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통놀이 의미 및 종류
2. 전통 놀이의 교육적 가치
3. 전통놀이가 사라져 가는 원인
4. 전통놀이 교육을 위한 통합적 교수방법
5. 전통놀이 교육 활성화 방안
6. 연령에 따른 전통놀이 활동
2. 전통 놀이의 교육적 가치
3. 전통놀이가 사라져 가는 원인
4. 전통놀이 교육을 위한 통합적 교수방법
5. 전통놀이 교육 활성화 방안
6. 연령에 따른 전통놀이 활동
본문내용
긴다.
-줄 감아 던져 돌리는 방법
팽이의 위쪽 쇠에 한 번 줄을 감아 내려와 아래ㅉ고 쇠를 감아 올라가되 줄을 끝에서 약간 남긴다.
오른손에 팽이를 들고 오른손 새끼손가락 사이에 줄을 끼워서 팔을 수평이 되게 하였다가 땅바닥에 힘차게 던진다.
제일 오랫동안 도는 팽이가 이긴다.
돌고 있는 팽이끼리 맞부딪쳐 쓰러뜨릴 수도 있다.
*도움말: 채를 사용한 전통 팽이는 유아들이 돌리기에 힘들어 하므로 줄을 감아 돌릴 수 있는 팽이를 준비해 둔다.
⑧ 풀싸움 놀이
*대상연령: 만 5세
*참여인원: 5~6명
*기대효과: 언어발달, 수 개념, 물리적 지식
*준비물: 여러 종류의 풀
*활동방법
-모두 함께 “시작”을 외치고 나서 풀밭으로 흩어져 풀잎을 뜯어 모은다.
-어느 정도 풀잎을 모으면 처음에 정한 장소에 모인다.
-맨 처음에 도착했던 유아가 자기가 모아 온 풀잎 중 하나를 골라 “자 이것은 민들레, 민들레를 내 놓아라” 라고 마라하며 민들레를 여러 유아들에게 들어 보여주면 나머지 유아들은 민들레를 내놓아야 한다.
-이 때 뜯어온 풀 중 민들레가 있으면 한 점을 얻고 민들레가 없는 유아는 한 점을 잃게 된다.
-처음으로 도착한 유아가 더 이상 부를 풀이 없으면 나머지 유아들 중 뜯어온 풀의 가짓수가 많은 유아가 다음으로 계속 놀이를 진행한다.
-놀이가 모두 끝나며 ㄴ총점을 헤아려 승자를 가린다.
*도움말: 여러 종류의 풀이름이 유아들에게 다소 생소하고 어려우므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통하여 여러 종류의 풀이름을 알아본 후 실시하도록 한다.
여러 정류의 풀을 같은 숫자로 나누어 가진 후 가위 바위 보를 하여 진 사람이 풀을 1개씩 버리는 놀이로도 실시할 수 있다.
⑨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대상연령: 만 5세
*참여인원: 7~8명
*기대효과: 운동기능 발달, 언어 발달, 공간 개념, 음률 개념
*준비물: 없음
*활동방법
-5~6명의 유아들이 두 줄로 마주보고 다리를 쭉 펴고 앉아 다리를 하나씩 교대로 끼운다.
-박자에 맞춰 다리를 짚어 줄 유아 1명을 정한다.
-노래의 박자에 맞춰 왼쪽 끝에서부터 다리를 하나씩 짚으며 오른쪽 끝까지 왔다가 다시 왼쪽 끝까지 간다.
-노래의 끝부분에서 짚이는 다리를 하나씩 뺀다.
-가장 나중까지 남았던 유아가 다음에 짚어주는 사람이 된다.
-끝까지 남는 유아가 이긴다.
노래 1. 이거리저거리각거리천사만-사다만-사
조-리 김치장독간 총-채비파리딱
2. 한알 대두알 대세 알대 팔대장-곤고두레뽕
제-비싹 싹무감주 보리찍담찍힌기 땡
3. 한갈래두갈래 각갈래 인사만-사주머니끈
똘-똘말아서 장두칼 어망갑주허리띠
*도움말: 노랫말이 다소 생소하므로 놀이 시작 전 노랫말의 바른 발음과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한 후 실시하도록 한다.
⑩ 고무줄놀이
*대상연령: 만 5세
*참여인원: 4명
*기대효과: 대근육발달, 운동기능 발달, 공간 개념, 언어 발달, 음률 개념
*준비물: 고무줄
*활동방법
-2명 혹은 여러 명이 편을 가른다.
