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문헌 고찰
2.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문헌 고찰
2.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태와 정도를 2시간마다 사정한다. (NRS와 PQRST 이용)
② 통증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증에 대한 사고와 감정을 표현하게 한다.
③ 통증에 대한 지식과 대상자의 통증에 대한 표현을 인정하고 공감한다.
④ 통증부위에 지지대(Chest Cardiac Support)를 적용한다.
⑤ 비약물적 통증조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전환요법, 이미지훈련법, 음악치료, 기분전환 등)
⑥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에 대해 설명하고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⑦ 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기 전 prn으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⑧ 대상자에게 절절한 이완요법을 유도한다.
간호수행
①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2시간마다 사정하였다.
② 대상자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통증에 대한 사고와 감정 표현을 촉진시켰다.
③ 대상자가 경험하고 있는 통증을 인정하고 공감해주었다.
④ 통증부위에 지지대(Chest Cardiac Support)를 적용해 주었다.
⑤ 비약물적 통증조절방법에서 인지행동요법 중 전환요법을 제공하였다.
⑥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에 대해 설명하고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⑦ OP site 쪽 팔에 ROM을 시행할 때 prn으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⑧ 이완요법으로 심호흡, 하품, 복식호흡 등을 유도하였다.
이론적근거
① 대상자의 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표이다
③ 통증과 두려움을 말할 기회를 갖지 못하면 통증에 대한인지와 반응이 증폭될 수 있다.
③ 통증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 후 대상자의 통증에 대한 표현을 믿어야 한다.
④ 통증부위를 고정하거나 억제하여 급성통증을 감소시킨다.
⑤ 통증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전환시킴으로 심리적인 반응을 변화시키게 도와준다.
⑦ 통증예방을 위한 선행진통 : 통증이 발생하기 전에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는 것
⑧ 이완요법의 과거 경험, 선호도, 금기 등을 고려하기 위해 계획에 동참시키고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간호평가
1. 2시간 이내에 통증사정점수가 7/10점에서 2/10점으로 하강하였다.
2. 2시간 이내에 얼굴표정이 편안해 지고 웅크린 자세를 취하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다.
3. PCA 사용법을 알고 있다고 말하며 스스로 시행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
간호진단
#2 수술과 관련된 호흡기능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숨쉬기 디다“
“아파서 숨도 잘 안 쉬어진다”
검사
/
/
/
정상치
단위
Hb
12.9
12.9
12.1
13.0~16.0
g/dl
1.OP: Left-lobeectomy 왼폐의 하엽 절제술시행
2.CBC 결과분석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운반과 조직에서 폐포로의 탄산가스 운반기능.
검사
5/12
5/14
5/15
정상치
단위
pO2
142
123
78.8
83-108
mmHg
O2sat
97.7
92
88
95-98
%
3. ABGA 결과분석
pO2 : 15일에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보아
O2sat : 정상치 보다 낮으므로 산화된 헤모글로빈의 양이 적음
3.분비물: 객혈 배출함
4.관찰/신체검진 1)시진 : - 호흡부속근 사용
간호목표
장기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1. 12시간 내에 대상자는 흉부물리요법을 통해 분비물을 배출한다.
2. 3시간 내에 O2sat이 95-98%로 유지된다.
3. 심호흡과 기침에 대한 방법을 알고 시행한다.
간호계획
① V/S 특히 호흡수를 2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호흡률, 리듬, 깊이와 흉부의 움직임, 호흡보조근 사용을 관찰한다.
③ 호흡하기에 편안한 자세(semi-fowler’s position)를 취해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④ 안절부절 못하거나 불안감, 빈맥, 혼돈 등이 있는지 duty당 2회 관찰한다.
⑤ 필요시 처방에 따라 nasal cannula로 분당5ℓ의 O2를 제공한다.
⑥ 처방에 따른 Nebulizer 사용법을 교육하고 대상자가 직접 시행하게 한다.
⑦ 심호흡과 기침에 대해 시범을 보이고 교육한다.
⑧ 객혈의 배출울 용이하게 하기 위해 흉부물리요법에 대해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① 2시간마다 활력징후 특히 호흡수를 사정하였다.
