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연구문제
Ⅲ. 자료수집방법(집합조사)
Ⅳ. 자료분석방법 및 결과
Ⅴ. 본 논문에 대한 총평.
Ⅱ. 연구문제
Ⅲ. 자료수집방법(집합조사)
Ⅳ. 자료분석방법 및 결과
Ⅴ. 본 논문에 대한 총평.
본문내용
생 중 사회봉사과목 신청학생 혹은 해당강좌의 설명회,
소양강좌참여학생
자료수집기간: 2006학년도 1학기인 3월 중순 중 이틀간
2006학년도 2학기인 9월 중순 중 이틀간
총표본수: 총425부-응답불성실 7부-사회봉사경험 없는 학생 33명 = 385부 분석에 사용
Ⅳ. 자료분석방법 및 결과
이 연구의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의 네 가지 분석방법이 활용되었다.
분석방법
분 석 내 용
기술적 분석
(빈도분석,백분율,평균 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사회봉사관련특성, 사회봉사참여도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
사회봉사 참여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함.
단순상관관계분석
변수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
다중회귀분석
사회봉사활동의 참여빈도, 참여기간, 참여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함.
1.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사회봉사관련특성
사회봉사관련특성으로 특히 사회봉사의 중요성 인식에서 ‘크다’,‘매우크다’가 72.2%(275명)가 사회봉사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2.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참여도(참여기간,참여빈도,참여강도에 대한 세 문항 활용)
-참여빈도: ‘주당 4시간~6시간’28.2%(79명)으로 가장 많고, ‘13시간 이상’21.1%(58명)으 로 가장 적었음
-참여기간: ‘13개월~36개월’ 28.5%(71명)으로 가장 많고, ‘37개월 이상’ 20.1(50명)으로 가장 적었음
-참여강도: ‘보통’ 46.2%(163)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소극적’ 2.5%(9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나 자신의 주관적인 사회봉사참여강도를 적극적인 편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임.
3. 대학생 사회봉사회봉사활동의 참여도
이 연구문제에 사용 된 분석방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분석순서: 정규성(p>0.05) -> 등분산(p>0.05) -> 분석실시 (사후분석가능)
정규성 만족못하거나 정규성은 만족하나 등분산 만족못할 경우 Kruskal-Wallis 검정 (사후분석불가능)
분석의 특징: ANOVA에서는 차이가 있다 없다만 판단, 사후검정을 통해서는 독립변소의 어느 수준과 차이 가 있는지 파악이 가능
1) 사회봉사 참여빈도, 참여기간과 참여강도
(1) 사회봉사 참여빈도와 참여강도
▣ 결 과
참여빈도와 참여강도는 참여빈도 범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3.647, P<0.05)
▣ 사후검증결과(사회봉사참여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참여빈도의 차이 검증)
‘1~3시간’그룹과 ‘13시간이상’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
-> 사회봉사에 참여하는 빈도가 일주일에 1~3시간 또는 13시간 이상이냐에 따라 참여하 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
(2) 사회봉사 참여기간과 참여강도
▣ 결 과
참여기간과 참여강도는 참여기간 범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7.307, P<.001)
▣ 사후검정결과
‘1~3개월’의 그룹과 ‘37개월이상’ 그룹간 / ‘4~12개월’-‘37개월이상’ 그룹간 간 참여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위 기간들에 따라 참여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사회봉사 참여기간,참여강도와 참여빈도
참여기간에 따른 참여빈도 / 참여강도에 따른 참여빈도
참여기간과 참여빈도, 참여강도와 참여빈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4.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참여도 영향요인
대학생의 사회봉사 참여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게 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데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 실시
1) 변수들간의 관계
변수들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피어슨(Pearson)적률상관관계 계수를 확인
단순상관관계분석에선 변수가 등비인 경우 Pearson 상관
소양강좌참여학생
자료수집기간: 2006학년도 1학기인 3월 중순 중 이틀간
2006학년도 2학기인 9월 중순 중 이틀간
총표본수: 총425부-응답불성실 7부-사회봉사경험 없는 학생 33명 = 385부 분석에 사용
Ⅳ. 자료분석방법 및 결과
이 연구의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의 네 가지 분석방법이 활용되었다.