-기둥을 사이에 두고 고무줄을 매기도 하고 진편의 아이 중 두세 아이가 고무줄을 붙잡은 다음 노래에 맞춰 고무줄 사이를 뛰고 딛고 휘감으며 논다.
-지방마다 노래와 동작이 조금씩 다르므로 정해진 원칙은 없으나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다.
박자에 맞춰 놀이가 끝날 때 정확히 반복된 동작이 끝나야 한다.
고무줄 높이를 조금씩 올린다.
마지막 동작은 고무줄을 밟으며 끝내는 경우가 많다.
박자를 못 맞추거나 고무줄을 밟아야 할 경우 고무줄이 엉키거나 튕겨 오르는 때는 죽는다.
노래는 짧고 가사를 바꾸어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움말: 한 줄 고무줄은 유아들이 활동하기에 힘들어 하므로 두 줄 고무줄놀이로 변형하여 실시한다.
⑪ 비석치기
*대상연령: 만5세
*참여인원: 3~4명
*기대효과: 대근육발달, 운동기능 발달, 공간 개념, 물리적 지식
*준비물: 없음
*활동방법
-2m거리를 두고 두 선을 긋는다.
-가위 바위 보로 편을 가르고 손바닥 크기의 돌을 준비한다.
-두 편 중 진 편은 건너편 금위에 자기들의 비석을 세운다.
-이긴 편은 출발선에서 비석이 세워진 위치로 가서 상대편의 비석을 넘어뜨린다.
-중간에 비석을 못 맞춘 아이는 죽는다. 이 때 비석을 모두 다 맞추지 못해서 1개의 비석이라도 살아 있으면 또다시 한다. 상대편의 비석이 1개라도 살아 있면 진편과 이긴 편의 위치가 바뀐다.
-비석치기의 방법 중 비석을 옮기는 신체 부위는 옮기기 쉬운 곳에서부터 어려운 곳으로 옮겨간다. 예를 들면 손등 위, 무릎 사이 끼우기, 겨드랑이 사이에 끼우기, 머리 위 등의 순서로 점차 변형한다.
*도움말: 돌조각을 발등에 얹고 돌을 맞추기 힘들어 할 경우 돌조각보다 조금 큰 볼링 핀을 세워 놓고 돌로 맞추어 보도록 한다.
⑫ 말타기
*대상연령: 만 5세
*참여인원: 6명
*기대효과: 대근육발달, 운동기능 발달, 공간 개념, 사회성 발달, 물리적 지식
*준비물: 없음
*활동방법
-두 편으로 나누어서 가위 바위 보로 이긴 편과 진편을 정한다.
-진 편 중에서 차례로 한 유아씩 마부로 세우고 나머지 유아들은 머리를 앞 사람 가랑이에 끼우고 앞 사람의 두 다리를 꽉 잡고 엎드려 말을 만든다.
-이긴 편은 차례로 멀리서 달려와 말 등에 올라탄다.
-두 손으로 말의 엉덩이를 누르며 위에 올라 탄 후 앞쪽으로 가까이 간다.
-말들에 이긴 편이 다 올라타면 맨 앞의 기수와 진편의 마부가 가위 바위 보를 한다. 이 때 마부가 이기면 말이 바뀌지만 지면 또다시 말이 된다.
-놀이 중 말이 된 유아 중에 유아라도 쓰러지거나 말 등에 탈 수 없게 흐트러지면 다시 시작한다.
-지나치게 힘껏 올라타거나 힘이 약한 유가가 끼어있을 경우 조심해야 한다.
*도움말: 상대편 유아가 등에 올라탈 경우, 엎드려 있는 유아가 넘어져 얼굴을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앞 친구의 다리를 꽉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참고문헌>
전통 놀이 교육 프로그램/ 이대균 저/ 양서원 1998.
전통 놀이 교육 활동/ 동은 유치원/ 양서원 1995.
유아를 위한 놀이 지도의 이론과 실제/ 유아 교육 교재 편찬회/ 학문사 1997.
-줄 감아 던져 돌리는 방법
팽이의 위쪽 쇠에 한 번 줄을 감아 내려와 아래ㅉ고 쇠를 감아 올라가되 줄을 끝에서 약간 남긴다.
오른손에 팽이를 들고 오른손 새끼손가락 사이에 줄을 끼워서 팔을 수평이 되게 하였다가 땅바닥에 힘차게 던진다.
