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Wheelbase의 정의
2) 1930년대 Old fashion car와 현대차량의 Wheelbase를 비교
3) Wheelbase 거리에 따른 장단점
4) 자동차의 운동
5) 자동차의 진동
2) 1930년대 Old fashion car와 현대차량의 Wheelbase를 비교
3) Wheelbase 거리에 따른 장단점
4) 자동차의 운동
5) 자동차의 진동
본문내용
패널이 진동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둔탁음을 발생함
스프트 노브가 크게 진동함
차체 전체가 상하 전후 진동함
시트가 진동
d) 클러치의 떨림
진동원인
클러치 디스크
디스크면의 거침, 기름 유입 등으로 디스크면의 마찰특성이 저하되어 스스로 진동을 일으킴
▼
전달계/
공진계
엔진계
구동계
타이어
서스펜션계
차체계
구동계 비틀림 공진으로 전달토크가 고르지 않게 됨
서스펜션에서의 입력으로 차체가 진동함
▼
진동부위
플로어
차체계
플로어가 진동함(인스트나 스티어링도 진동함)
차체 전체가 흔들림
e) FR 차량의 출발시 진동
진동원인
프로펠러축
발진 가속시에는 리어 서스펜션의 자세 변화 등에 의해 프로펠러축의 조인트 각도가 크게 변화되어, 이에 의해 엔진에서의 토크를 받아 2차 가진력(프로펠러축 회전수의 2배)을 발생함
▼
전달계/
공진계
센터 베어링
서스펜션계
차체계
센터 베어링의 마운트가 공진을 일으키면 진동이 커짐
프로펠러축의 2차 가진력은 구동계의 비틀림 진동을 일으켜 서스펜션에 전달됨
▼
진동부위
플로어 패널
스티어링계
시트
플로어 패널이 진동
스티어링휠이 상하 좌우로 진동
시트가 진동
f) 부들부들 거리는 진동
진동원인
엔진계
엑셀 조작에 의해 엔진에서의 토크가 급격히 변화해서 진동이 발생됨
▼전달계/
공진계
구동계
타이어
서스펜션계
엔진 마운트
구동계와 타이어가 비틀림 진동을 일으킴
타이어에서의 반력으로 서스펜션이 진동함
엔진의 롤링 진동이 마운트를 통해서 차체에 전달됨
▼
진동부위
서스펜션계
차체계
서스펜션과 엔진 마운트에서의 입력에 의해 차체가 진동함(강체진동)
g) 쉐이크
진동원인
타이어/휠
프로펠러축
드라이브축
브레이크 드럼
디스크 로터
타이어와 휠의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타이어 및 휠의 런 아웃 불량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조인트각이 크게 되면 가진력이 됨
회전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회전체의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
전달계/공진계
서스펜션계
엔진 마운트
서스펜션에서 흡수되지 않은 진동은 차체에 전달됨
서스펜션이 공진을 일으키면 진동이 크게 됨
엔진 마운트가 노화되어 있으면 진동이 크게 됨
▼
진동부위
차체계
스티어링계
시트
차체 전체가 진동함
스티어링이 상하 좌우로 진동함
시트가 진동함
h) 썸프(thump)
진동원인
타이어/휠
플랫 서포트와 유니포미터의 불량 부분에서 진동이 일어남
▼
전달계/
공진계
서스펜션계
타이어의 진동이 서스펜션을 통해 차체에 전달됨
서스펜션이 타이어의 진동에 공진하면 진동이 크게 됨(일반적으로 90∼100㎞/h에서 주행중에 공진하기 쉬움)
▼
진동부위
차체계
스티어링계
시트
가진력이 작은 경우는 \"퉁퉁\"하는 약한 음이 들림
가진력이 크면 쉐이크가 됨
i) 시미(shimmy)
진동원인
타이어/휠
노면
브레이크 로터
프런트 타이어 휠의 불균형, 타이어의 균일도 불량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요철 노면이 타이어를 진동신킴
프런트 타이어와 휠들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의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
전달계/공진계
스티어링 링크
서스펜션계
스티어링 링크의 떨림이 크거나 습동 저항에 흠이 있거나 하면 진동이 크게 됨
서스펜션이 전후로 공진하면 진동이 크게 됨
▼
진동부위
차체계
스티어링계
차체 전체가 진동함
스티어링 휠이 회전 방향으로 진동함
j) 브레이크 떨림
진동원인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디스크
드럼 진원의 불량, 편심 및 일그러짐에 의해 마찰면에 흠집이 발생되어 진동이 발생함
디스크 로터의 손상과 흔들림과 부식 및 두께의 변동에 의해 마찰면에 흠이 생겨 진동이 발생함
