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두음법칙
2. 사이시옷
3. 부사 이/히
4. 띄어쓰기
2. 사이시옷
3. 부사 이/히
4. 띄어쓰기
본문내용
X)
제1과(O),
제10회 졸업식(O)
관례에 의해 한 단어로 간주되는 단어들은 붙여 쓴다.
관례에 의해 한 단어로 간주되는 단어
우리나라, 새해, 새순, 보잘것없다,
큰코다치다, 첫날밤, 띄어쓰기 등
기타 응용
너같이 비단 같은 마음
보조사는 붙여 쓰고, 형용사의 활용은 띄어 쓴다.
삼 년 만에
삼(숫자), 만(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에(조사)
참고 자료
두산백과, “두음법칙”,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5065& mobile&categoryId=200000822, 게재일 없음
강길화, “맞춤법 51항 부사 ‘-이, -히’, 일성여자중고등학교 국어교실, http://www. ajummaschool.com/Kimsboard/Kimsboard.php3?action=re&l=740&table=board31, 2009.08.28
이응백김원경, “사이시옷”,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5735& mobile&categoryId=432, 게재일 없음
두랄루민,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19편] ‘-이’와 ‘-히’로 끝나는 부사 1탄”, 세상 위로 듕듕,
http://blog.naver.com/hotony33?Redirect=Log&logNo=70122374232, 2011.10.27
Juwang, “띄어쓰기의 모든 것”, 주왕산 전설, http://blog.naver.com/hmjin80?Redirect=Log&log No=120142103996, 2011.10.12
제1과(O),
제10회 졸업식(O)
관례에 의해 한 단어로 간주되는 단어들은 붙여 쓴다.
관례에 의해 한 단어로 간주되는 단어
우리나라, 새해, 새순, 보잘것없다,
큰코다치다, 첫날밤, 띄어쓰기 등
기타 응용
너같이 비단 같은 마음
보조사는 붙여 쓰고, 형용사의 활용은 띄어 쓴다.
삼 년 만에
삼(숫자), 만(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에(조사)
참고 자료
두산백과, “두음법칙”,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5065& mobile&categoryId=200000822, 게재일 없음
강길화, “맞춤법 51항 부사 ‘-이, -히’, 일성여자중고등학교 국어교실, http://www. ajummaschool.com/Kimsboard/Kimsboard.php3?action=re&l=740&table=board31, 2009.08.28
이응백김원경, “사이시옷”,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5735& mobile&categoryId=432, 게재일 없음
두랄루민,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 19편] ‘-이’와 ‘-히’로 끝나는 부사 1탄”, 세상 위로 듕듕,
http://blog.naver.com/hotony33?Redirect=Log&logNo=70122374232, 2011.10.27
Juwang, “띄어쓰기의 모든 것”, 주왕산 전설, http://blog.naver.com/hmjin80?Redirect=Log&log No=120142103996, 2011.1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