제일 오랫동안 도는 팽이가 이긴다.
돌고 있는 팽이끼리 맞부딪쳐 쓰러뜨릴 수도 있다.
*도움말: 채를 사용한 전통 팽이는 유아들이 돌리기에 힘들어 하므로 줄을 감아 돌릴 수 있는 팽이를 준비해 둔다.
⑧ 풀싸움 놀이
*대상연령: 만 5세
*참여인원: 5~6명
*기대효과: 언어발달, 수 개념, 물리적 지식
*준비물: 여러 종류의 풀
*활동방법
-모두 함께 “시작”을 외치고 나서 풀밭으로 흩어져 풀잎을 뜯어 모은다.
-어느 정도 풀잎을 모으면 처음에 정한 장소에 모인다.
-맨 처음에 도착했던 유아가 자기가 모아 온 풀잎 중 하나를 골라 “자 이것은 민들레, 민들레를 내 놓아라” 라고 마라하며 민들레를 여러 유아들에게 들어 보여주면 나머지 유아들은 민들레를 내놓아야 한다.
-이 때 뜯어온 풀 중 민들레가 있으면 한 점을 얻고 민들레가 없는 유아는 한 점을 잃게 된다.
-처음으로 도착한 유아가 더 이상 부를 풀이 없으면 나머지 유아들 중 뜯어온 풀의 가짓수가 많은 유아가 다음으로 계속 놀이를 진행한다.
-놀이가 모두 끝나며 ㄴ총점을 헤아려 승자를 가린다.
*도움말: 여러 종류의 풀이름이 유아들에게 다소 생소하고 어려우므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통하여 여러 종류의 풀이름을 알아본 후 실시하도록 한다.
여러 정류의 풀을 같은 숫자로 나누어 가진 후 가위 바위 보를 하여 진 사람이 풀을 1개씩 버리는 놀이로도 실시할 수 있다.
⑨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대상연령: 만 5세
*참여인원: 7~8명
*기대효과: 운동기능 발달, 언어 발달, 공간 개념, 음률 개념
*준비물: 없음
*활동방법
-5~6명의 유아들이 두 줄로 마주보고 다리를 쭉 펴고 앉아 다리를 하나씩 교대로 끼운다.
-박자에 맞춰 다리를 짚어 줄 유아 1명을 정한다.
-노래의 박자에 맞춰 왼쪽 끝에서부터 다리를 하나씩 짚으며 오른쪽 끝까지 왔다가 다시 왼쪽 끝까지 간다.
-노래의 끝부분에서 짚이는 다리를 하나씩 뺀다.
-가장 나중까지 남았던 유아가 다음에 짚어주는 사람이 된다.
-끝까지 남는 유아가 이긴다.
노래 1. 이거리저거리각거리천사만-사다만-사
조-리 김치장독간 총-채비파리딱
2. 한알 대두알 대세 알대 팔대장-곤고두레뽕
제-비싹 싹무감주 보리찍담찍힌기 땡
3. 한갈래두갈래 각갈래 인사만-사주머니끈
똘-똘말아서 장두칼 어망갑주허리띠
*도움말: 노랫말이 다소 생소하므로 놀이 시작 전 노랫말의 바른 발음과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한 후 실시하도록 한다.
⑩ 고무줄놀이
*대상연령: 만 5세
*참여인원: 4명
*기대효과: 대근육발달, 운동기능 발달, 공간 개념, 언어 발달, 음률 개념
*준비물: 고무줄
*활동방법
-2명 혹은 여러 명이 편을 가른다.
-기둥을 사이에 두고 고무줄을 매기도 하고 진편의 아이 중 두세 아이가 고무줄을 붙잡은 다음 노래에 맞춰 고무줄 사이를 뛰고 딛고 휘감으며 논다.
-지방마다 노래와 동작이 조금씩 다르므로 정해진 원칙은 없으나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다.
박자에 맞춰 놀이가 끝날 때 정확히 반복된 동작이 끝나야 한다.
고무줄 높이를 조금씩 올린다.
마지막 동작은 고무줄을 밟으며 끝내는 경우가 많다.
박자를 못 맞추거나 고무줄을 밟아야 할 경우 고무줄이 엉키거나 튕겨 오르는 때는 죽는다.
