3) 음각
4) 양각
5) 인문화
4. 건조
5. 초벌구이
6. 시유
7. 본벌구이
8. 상회구이

Ⅴ. 고려청자 문양의 특징과 의미
1. 고려청자 문양의 특징
2. 고려청자 문양의 상징과 의미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시유
초벌구이 후 기물 표면에 유약을 발라 재벌구이를 하게 되는데 기물에 유약을 바르는 것을 시유라 한다. 초벌구이는 시유를 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시유를 하는 방법은 담금법, 붓으로 칠하는 법, 분무기로 뿌리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담금법이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기물의 표면 처리가 일률 적어서 가장 많이 쓰인다. 단지 대형작품일 경우에 시유에 어려움이 있는데 이때는 기물에 유약을 퍼부어 바르면 된다.
시유하기 직전 물에 살짝 담근 후 시유를 하는데 물에 담그는 이유는 기물에 수분을 주어 유약이 너무 두껍게 시유됨을 방지하고 너무 급하게 빨아 들여서 기포가 생기거나 유약이 벗겨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유약의 사용은 실용적인 목적과 함께 아름다움을 주는 미적 목적도 겸하게 되며, 특히 도예가에게는 유약의 선택과 사용법에 따라서 작품의 개연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평범하게 생긴 도자기도 유약의 처리 여하에 따라 훌륭한 작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7. 본벌구이
다음으로 이어지는 작업은 유약손질 후에 낱낱이 가마에 넣어 가마재임을 하게 된다.이 작업이 끝나면 출입구를 밀봉하고 점화를 한다. 본벌구이는 주야 연속으로 이틀간 불을 지펴야 되고 최고 온도는 1,300oC를 기준으로 한다. 불은 다섯 단계로 나누어 지피게 되는데 처음 불을 피움불 이라 하고, 다음을 벗김불 이라고 하며, 세 번째를 돋굼불, 네 번째를 녹힘불, 마지막 단계를 마감불로 구분한다. 온도 측정은 몇 가지 관찰 기준이 있으나 거의 육감으로 한다. 온도 측정시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불의 색깔이며 여기에 직접적인 연관 요인이 되는 굴뚝의 연기 색깔과 불의 소리, 나무의 질량과 시간들을 함께 관찰하면서 온도를 조절한다.
첫번째 피움불은 작품 속에 들어 있는 수분과 가마 내부의 습기를 천천히 증발시키기 위해 시름 불을 때게 되며 가마안에 습기가 모두 빠져 나가면 다음 단계에서는 그을음을 벗겨내야 한다. 첫 단계에서 천천히 불을 때다 보면 가마안이 그을음으로 가득차 있어 한 단계 불을 높여 땜으로써 모두 벗겨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불때가 모두 벗겨지게 되면 다시 한 단계를 높여 유약이 녹기 직전까지 열을 가하여 작품을 달구게 되는데 이것을 돋굼불 이라고 한다. 돋굼불 후반기에는 환원조정을 하면서 불을 때게 되며 가마 내부에 있는 갑발이 불색과 같이 달구어지는 것을 보아 지금까지는 봉통에서 장작을 넣어 열을 올리던 것을 이제부터는 옆창 구멍을 통해 가는 장작개비를 넣어 매단에 쌓아 놓은 갑발 속의 작품을 차례대로 녹여 올라간다.
마감불은 봉통의 열이 갑자기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환원시에 꺼내 놓은 숯을 다시 퍼 넣어 더운 공기를 계속 채워 주게 된다. 마지막으로 끝 구멍 까지 불이 끝나게 되면 봉통 입구를 밀봉하고 열이 떨어질 때까지 5 ~ 6일간 기다렸다가 가마안의 온도가 30oC 이하가 되면 요출을 하게 된다.
8. 상회구이
재벌구이 이후 유약의 표면에 저온의 안료와 유약을 입혀서 다시 한번 녹여 주어 장식하는 상회구이 기법이 있다. 그러나 이 상회부분의 장식은 오래 사용하면 벗겨져서 보기에 좋지 못하다. 실질적으로 한 작품이 나오기 까지는 적어도 24단계 이상의 공정을 거쳐야 하고 일상으로는 70여일이 소요되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을 거쳐 청자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만들어진 모든 작품들이 실패없이 완전하게 생산되는 것은 아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도 매회마다 100% 성공하여 요출된 것이 아니며, 현존하고 있는 명품이라면 국보나 보물급을 들 수 있는데 이것들도 거의 완성 당시부터 흠집이 있었다. 그만큼 청자란 모든 도자기 중에서 가장 만들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인류문화에 불후의 명기를 제작해 내었던 고려도공들도 수 백년 동안 전통을 이어 오면서 기량을 갈고 닦아 왔기 때문에 명품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이다.
Ⅴ. 고려청자 문양의 특징과 의미
1. 고려청자 문양의 특징
고려의 미술을 대표하는 것은 불화와 도자기이다. 고려는 건국초부터 국교를 불교로 정하였던 까닭에 불교미술의 눈부신 발전을 이룩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에서와 같이 거국적인 미술을 오늘에까지 남기지 못하고 몇 폭의 불화만을 전하는 것은 수차에 걸친 외침의 원인도 있었겠지만 귀족계급의 형성으로 인한 개인의식의 발로가 더욱 가까운 이유이다.
이것은 집단적인 예술의욕을 형성하지 못하고 특별 계급의 취미 수용에 부응하는 예술형태를 낳게 하였으니 여기서 발달을 보게된 것이 도자기이다. 도자기란 원래 인간의 상용생활에 있어서 무엇을 담고 운반하는 수단으로서의 물리적인 가치를 갖는 것으로 만족하다.
그러나 인간의 미의식이 차츰 미발상태(未發狀態)에서 발달하여감에 따라 이러한 물리적인 가치체 외에 심리적인 만족 즉, 미적 가치를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 이면에 여러가지 문양을 장식하게 되고 형태도 보다 새롭게 고안하게 된다. 이리하여 심리적인 가치와 사용적인 가치가 적당한 균형을 유지하는데서 우리는 그 시대 사람들이 생활감정이나 미적 의식을 읽어볼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심리적인 만족의 요구가 더욱 강하여 질 때 도자기의 미적인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적 가치를 무시해 버리게 된다. 그리하여 자기의 예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문양의 표현 소재나 형식이 다양하게 발달을 보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화적인 요구에 의하여 고려청자에 나타난 문양을 보면 종류가 다양하다.
2. 고려청자 문양의 상징과 의미
(1) 학 : 불로장생
(2) 오리 : 장원급제
(3) 모란 : 부귀영화
(4) 물고기 : 등과
(5) 용 : 절대권능, 둥용
(6) 국화 : 무병장수
(7) 둥근원 : 태양, 태양숭배
(8) 연꽃 : 부처님의 시계
(9) 호랑이 : 수호신, 액막이, 정월
참고문헌
◇ 김인규, 월주요청자와한국초기청자, 일지사, 2007
◇ 강대규, 고려청자(Goryeo Celadon), 국립중앙박물관, 2001
◇ 윤용이,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학고재, 1996
◇ 정양모, 고려청자, 대원사, 1998
◇ 정양모, 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 정현모, 고려청자, 경인문화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3.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