설치면의 뒤틀림도 원인이 됨
▼
전달계/공진계
서스펜션계
차체계
스티어링계
스티어링 링크 및 서스펜션이 공진을 일으키면 진동이 크게 됨
서스펜션에서의 압력이 차체에 전달됨
차체와 휠 등의 진동이 스티어링에 전달됨
브레이크 액압의 변동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에 맥동이 전달됨
▼
진동원인
플로어
브레이크 페달
스티어링 휠이 상하로 진동함
플로어가 진동함
브레이크 페달이 맥동함
k) 가속 페달의 진동
진동원인
엔진계
엔진 주변 장치들의 공진에서 엔진 진동이 크게 됨
▼
전달계/공진계
카브레이터
가속페달의 링크
가속페달의 와이어
엔진의 진동으로 카브레이터 가속페달의 링크가 공진을 일으켜 진동을 크게 함
가속페달 링크의 진동은 가속페달 와이어의 공진에서 증폭됨
▼
진동부위
가속페달
가속페달 와이어의 진동이 가속페달에 전달되어 진동함
l) 시프트 레버의 진동
진동원인
구동계
엔진 토크의 변동에 의해서 구동계에 진동이 발생함
▼
전달계/공진계
리어 익스펜션
케이스
리모트 로드
리어 익스텐션 케이스의 진동이 공진으로 커짐
FF 차량의 경우 리모트 로드의 진동이 공진으로 크게 됨
▼
진동부위
시프트 레버
시프트 레버에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을 일으킴
m) 아이들링시의 소음(트랜스미션 기어의 두드리는 소리)
진동원인
엔진계
클러치
트랜스미션 기어
클러치의 토션 스프링을 통해서 회전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됨
회전방향의 진동이 트랜스미션 기어의 전달 단면의 충돌음을 발생시킴
▼
전달계/공진계
공기 전파
리어 엔진 마운트
프로펠러축
서스펜션
미션 케이스에서의 방사음이 공기로 전달함
기어의 진동이 엔진 마운트와 프로펠러축 및 서스펜션을 통해서 차체에 전달됨
▼
잡음 부위
트랜스미션 케이스
차체계
기어의 진동에 케이스가 공진해서 소리가 발생됨
마운트와 서스펜션의 진동이 전달되어 차체에서 소리가 발생됨
n) FR 차량의 수동 트랜스미션 기어 노이즈
진동원인
차동기어
트랜스미션 기어의 톱니면이 거칠면 충격력에 의해 치합 진동을 일으킴
▼
전달계/공진계
차동 케이스
프로펠러축
리어 서스펜션
리어 엔진 마운트를 통해서 패널에 전달됨
리어 서스펜션을 통해서 패널에 전달됨
트랜스미션 케이스에서의 방사음이 공기 전파에 의해서 시프트 레버를 통해 직접 실내로 들어옴
▼
잡음부위
차체 패널
트랜스미션 케이스
플로어 패널이 진동해 소리가 발생됨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공진으로 소리가 발생됨
스프트 노브가 크게 진동함
차체 전체가 상하 전후 진동함
시트가 진동
d) 클러치의 떨림
진동원인
클러치 디스크
디스크면의 거침, 기름 유입 등으로 디스크면의 마찰특성이 저하되어 스스로 진동을 일으킴
▼
전달계/
공진계
엔진계
구동계
타이어
서스펜션계
차체계
구동계 비틀림 공진으로 전달토크가 고르지 않게 됨
서스펜션에서의 입력으로 차체가 진동함
▼
진동부위
플로어
차체계
플로어가 진동함(인스트나 스티어링도 진동함)
차체 전체가 흔들림
e) FR 차량의 출발시 진동
진동원인
프로펠러축
발진 가속시에는 리어 서스펜션의 자세 변화 등에 의해 프로펠러축의 조인트 각도가 크게 변화되어, 이에 의해 엔진에서의 토크를 받아 2차 가진력(프로펠러축 회전수의 2배)을 발생함
▼
전달계/
공진계
센터 베어링
서스펜션계
차체계
센터 베어링의 마운트가 공진을 일으키면 진동이 커짐
프로펠러축의 2차 가진력은 구동계의 비틀림 진동을 일으켜 서스펜션에 전달됨
▼
진동부위
플로어 패널
스티어링계
시트
플로어 패널이 진동
스티어링휠이 상하 좌우로 진동
시트가 진동
f) 부들부들 거리는 진동
진동원인
엔진계
엑셀 조작에 의해 엔진에서의 토크가 급격히 변화해서 진동이 발생됨
▼전달계/
공진계
구동계
타이어
서스펜션계
엔진 마운트
구동계와 타이어가 비틀림 진동을 일으킴
타이어에서의 반력으로 서스펜션이 진동함
엔진의 롤링 진동이 마운트를 통해서 차체에 전달됨
▼
진동부위
서스펜션계
차체계
서스펜션과 엔진 마운트에서의 입력에 의해 차체가 진동함(강체진동)
g) 쉐이크
진동원인
타이어/휠
프로펠러축
드라이브축
브레이크 드럼
디스크 로터
타이어와 휠의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타이어 및 휠의 런 아웃 불량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조인트각이 크게 되면 가진력이 됨