② 호흡률, 리듬, 깊이와 흉부의 움직임, 호흡보조근 사용을 duty당 3회 관찰하였다.
③ 호흡하기에 편안한 자세(semi-fowler’s position)를 취해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④ 안절부절 못하거나 불안감, 빈맥, 혼돈 등이 있는지 duty당 2회 관찰하였다.
⑤ 필요시 처방에 따라 nasal cannula로 분당5ℓ의 O2를 제공하였다.
⑥ 처방에 따른 Nebulizer 사용법을 교육하고 대상자가 직접 시행하게 하였다.
⑦ 심호흡과 기침에 대해 시범을 보이고 교육하였다.
⑧ 객혈의 배출울 용이하게 하기 위해 흉부물리요법에 대해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하였다.
이론적근거
① 콧구멍이 벌름거리고 호흡보조근육을 사용하면 비효율적 환기로 인한 것일 수 있다.
③ 똑바로 누우면 복부기관이 흉부로 이동하여, 폐를 밀어 호흡을 하기 힘들어진다.
④ 이러한 임상적 징후는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저산소증의 지표이다.
⑤ 폐의 환기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에게 저산소증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⑥ 좁은 기도를 열고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폐합병증을 예방하고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⑦ 심호흡과 기침시 OP site에 영향이 적게 가도록 베개로 지지해주어야 더 효과적이다.
⑧ 체위배액이나 타진법, 진동법 등을 이용해 물리적인 힘으로 객담을 배출을 도울 수 있다.
간호평가
1. 흉부물리요법을 제대로 알고 시행할 수 있다.
2. 3시간 내에 O2sat이 95-98%로 유지되는 것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 하였다.
3. 심호흡과 기침에 대한 방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직접 시행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Ⅲ.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현문사
원종순 외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② 통증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증에 대한 사고와 감정을 표현하게 한다.
③ 통증에 대한 지식과 대상자의 통증에 대한 표현을 인정하고 공감한다.
④ 통증부위에 지지대(Chest Cardiac Support)를 적용한다.
⑤ 비약물적 통증조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전환요법, 이미지훈련법, 음악치료, 기분전환 등)
⑥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에 대해 설명하고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⑦ 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기 전 prn으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⑧ 대상자에게 절절한 이완요법을 유도한다.
간호수행
①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2시간마다 사정하였다.
② 대상자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통증에 대한 사고와 감정 표현을 촉진시켰다.
③ 대상자가 경험하고 있는 통증을 인정하고 공감해주었다.
④ 통증부위에 지지대(Chest Cardiac Support)를 적용해 주었다.
⑤ 비약물적 통증조절방법에서 인지행동요법 중 전환요법을 제공하였다.
⑥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에 대해 설명하고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⑦ OP site 쪽 팔에 ROM을 시행할 때 prn으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⑧ 이완요법으로 심호흡, 하품, 복식호흡 등을 유도하였다.
이론적근거
① 대상자의 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표이다
③ 통증과 두려움을 말할 기회를 갖지 못하면 통증에 대한인지와 반응이 증폭될 수 있다.
③ 통증은 개별적이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 후 대상자의 통증에 대한 표현을 믿어야 한다.
④ 통증부위를 고정하거나 억제하여 급성통증을 감소시킨다.
⑤ 통증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전환시킴으로 심리적인 반응을 변화시키게 도와준다.
⑦ 통증예방을 위한 선행진통 : 통증이 발생하기 전에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는 것
⑧ 이완요법의 과거 경험, 선호도, 금기 등을 고려하기 위해 계획에 동참시키고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간호평가
1. 2시간 이내에 통증사정점수가 7/10점에서 2/10점으로 하강하였다.
2. 2시간 이내에 얼굴표정이 편안해 지고 웅크린 자세를 취하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다.
3. PCA 사용법을 알고 있다고 말하며 스스로 시행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
간호진단
#2 수술과 관련된 호흡기능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숨쉬기 디다“
“아파서 숨도 잘 안 쉬어진다”
검사
/
/
/
정상치
단위
Hb
12.9
12.9
12.1
13.0~16.0
g/dl
1.OP: Left-lobeectomy 왼폐의 하엽 절제술시행
2.CBC 결과분석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운반과 조직에서 폐포로의 탄산가스 운반기능.
