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에서의 두음 법칙의 표기 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 맞춤법에서의 두음 법칙의 표기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기

Ⅱ. 두음 법칙의 표기
2. 1 제10항 ‘ㄴ’ 두음 법칙
2. 1. 1. 제10항과 ‘다만’
2. 1. 2. [붙임1] - 단어 첫머리 이외의 경우
2. 1. 3. [붙임 2] -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경우와 합성어의 경우
2. 1. 4. [붙임 3]- 고유 명사의 합성어
2. 2 제11항 ‘ㄹ’ 두음 법칙
2. 2. 1. 제11항과 ‘다만’
2. 2. 2. [붙임 1]과 ‘다만’- 단어 첫머리 이외의 경우
2. 2. 3. [붙임 2]- 한 음절로 된 이름
2. 2. 4. [붙임 3]- 준말과 두음 법칙
2. 2. 5. [붙임 4] -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경우와 합성어의 경우
2. 2. 6. [붙임 5] - 고유 명사와 십진법 표기
2. 3 제12항 ‘ㄹ’ 두음 법칙
2. 3. 1. [붙임 1] - 단어 첫머리 이외의 경우
2. 3. 2. [붙임 2] -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
2. 4. 그 밖의 두음 법칙 관련 조항
2. 4. 1. 제13항 겹쳐 나는 소리 2. 4. 2. 제52항 본음과 속음 표기

표 차례
<표 1> 한글 맞춤법 두음 법칙 관련 조항
<표 2> 국어 어문 규정집에 제시된 두음 법칙 예외 규정
<표 3> 제52항 중 두음 법칙과 관련된 예
<표 4>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와 적용되지 않는 경우

본문내용

속음으로 나는 것
승낙(承諾)
수락(受諾), 쾌락(快樂), 허락(許諾)
만난(萬難)
곤란(困難), 논란(論難)
안녕(安寧)
의령(宜寧) 리의도(1999:47)에 따르면 ‘녕’은 자음 뒤에서는 [녕]으로 발음되고, 모음 뒤에서는 [령]으로 발음된다고 한다. 하지만 사람 이름의 경우 혼란스럽다고 하면서 양국 선수 ‘김수녕(金秀寧)’과 대학 교수 ‘이어령(李御寧)’의 경우를 들고 있다. 둘 다 모음 뒤에 오지만 하나는 ‘녕’이고 하나는 ‘령’이다.
, 회령(會寧),
분노(忿怒)
대로(大怒), 희로애락(喜怒哀樂)
토론(討論)
의논(議論)
이쯤 되면 한글 맞춤법의 두음 법칙은 법칙이라 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예외 조항을 구성해야 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렇기에 연규동과 임홍빈 등은 두음 법칙은 표기의 문제가 아니라 발음의 문제라고 본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한글 맞춤법의 두음 법칙 표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두음 법칙은 제10항에서 12항까지 세 항에 걸쳐 규정되어 있으며, 10개의 [붙임]과 본문에만 3개의 ‘다만’항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해설서에는 ‘다만’으로 시작되는 2가지의 예외와 ‘한편’으로 시작하는 3가지의 예외, ‘그러나’로 시작되는 3가지의 예외가 설정되어 있다. 이 외에도 제13항과 제52항에도 관계되는 등 많은 예외 조항으로 규정 간에도 모순을 일으켜 하나의 한자어 형태소가 환경에 따라 모습을 달리한다. 그 결과 언중들의 예외를 모두 기억해야 하며, 본문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는 해설서를 꼼꼼히 읽고, 그것을 기억해야 하는 부담을 갖는다. 여기에 ‘신년도, 구년도’, ‘오륙도, 육륙봉’, ‘고랭지’ 등의 경우에는 발음이나 단어의 구조, 의미 차이까지 고려해서 두음 법칙을 적용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이상의 것들은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와 적용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표로 제시하면 <표 4>와 같다.
<표 4>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적용 여부
관련 규정
내용
적용하지 않는 경우
제10항, 제11항, 제12항
단어 첫머리
제10항 [붙임 2], [붙임 3]
제11항 [붙임 4], [붙임 5]
제12항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의 뒷말
제11항 [붙임 1]의 ‘다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의 ‘렬(烈, 列, 裂, 劣)’과 ‘율(律, 栗, 慄, 率)’
제11항 [붙임 4]의 ‘다만’
제12항 [붙임 1]의 ‘다만’
고유어(외래어)+란, 량
제13항
관용적인 발음
적용하는 경우
제10항 [붙임 1] 제11항 [붙임 1]
제12항 [붙임 1]
단어 첫머리 이외의 경우
제10항, 제11항의 ‘다만’
의존 명사
제11항 [붙임 2]
외자로 된 이름
제11항 [붙임 3]
준말
제11항 [붙임 4]
관용적인 발음
제10항 [붙임 2] 제12항 [붙임 2]
단어의 구조, 의미
제13항 해설
관용적인 발음
이에 대해 연규동은 제10항 ~ 12항은 본문은 본문대로 하고 각 조항의 [붙임]은 통합하게 되면 5개로 줄어들게 된다고 한다. 『통일시대의 한글 맞춤법』, 72쪽, 연규동, 박이정, 1999
또한 두음 법칙 조항은 여러 가지 표현상의 문제로 오해를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북한 맞춤법의 경우 두음 법칙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북한처럼 두음 법칙을 인정하지 않게 되면, 한자어 형태소의 모습을 고정시켜 표기할 수 있기에 동음이의어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참고 문헌>
『한글 맞춤법 무엇이 문제인가?』, 임홍빈 외, 태학사, 1997
『이야기 한글 맞춤법』, 리의도, 석필, 1999
『국어 정서법 연구』, 민현식, 태학사, 1999
『통일시대의 한글 맞춤법』, 연규동, 박이정, 1999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1.17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47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