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법인의 범죄능력 인정에 관한 학설
3.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정한 사례
4. 법인의 처벌
5. 법인의 처벌의 법적 성질과 관련한 판례(무과실 책임설)
6. 양벌규정을 근거로 위반행위자를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
2. 법인의 범죄능력 인정에 관한 학설
3.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정한 사례
4. 법인의 처벌
5. 법인의 처벌의 법적 성질과 관련한 판례(무과실 책임설)
6. 양벌규정을 근거로 위반행위자를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
본문내용
의 벌칙규정에서 그 적용대상자를 건축주, 공사감리자, 공사시공자 등 일정한 업무주(業務主)로 한정한 경우에 있어서, 같은 법 제57조의 양벌규정은 업무주가 아니면서 당해 업무를 실제로 집행하는 자가 있는 때에 위 벌칙규정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적용대상자를 당해 업무를 실제로 집행하는 자에게까지 확장함으로써 그러한 자가 당해 업무집행과 관련하여 위 벌칙규정의 위반행위를 한 경우 위 양벌규정에 의하여 처벌할 수 있도록 한 행위자의 처벌규정임과 동시에 그 위반행위의 이익귀속주체인 업무주에 대한 처벌규정이라고 할 것이다.(대판[全合] 1999. 7. 15. 95도2870) 결국 양벌규정을 근거로 위반행위자를 처벌할 수 있느냐는 그 규정에 행위자 처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느냐는 당해 규정 해석의 문제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