검사
5/12
5/14
5/15
정상치
단위
pO2
142
123
78.8
83-108
mmHg
O2sat
97.7
92
88
95-98
%
3. ABGA 결과분석
pO2 : 15일에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보아
O2sat : 정상치 보다 낮으므로 산화된 헤모글로빈의 양이 적음
3.분비물: 객혈 배출함
4.관찰/신체검진 1)시진 : - 호흡부속근 사용
간호목표
장기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1. 12시간 내에 대상자는 흉부물리요법을 통해 분비물을 배출한다.
2. 3시간 내에 O2sat이 95-98%로 유지된다.
3. 심호흡과 기침에 대한 방법을 알고 시행한다.
간호계획
① V/S 특히 호흡수를 2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호흡률, 리듬, 깊이와 흉부의 움직임, 호흡보조근 사용을 관찰한다.
③ 호흡하기에 편안한 자세(semi-fowler’s position)를 취해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④ 안절부절 못하거나 불안감, 빈맥, 혼돈 등이 있는지 duty당 2회 관찰한다.
⑤ 필요시 처방에 따라 nasal cannula로 분당5ℓ의 O2를 제공한다.
⑥ 처방에 따른 Nebulizer 사용법을 교육하고 대상자가 직접 시행하게 한다.
⑦ 심호흡과 기침에 대해 시범을 보이고 교육한다.
⑧ 객혈의 배출울 용이하게 하기 위해 흉부물리요법에 대해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한다.
간호수행
① 2시간마다 활력징후 특히 호흡수를 사정하였다.
② 호흡률, 리듬, 깊이와 흉부의 움직임, 호흡보조근 사용을 duty당 3회 관찰하였다.
③ 호흡하기에 편안한 자세(semi-fowler’s position)를 취해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④ 안절부절 못하거나 불안감, 빈맥, 혼돈 등이 있는지 duty당 2회 관찰하였다.
⑤ 필요시 처방에 따라 nasal cannula로 분당5ℓ의 O2를 제공하였다.
⑥ 처방에 따른 Nebulizer 사용법을 교육하고 대상자가 직접 시행하게 하였다.
⑦ 심호흡과 기침에 대해 시범을 보이고 교육하였다.
⑧ 객혈의 배출울 용이하게 하기 위해 흉부물리요법에 대해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하였다.
이론적근거
① 콧구멍이 벌름거리고 호흡보조근육을 사용하면 비효율적 환기로 인한 것일 수 있다.
③ 똑바로 누우면 복부기관이 흉부로 이동하여, 폐를 밀어 호흡을 하기 힘들어진다.
④ 이러한 임상적 징후는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저산소증의 지표이다.
⑤ 폐의 환기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에게 저산소증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⑥ 좁은 기도를 열고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폐합병증을 예방하고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⑦ 심호흡과 기침시 OP site에 영향이 적게 가도록 베개로 지지해주어야 더 효과적이다.
⑧ 체위배액이나 타진법, 진동법 등을 이용해 물리적인 힘으로 객담을 배출을 도울 수 있다.
간호평가
1. 흉부물리요법을 제대로 알고 시행할 수 있다.
2. 3시간 내에 O2sat이 95-98%로 유지되는 것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 하였다.
3. 심호흡과 기침에 대한 방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직접 시행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Ⅲ.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현문사
원종순 외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현문사.
추천자료
폐암 케이스스터디
폐암 케이스 스터디...
소세포폐암 SCLCa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성인간호 케이스스터디] 폐암(lung cancer) casestudy.
폐암 (Lung Cance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LUL mass (SQC) - invasion to LLL...
폐암 Lung cancer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폐암 케이스(Lung cancer)
성인실습 A+ 보장 폐암 케이스, 케이스스터디, 집담회, case study
성인실습 A++ 보장 폐암 케이스, 케이스스터디, case
성인실습 A+++ 보장 폐암 케이스, 케이스스터디,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