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1학기 3단원 2주제) 이어주는 길. 교수 학습안 지도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3학년1학기 3단원 2주제) 이어주는 길. 교수 학습안 지도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별 지도 내용
2. 주제별 지도 계획 및 활동

본문내용

웃 고장으로의 여행
1. 학습 제재명 : 이웃 고장으로의 여행
2. 학습 목표 : ①우리 고장과 이웃 고장을 이어주는 길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②이웃 고장을 여행하고 여행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③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3. 수업의 기본 방향 : 이 제재에서는 앞 제재에서 다룬 우리 고장에서 사람이 가장 많이 다니는 곳의 특징과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이유를 파악한 이후에 그 연장선에서 그 범위를 이웃 고장까지 확대하여 학습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제재에서는 우리 고장에서 다른 고장으로 연결 되는 교통수단을 중심으로 이웃 고장으로 이어주는 길을 확인하고, 이웃 고장을 여행하는 동안 여러 가지 내용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여행 보고서로 작성하는 기능을 익혀, 여행에서 보고 들은 것을 다양한 형식의 보고서로 작성하여 발표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토대로 우리 고장과 이웃 고장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11~12차시)
우리 고장과 이웃 고장과의 관계는 확대되어, 사람들뿐만 아니라 여러 고장의 생산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통하여 여러 고장 사이의 상호 의존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본 제재 학습의 주된 목표이다.(13차시)
4. 주요학습요소의 내용 구조(핵심내용)
5. 교수-학습과정
◆ 11~12차시 : 우리 고장에서 이웃 고장 사이의 교통수단을 중심으로 고장 사이를 이어주는 길을 확인하고 이웃 고장을 여행하였던 기억을 떠올려 여행 보고서를 작성하여 발표해본다.(생략)
◆ 13차시 : 우리고장과 이웃 고장사이의 관계를 확대하여 여러 고장 사이의 생산물이 이동하는 과정을 알아보고 고장사이의 상호 의존관계를 파악한다.
단계
주요학습내용
교수학습활동
교수학습
자료
교사
학생
수업방법
13
차시
도입
(5')
전시학습
확인
전시학습 확인
T: 다른 고장으로 여행을 할 때 어떤 방법이 있었나요?
T: 보고서를 꾸밀 때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나요?
S: 기차를 타고가요/ 버스를 타요/ 배를 타고가요/ 고속도로를 타요/
S: 6하 원칙에 따라서 써요/ 거짓말로 쓰면 안되요/ 여행에서 재미있었던 것을 써요
일제학습
(복습하기)
공부할
문제 확인
오늘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우리고장 부산과 다른 고장의 관계 알아보기》
일제학습
전개
(30')
동기유발
(5')
‘길’에 대한 스무고개 놀이하기
T: 이것은 무엇일까요? 이것은 아주 길답니다.(등등 질문 20개)
농촌, 어촌, 산촌의 모습을 담은 VTR시청
S: 바나나/ 계단/ 머리카락/ 길
일제학습
(놀이)
VTR
모둠별
학습
(13')
다른 고장에서 들어오는 물건(조별 활동지:H)
H: 부산에서 유명한 물건은 무엇이 있을까요?
H: 다른 고장에서 들어오는 물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H: 다른 고장에서 들어오는 물건을 조사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숙제 : 다른 고장에서 부산으로 들어오는 물건을 가게나 시장에 가서 조사해 보기)
H: 다른 고장의 물건이 어떻게 부산으로 올까요?
(조별 토의 후 발표)
S: 자갈치/ 생선/ 회
S: 사과/ 배/ 복숭아/ 과자/ 하회탈/ 안동찜닭/ 도자기/ 영덕대게
S: 슈퍼에 가요/ 시장에 가요/ 인터넷으로 검색해요/ 엄마한테 물어봐요/ 박스에 대구 사과라고 적혀있어요
S: 큰 차에 실어서 와요/ 비행기로 와요/ 저는 가서 사왔어요/ 배타고 오는 것도 있어요
모둠별 토의학습
(토의하기)
(발표하기)
(숙제-조사하기)
조별 활동지
보충심화
(8')
여러 고장 사람들이 도움을 주고받는 모습
T: 농촌, 어촌, 산촌, 도시에서 생산되는 물건들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화살표로 나타내봅시다.
T: 농촌, 어촌, 산촌, 도시에 사람들이 어떤 도움을 주고받는지 발표해 봅시다.
S: (98page를 보면서 길을 따라 물건이 온 곳을 서로 이어준다)
S: 농촌사람들이 생선을 먹을 수 있게 어촌사람들이 도와줘요/ 도시에 사람들이 밥을 먹을 수 있게 농촌사람들이 도와줘요/ 산에 사는 사람도 생선을 먹을 수 있어요
모둠별 협동학습
(협동하기)
(발표하기)
농촌, 어촌, 산촌, 도시에서 생산되는 물건의 사진
결과발표
(4')
우리 고장 부산과 이웃 고장과의 왕래
T: 우리 고장 부산과 이웃 고장 간에 왕래가 필요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S: 부산에 없는 물건을 가져올 수 있어요/ 부산에서 나는 물건을 이웃 고장으로 가져가요
일제학습
(이해하기)
차시
정리
(5')
학습정리
학습활동 정리하기
T: 저번시간에 배웠던 것처럼 길을 통해서 여행도 할 수 있고, 이렇게 물건도 이동할 수 있습니다. 길이 없다면 우리가 사는 데 어려움이 많겠지요? 이렇게 길을 통해서 다른 고장 사람들과 함께 살고 있답니다.
일제학습
(정리)
예습
과제
파악
차시예고
T: 다음시간에는 다른 고장 사람들과 우리들을 편리하게 해주는 여러 가지들에게 편지를 써볼꺼에요. 여행했던 기억을 떠올려서 누구에게 편지를 쓸지 생각해오세요.
T: 수업마치겠습니다. 여러분 수고했어요.
S: 감사합니다.
일제학습
(예습하기)
6. 학습자의 사전 준비 및 예습과제 제시 방법
* 학습자의 사전 준비 - 이 차시에서는 학습자가 전 차시에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사이의 관계 및 농촌, 어촌, 산촌과 도시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목표이다. 그러므로 학습자는 전 차시에 공부한 우리고장과 다른 고장사이의 길에 대하여 가족들과 이야기해 보거나 부모님과 함께 다른 고장으로의 여행을 다녀오면 수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 이번 차시의 숙제 - 이번 차시에서 다른 고장에서 부산으로 들어오는 물건을 가게나 시장에 가서 조사해 보기라는 숙제를 주었는데 이를 통하여 아이들은 우리고장과 다른 고장 사이에 왕래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복습할 수 있을 것이다.
* 예습 과제 제시 - 마지막에 차시예고를 하면서 여행을 편리하게 해준 것 중 어떤 것에게 편지를 쓸지 생각해 오라고 하였다. 이것을 통하여 아이들은 고장 사이의 왕래를 편하게 만들어 주는 것에 대해 생각해보고 고마워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미리 많은 생각을 해 봄으로써 다음 수업시간에 더욱 알찬 편지를 쓸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6.22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4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