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두음법칙(頭音法則)이란?
2. 음운현상
3. 두음제약 현상의 발생 원인
4. 학교문법에 나타난 두음법칙
5. 예상문제
※ 참고문헌
2. 음운현상
3. 두음제약 현상의 발생 원인
4. 학교문법에 나타난 두음법칙
5. 예상문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예) 로동신문 (노동신문), 로인(노인), 녀자(여자), 념원(염원)
▶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 - 교육인적자원부 (6차 교과서)
<학습활동 1>
1. 다음 한자의 음을 적어보자
(1) 羅列 旋律 比率
(2) 樂樂月 上老人 非論理的
<학습활동 2>
1. 다음의 북학식 표기를 표준어로 바꾸어 보자
(1) 녀성, 뇨소, 류대, 리롭다, 림시, 로력, 래일, 립춘, 립하
5. 예상문제
1. 다음 보기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력사 → 역사, 리익 → 이익, 려행 → 여행, 량심 → 양심
(나) 락엽 → 낙엽, 로상 → 노상, 론문 → 논문, 루명 → 누명
왕래 → 왕내, 종로 → 종노
(다) 녀자 → 여자, 념원 → 염원, 년보 → 연보, 닉명 → 익명
(1) 위의 보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현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보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은 두음법칙 현상으로, 국어의 분포의 제약 중에서 어두 및 음절 초에서의 제약에 해당하는 것으로 어두 및 음절초에 ‘ㄹ’ 이나 ‘ㄴ’이 올 수 없다는 제약 규칙이다.
(2) (가),(나),(다) 각각에 나타나는 음운형상을 규칙화하고 설명하시오.
→ (가)에 적용되는 규칙은 ㄹ- 탈락 규칙으로 어두에 오는 /l/은 /i, y/ 앞에서 탈락한다. [력사, 리익, 려행, 량심]은 두음 ㄹ이 탈락해서 역사, 이익, 여행, 양심이 되었다.
(나)에 적용되는 규칙은 ㄹ-비음화 규칙으로 한자어의 /l/이 어두나 어중에서 /n/으로 실현되는 현상이다. 이 현상 때문에 [락엽, 로상, 론문, 루명, 왕래, 종로]가 낙엽, 노상, 논문, 누명으로 되었고, 왕내, 종노로 발음된다.
(다)에 적용되는 규칙은 ㄴ-탈락 규칙으로 순우리말은 어두에서 /n/이 /i, y/앞에 나타나지 않는데 이때의 /n/은 0이 된다. /ㄴ/이 ‘ㅑ, ㅕ, ㅛ, ㅠ, ㅖ, ㅣ’ 등의 모음 앞에서 첫소리가 되는 것을 피하는 경우이다. 이 현상 때문에 [여자 ,념원, 년보, 익명]이 여자, 염원, 연보, 익명으로 표기되고 발음된다.
2. (가)~(라)에 각각 어떤 두음법칙 현상이 나타났는지 설명하시오.
(가) 결류, 광한루, 급랭, 낙뢰, 남녀, 냉랭, 동구릉, 생년월일 등등
(나) 신여성, 중노동, 내내월, 상노인, 공염불, 비논리적, 남부여대, 등
(다) 한국여자대학, 대한요소비료회사, 서울여관, 신흥이발관 등등
(라) 은 다섯 냥쭝, 차량 20량, 몇 리, 그럴 리가 없다.
→ 어두에 오는 한자음 \'ㄹ\', \'ㄴ\'은 두음 법칙의 적용을 받지만, (가)처럼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나)는 어두가 아니더라도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다. 이는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는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기 때문에 ‘신녀성’이 아니라 ‘신여성’이 되는 것이다. (다)는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 두음 법칙이 적용된다. (라)는 의존명사 냥, 냥쭝, 년, 량, 리 등은 두음 법칙과 관계없이 본음대로 적는다. 이는 의존 명사는 항상 어떤 말 뒤에서만 사용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3. 다음 중 두음법칙에 따른 표기가 잘못된 것은?
