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구의 지식인들에 의해 연구되어지는 현대의 실상은 포스트식민주의가 더 이상 과거의 그것과는 동일하지 않음을 잘 보여준다. 따라서 현대에서의 포스트식민주의는 과거 오리엔탈리즘에서 고백하는 그 전복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이해하고 적용할 수 없게 되었다. 결국 현대의 포스트식민주의는 하나의 이론적 탐구나 논의의 수준과 경계를 넘어 폭넓은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포스트식민학”(정정호 277)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전복성을 초월하여 상생과 호혜의 균형작용과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제국주의 사회의 근간을 이루었던 근대성은 식민지배국가로의 포식성을 함양하는 씨앗이 되었지만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문명의 발전 역시 거기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할 때, 이항대립의 사고의 틀에 근거한 포스트식민주의에 따라 그것을 전면 부정할 것인가? 식민지배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고자 대두되었던 민족주의가 변질되어 배타적인 형태로 변질되어 쌀림의 눈에 비친 아프리카를 계속해서 수용만 할 것인가? 남성의 지배적 상황에서 종속적 여성의 억압 행태를 부정하고자 했던 패미니즘이 역차별이라는 새로운 난제를 제시하는 지금에도 과거의 전복성만을 지속적으로 핵심으로 추구할 것인가? 이러한 현대적 변질의 문제에 대한 대답은 어쩌면 12세기 빅토르 위고의 고백에서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자신의 고향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도 상냥하고 초보자이다. 모 든 땅을 자신의 고향을 보는 사람이 이미 강한 사람이다. 그러나 전세계를 하나의 타향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완벽하다. 상냥한 사람은 이 세계의 한 곳 에만 애정을 고정시켰고, 강한 사람은 모든 장소로 애정을 확장했고, 완전한 인간은 자신의 고향을 소멸시켰다. (정정호에서 재인용 279)
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문화와 경제에서의 새로운 제국주의가 그 위력을 떨치는 현대에 적합한 포스트식민주의의 방향은 어쩌면 그 자체의 한정적 틀을 먼저 벗어던지는 초월적인 성격의 그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인용문헌
박종성. 「지배담론과 저항담론 사이의 틈새 읽기: 나이폴의 정치소설 연구」. 『영어영문학』
49.2 (2003): 349-68.
오인영.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의 이해와 수용」. 『동양학』 32 (2002): 69-83.
이경원. 「탈식민주의의 계보와 정체성」. 『비평과 이론』 5.2 (2000): 5-42
정정호. 『탈근대화와 영문학』. 태학사, 2004.
자신의 고향을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도 상냥하고 초보자이다. 모 든 땅을 자신의 고향을 보는 사람이 이미 강한 사람이다. 그러나 전세계를 하나의 타향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완벽하다. 상냥한 사람은 이 세계의 한 곳 에만 애정을 고정시켰고, 강한 사람은 모든 장소로 애정을 확장했고, 완전한 인간은 자신의 고향을 소멸시켰다. (정정호에서 재인용 279)
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문화와 경제에서의 새로운 제국주의가 그 위력을 떨치는 현대에 적합한 포스트식민주의의 방향은 어쩌면 그 자체의 한정적 틀을 먼저 벗어던지는 초월적인 성격의 그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인용문헌
박종성. 「지배담론과 저항담론 사이의 틈새 읽기: 나이폴의 정치소설 연구」. 『영어영문학』
49.2 (2003): 349-68.
오인영.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의 이해와 수용」. 『동양학』 32 (2002): 69-83.
이경원. 「탈식민주의의 계보와 정체성」. 『비평과 이론』 5.2 (2000): 5-42
정정호. 『탈근대화와 영문학』. 태학사, 2004.
키워드
추천자료
해체이론과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 변증법
흑인 영가에 대하여
한국정치학의 정체성과 탈식민주의- 한국학문의 언어구조와 욕망의 정치학 -
장미의 이름의 소설과 영화를 분석한 자료
마술적 사실주의의 역사적 맥락과 한국문학에서의 마술적 사실주의
초월주의 미국 수필가 Thoreau에 대해.
미국영어와 영국영어의 차이
0062 영어설교-하나님을 신뢰하는 것 Trusting in God(David & Goliath)
환경 친화적인 스마트빌딩과 도시 사례 - 중국 광저우의 스마트빌딩: 펄 리버 타워(The Pearl...
말레이시아 식민지 교육 (말레이시아 역사적 배경와 교육제도, 독립 이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