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실습 case - PPROM만삭전조기양막파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학실습 case - PPROM만삭전조기양막파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문헌고찰
-간호과정
-결론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법을 교육한다.
Foley catheter를 무균적으로 관리하였다. 또한 대상자에게 소변주머니는 항상 방광보다 아래에 있게 유지하고 관이 막히거나 꺾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② 감염의 증상을 교육하고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감염의 증상으로 발열, 통증, 열감,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때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① 시행함
(SN, RN)
② 시행함
(SN, RN)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① 대상자는 1일 이내 감염관련 검사지표
(WBC, seg neutrophils, lymphocyte)가 정상수치를 회복한다.
(목표 미달성)
장기목표 ①
①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감염의 증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11/21 퇴원 목표 달성)
간호진단
#4.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통증척도(NRS)가 3이하로 감소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퇴원전까지 움직일 때 느껴지는 통증이 견딜만 하다고 말할 것이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① NRS 점수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② 통증 관리 투약 전에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① 통증에 대한 정확한 사정은 효과적인 중재를 계획하고 올바른 중재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선택한 중재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② 활력징후 측정을 통해 통증에 대한 양상변화를 알 수 있다.
치료적
①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② 비약물적 통증완화법을 제공한다.
① 수술 후 환자가 스스로 자신의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
② 통증 전 투약은 투약효과를 증진시키고 산모의 불안을 감소시킨다.
교육적
① 대상자에게 PCA 사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① 통증은 호흡수와 리듬을 변화시키고, 호흡은 얕아진다.
간호수행
시행여부
진단적
① NRS 점수를 사정하고 기록한다.날짜
시간
점수
위치, 양상, 지속시간
11/16
23:01
8
복부, 뻐근함, 지속적(20분이상)
23:20
2
복부, 뻐근함, 지속적(20분이상)
② 대상자의 활력징후 정도를 사정한다.
시간
SBP
(mmHg)
DBP
(mmHg)
T
(℃)
P
(회/min)
R
(회/분)
SpO2
(%)
11/16
21:15
159
90
36.0
87
20
87
21:20
121
59
36.0
76
20
99
21:25
121
59
36.0
76
20
99
21:30
121
59
36.0
76
20
99
21:35
121
59
36.0
76
20
99
21:40
121
59
36.0
76
20
99
21:45
121
59
36.0
76
20
99
21:50
130
68
36.0
78
20
99
21:55
130
68
36.0
78
20
99
22:00
130
68
36.0
78
20
99
22:05
130
68
36.0
78
20
99
22:10
130
68
36.0
78
20
99
22:15
130
68
36.0
78
20
99
22:20
130
68
36.0
78
20
99
시간
SBP
(mmHg)
DBP
(mmHg)
T
(℃)
P
(회/min)
R
(회/분)
11/17
8:00
120
80
36.5
80
20
14:00
120
80
36.5
80
20
22:00
120
80
36.5
80
20
11/18
8:00
120
80
36.5
80
20
14:00
120
80
36.5
80
20
22:00
120
80
36.5
80
20
11/21
8:00
120
80
36.5
80
20
14:00
120
80
36.5
80
20
22:00
120
80
36.5
80
20
① 시행함
(RN)
② 시행함
(SN)
치료적
①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필요 시, Pethidine 50mg(IV) 투여하였다. (관찰)
② 비약물적 통증완화법을 제공한다.
조기 이상을 하면 신체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교육하고 조기 이상 하도록 도움을 주었으며 일어날 때나 기침할 때 베개로 수술부위를 지지하면 통증이 완화될 것이라고 교육하였고 대상자에게 좋아하는 노래를 들으며 있는 것도 마음이 안정되고 좋은 방법일 것 같다고 권유 하였다. (관찰)
① 시행함
(RN)
② 시행함
(RN)
교육적
① 대상자에게 PCA 사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IV PCA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관찰)
-버튼을 누르면 더 많은 용량이 들어가서 진통효과가 크다.
-하지만 정해진 용량이 투여된 후 일정기간(보통 10분-15분간) 버튼을 눌러도 진통제가 투여되지 않는다.
-오심 ,구토, 어지러움 등 부작용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이 있으면 즉시 말할 것을 교육하였다.
① 시행함
(RN)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①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통증척도(NRS)가 3이하로 감소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목표 부분달성)
장기목표 ①
① 대상자는 퇴원전까지 움직일 때 느껴지는 통증이 견딜만 하다고 말할 것이다.
(11/21 퇴원 목표 달성)
Ⅳ. 결론 및 평가
케이스 대상자 ooo 님은 IUP at 32/0wks인 초산모로, Latent syphilis, Urethral stricture로 본원 URO f/u 중인 환자로 내원 전일 오후 4시 30분경 소변 흐르는 느낌으로 외래 내원하였고 양수 검사상 양성소견 보여 처치 위해 입원하였다. NSVD를 시도하였으나 태아 절박가사의 위험이 감지되어 C/sec을 시행하였다. 감염을 나타내는 WBC 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퇴원 전까지 감염의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고 출혈의 위험성 또한 사정했지만 나타나지 않았다. C/sec operation 전 태아 조산, 감염의 위험성으로 인해 뇌성마비, 염증, 호흡곤란, 사망가능성을 설명하였으나 태아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진단으로는 분만 전 양막 파열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제왕절개 수술 및 분만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제왕절개 수술 및 분만, Foley catheter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을 내렸다.
Ⅴ.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597~599p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92~97p
모성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 167~168p
산과학, 대한산부인과학회
  • 가격5,000
  • 페이지수69페이지
  • 등록일2025.07.23
  • 저작시기202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4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