① 공염불(空念佛) ② 최린 ③ 규율(規律) ④ 국연(국제연합) ⑤선릉(宣陵)
※ 참고문헌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003
이기문 외, 『국어음운론』, 학연사, 1984
이진호,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05
최재희, 『한국어 교육 문법론』, 태학사, 2006
이동석,『국어 음운 형상의 공시성과 통시성』, 2006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
예) 로동신문 (노동신문), 로인(노인), 녀자(여자), 념원(염원)
▶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 - 교육인적자원부 (6차 교과서)
<학습활동 1>
1. 다음 한자의 음을 적어보자
(1) 羅列 旋律 比率
(2) 樂樂月 上老人 非論理的
<학습활동 2>
1. 다음의 북학식 표기를 표준어로 바꾸어 보자
(1) 녀성, 뇨소, 류대, 리롭다, 림시, 로력, 래일, 립춘, 립하
5. 예상문제
1. 다음 보기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력사 → 역사, 리익 → 이익, 려행 → 여행, 량심 → 양심
(나) 락엽 → 낙엽, 로상 → 노상, 론문 → 논문, 루명 → 누명
왕래 → 왕내, 종로 → 종노
(다) 녀자 → 여자, 념원 → 염원, 년보 → 연보, 닉명 → 익명
(1) 위의 보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현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 보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운 현상은 두음법칙 현상으로, 국어의 분포의 제약 중에서 어두 및 음절 초에서의 제약에 해당하는 것으로 어두 및 음절초에 ‘ㄹ’ 이나 ‘ㄴ’이 올 수 없다는 제약 규칙이다.
(2) (가),(나),(다) 각각에 나타나는 음운형상을 규칙화하고 설명하시오.
→ (가)에 적용되는 규칙은 ㄹ- 탈락 규칙으로 어두에 오는 /l/은 /i, y/ 앞에서 탈락한다. [력사, 리익, 려행, 량심]은 두음 ㄹ이 탈락해서 역사, 이익, 여행, 양심이 되었다.
(나)에 적용되는 규칙은 ㄹ-비음화 규칙으로 한자어의 /l/이 어두나 어중에서 /n/으로 실현되는 현상이다. 이 현상 때문에 [락엽, 로상, 론문, 루명, 왕래, 종로]가 낙엽, 노상, 논문, 누명으로 되었고, 왕내, 종노로 발음된다.
(다)에 적용되는 규칙은 ㄴ-탈락 규칙으로 순우리말은 어두에서 /n/이 /i, y/앞에 나타나지 않는데 이때의 /n/은 0이 된다. /ㄴ/이 ‘ㅑ, ㅕ, ㅛ, ㅠ, ㅖ, ㅣ’ 등의 모음 앞에서 첫소리가 되는 것을 피하는 경우이다. 이 현상 때문에 [여자 ,념원, 년보, 익명]이 여자, 염원, 연보, 익명으로 표기되고 발음된다.
2. (가)~(라)에 각각 어떤 두음법칙 현상이 나타났는지 설명하시오.
(가) 결류, 광한루, 급랭, 낙뢰, 남녀, 냉랭, 동구릉, 생년월일 등등
(나) 신여성, 중노동, 내내월, 상노인, 공염불, 비논리적, 남부여대, 등
(다) 한국여자대학, 대한요소비료회사, 서울여관, 신흥이발관 등등
(라) 은 다섯 냥쭝, 차량 20량, 몇 리, 그럴 리가 없다.
→ 어두에 오는 한자음 \'ㄹ\', \'ㄴ\'은 두음 법칙의 적용을 받지만, (가)처럼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나)는 어두가 아니더라도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다. 이는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는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기 때문에 ‘신녀성’이 아니라 ‘신여성’이 되는 것이다. (다)는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 두음 법칙이 적용된다. (라)는 의존명사 냥, 냥쭝, 년, 량, 리 등은 두음 법칙과 관계없이 본음대로 적는다. 이는 의존 명사는 항상 어떤 말 뒤에서만 사용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3. 다음 중 두음법칙에 따른 표기가 잘못된 것은?
① 공염불(空念佛) ② 최린 ③ 규율(規律) ④ 국연(국제연합) ⑤선릉(宣陵)
※ 참고문헌
강옥미, 『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2003
이기문 외, 『국어음운론』, 학연사, 1984
이진호,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05
최재희, 『한국어 교육 문법론』, 태학사, 2006
이동석,『국어 음운 형상의 공시성과 통시성』, 2006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