노래는 짧고 가사를 바꾸어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도움말: 한 줄 고무줄은 유아들이 활동하기에 힘들어 하므로 두 줄 고무줄놀이로 변형하여 실시한다.
⑪ 비석치기
*대상연령: 만5세
*참여인원: 3~4명
*기대효과: 대근육발달, 운동기능 발달, 공간 개념, 물리적 지식
*준비물: 없음
*활동방법
-2m거리를 두고 두 선을 긋는다.
-가위 바위 보로 편을 가르고 손바닥 크기의 돌을 준비한다.
-두 편 중 진 편은 건너편 금위에 자기들의 비석을 세운다.
-이긴 편은 출발선에서 비석이 세워진 위치로 가서 상대편의 비석을 넘어뜨린다.
-중간에 비석을 못 맞춘 아이는 죽는다. 이 때 비석을 모두 다 맞추지 못해서 1개의 비석이라도 살아 있으면 또다시 한다. 상대편의 비석이 1개라도 살아 있면 진편과 이긴 편의 위치가 바뀐다.
-비석치기의 방법 중 비석을 옮기는 신체 부위는 옮기기 쉬운 곳에서부터 어려운 곳으로 옮겨간다. 예를 들면 손등 위, 무릎 사이 끼우기, 겨드랑이 사이에 끼우기, 머리 위 등의 순서로 점차 변형한다.
*도움말: 돌조각을 발등에 얹고 돌을 맞추기 힘들어 할 경우 돌조각보다 조금 큰 볼링 핀을 세워 놓고 돌로 맞추어 보도록 한다.
⑫ 말타기
*대상연령: 만 5세
*참여인원: 6명
*기대효과: 대근육발달, 운동기능 발달, 공간 개념, 사회성 발달, 물리적 지식
*준비물: 없음
*활동방법
-두 편으로 나누어서 가위 바위 보로 이긴 편과 진편을 정한다.
-진 편 중에서 차례로 한 유아씩 마부로 세우고 나머지 유아들은 머리를 앞 사람 가랑이에 끼우고 앞 사람의 두 다리를 꽉 잡고 엎드려 말을 만든다.
-이긴 편은 차례로 멀리서 달려와 말 등에 올라탄다.
-두 손으로 말의 엉덩이를 누르며 위에 올라 탄 후 앞쪽으로 가까이 간다.
-말들에 이긴 편이 다 올라타면 맨 앞의 기수와 진편의 마부가 가위 바위 보를 한다. 이 때 마부가 이기면 말이 바뀌지만 지면 또다시 말이 된다.
-놀이 중 말이 된 유아 중에 유아라도 쓰러지거나 말 등에 탈 수 없게 흐트러지면 다시 시작한다.
-지나치게 힘껏 올라타거나 힘이 약한 유가가 끼어있을 경우 조심해야 한다.
*도움말: 상대편 유아가 등에 올라탈 경우, 엎드려 있는 유아가 넘어져 얼굴을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앞 친구의 다리를 꽉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참고문헌>
전통 놀이 교육 프로그램/ 이대균 저/ 양서원 1998.
전통 놀이 교육 활동/ 동은 유치원/ 양서원 1995.
유아를 위한 놀이 지도의 이론과 실제/ 유아 교육 교재 편찬회/ 학문사 1997.
추천자료
[유아 전통놀이][유아교육][유치원교육]유아 전통놀이의 의의, 유아 전통놀이의 교육적 가치,...
[유아전통놀이][유아전래놀이][유아역할놀이][유아표현놀이][풍물놀이][민속놀이][사회가상놀...
전통놀이(민속놀이) 하늘땅놀이,기차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열발뛰기놀이, 전통놀이(민속...
놀이와 창의성과의 관계, 다양한 놀이를 통한 유아의 창의성 지도
유아전통놀이에 대한 교육현장 적용 방법을 모색해 보고, 이에 대한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해 ...
유아전통놀이에 대한 교육현장 적용 방법을 모색해 보고 이에 대한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해 자...
유아전통놀이에 대한 교육현장 적용 방법을 모색해보고 이에 대한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해 자...
영아들에게 전통적으로 제공되었던 놀이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이 놀이가 어떤 부분에 도움이...
민속놀이(전통놀이) 사례 굴까로가세, 긴줄넘기놀이, 민속놀이(전통놀이) 사례 도마뱀놀이, ...
유아 놀이활동 중 전래놀이에 대하여 자세히 서술하고, 그에 맞는 전래놀이 예시를 2가지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