분석방법
분 석 내 용
기술적 분석
(빈도분석,백분율,평균 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사회봉사관련특성, 사회봉사참여도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
사회봉사 참여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함.
단순상관관계분석
변수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
다중회귀분석
사회봉사활동의 참여빈도, 참여기간, 참여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함.
1.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사회봉사관련특성
사회봉사관련특성으로 특히 사회봉사의 중요성 인식에서 ‘크다’,‘매우크다’가 72.2%(275명)가 사회봉사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2.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참여도(참여기간,참여빈도,참여강도에 대한 세 문항 활용)
-참여빈도: ‘주당 4시간~6시간’28.2%(79명)으로 가장 많고, ‘13시간 이상’21.1%(58명)으 로 가장 적었음
-참여기간: ‘13개월~36개월’ 28.5%(71명)으로 가장 많고, ‘37개월 이상’ 20.1(50명)으로 가장 적었음
-참여강도: ‘보통’ 46.2%(163)으로 가장 많았고, ‘매우 소극적’ 2.5%(9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나 자신의 주관적인 사회봉사참여강도를 적극적인 편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임.
3. 대학생 사회봉사회봉사활동의 참여도
이 연구문제에 사용 된 분석방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분석순서: 정규성(p>0.05) -> 등분산(p>0.05) -> 분석실시 (사후분석가능)
정규성 만족못하거나 정규성은 만족하나 등분산 만족못할 경우 Kruskal-Wallis 검정 (사후분석불가능)
분석의 특징: ANOVA에서는 차이가 있다 없다만 판단, 사후검정을 통해서는 독립변소의 어느 수준과 차이 가 있는지 파악이 가능
1) 사회봉사 참여빈도, 참여기간과 참여강도
(1) 사회봉사 참여빈도와 참여강도
▣ 결 과
참여빈도와 참여강도는 참여빈도 범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3.647, P<0.05)
▣ 사후검증결과(사회봉사참여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참여빈도의 차이 검증)
‘1~3시간’그룹과 ‘13시간이상’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
-> 사회봉사에 참여하는 빈도가 일주일에 1~3시간 또는 13시간 이상이냐에 따라 참여하 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
(2) 사회봉사 참여기간과 참여강도
▣ 결 과
참여기간과 참여강도는 참여기간 범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7.307, P<.001)
▣ 사후검정결과
‘1~3개월’의 그룹과 ‘37개월이상’ 그룹간 / ‘4~12개월’-‘37개월이상’ 그룹간 간 참여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위 기간들에 따라 참여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사회봉사 참여기간,참여강도와 참여빈도
참여기간에 따른 참여빈도 / 참여강도에 따른 참여빈도
참여기간과 참여빈도, 참여강도와 참여빈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
4.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 참여도 영향요인
대학생의 사회봉사 참여도를 설명하고 예측하게 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데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 실시
1) 변수들간의 관계
변수들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피어슨(Pearson)적률상관관계 계수를 확인
단순상관관계분석에선 변수가 등비인 경우 Pearson 상관
추천자료
대학과 지역사회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연계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학교폭력 가해 학생 교화프로그램
자원봉사의 개념과 특성 및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과 현황에 대해 논하시오.
[평생교육론] 성인문해교육의 이해와 우리나라 성인문해교육 정책 및 교육기관의 현황, 지원...
[사회과학] 20대 대학생 집단의 봉사활동과 성격과의 상관관계
20대 대학생 집단의 봉사활동과 성격과의 상관관계
가족 구성원 유연성 향상
자원봉사론] 1. 외국의 자원봉사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고 그중 한 국가를 선택하여 특징과 함...
[2020 청소년지도방법론][출처표기] 청소년수련시설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청소년운영위원회 ...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참여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과학적 접근으로서 이타주의 행동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