회전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회전체의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
전달계/공진계
서스펜션계
엔진 마운트
서스펜션에서 흡수되지 않은 진동은 차체에 전달됨
서스펜션이 공진을 일으키면 진동이 크게 됨
엔진 마운트가 노화되어 있으면 진동이 크게 됨
▼
진동부위
차체계
스티어링계
시트
차체 전체가 진동함
스티어링이 상하 좌우로 진동함
시트가 진동함
h) 썸프(thump)
진동원인
타이어/휠
플랫 서포트와 유니포미터의 불량 부분에서 진동이 일어남
▼
전달계/
공진계
서스펜션계
타이어의 진동이 서스펜션을 통해 차체에 전달됨
서스펜션이 타이어의 진동에 공진하면 진동이 크게 됨(일반적으로 90∼100㎞/h에서 주행중에 공진하기 쉬움)
▼
진동부위
차체계
스티어링계
시트
가진력이 작은 경우는 \"퉁퉁\"하는 약한 음이 들림
가진력이 크면 쉐이크가 됨
i) 시미(shimmy)
진동원인
타이어/휠
노면
브레이크 로터
프런트 타이어 휠의 불균형, 타이어의 균일도 불량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요철 노면이 타이어를 진동신킴
프런트 타이어와 휠들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의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
▼
전달계/공진계
스티어링 링크
서스펜션계
스티어링 링크의 떨림이 크거나 습동 저항에 흠이 있거나 하면 진동이 크게 됨
서스펜션이 전후로 공진하면 진동이 크게 됨
▼
진동부위
차체계
스티어링계
차체 전체가 진동함
스티어링 휠이 회전 방향으로 진동함
j) 브레이크 떨림
진동원인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디스크
드럼 진원의 불량, 편심 및 일그러짐에 의해 마찰면에 흠집이 발생되어 진동이 발생함
디스크 로터의 손상과 흔들림과 부식 및 두께의 변동에 의해 마찰면에 흠이 생겨 진동이 발생함
설치면의 뒤틀림도 원인이 됨
▼
전달계/공진계
서스펜션계
차체계
스티어링계
스티어링 링크 및 서스펜션이 공진을 일으키면 진동이 크게 됨
서스펜션에서의 압력이 차체에 전달됨
차체와 휠 등의 진동이 스티어링에 전달됨
브레이크 액압의 변동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에 맥동이 전달됨
▼
진동원인
플로어
브레이크 페달
스티어링 휠이 상하로 진동함
플로어가 진동함
브레이크 페달이 맥동함
k) 가속 페달의 진동
진동원인
엔진계
엔진 주변 장치들의 공진에서 엔진 진동이 크게 됨
▼
전달계/공진계
카브레이터
가속페달의 링크
가속페달의 와이어
엔진의 진동으로 카브레이터 가속페달의 링크가 공진을 일으켜 진동을 크게 함
가속페달 링크의 진동은 가속페달 와이어의 공진에서 증폭됨
▼
진동부위
가속페달
가속페달 와이어의 진동이 가속페달에 전달되어 진동함
l) 시프트 레버의 진동
진동원인
구동계
엔진 토크의 변동에 의해서 구동계에 진동이 발생함
▼
전달계/공진계
리어 익스펜션
케이스
리모트 로드
리어 익스텐션 케이스의 진동이 공진으로 커짐
FF 차량의 경우 리모트 로드의 진동이 공진으로 크게 됨
▼
진동부위
시프트 레버
시프트 레버에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을 일으킴
m) 아이들링시의 소음(트랜스미션 기어의 두드리는 소리)
진동원인
엔진계
클러치
트랜스미션 기어
클러치의 토션 스프링을 통해서 회전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됨
회전방향의 진동이 트랜스미션 기어의 전달 단면의 충돌음을 발생시킴
▼
전달계/공진계
공기 전파
리어 엔진 마운트
프로펠러축
서스펜션
미션 케이스에서의 방사음이 공기로 전달함
기어의 진동이 엔진 마운트와 프로펠러축 및 서스펜션을 통해서 차체에 전달됨
▼
잡음 부위
트랜스미션 케이스
차체계
기어의 진동에 케이스가 공진해서 소리가 발생됨
마운트와 서스펜션의 진동이 전달되어 차체에서 소리가 발생됨
n) FR 차량의 수동 트랜스미션 기어 노이즈
진동원인
차동기어
트랜스미션 기어의 톱니면이 거칠면 충격력에 의해 치합 진동을 일으킴
▼
전달계/공진계
차동 케이스
프로펠러축
리어 서스펜션
리어 엔진 마운트를 통해서 패널에 전달됨
리어 서스펜션을 통해서 패널에 전달됨
트랜스미션 케이스에서의 방사음이 공기 전파에 의해서 시프트 레버를 통해 직접 실내로 들어옴
▼
잡음부위
차체 패널
트랜스미션 케이스
플로어 패널이 진동해 소리가 발생됨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공진으로 소리가 발생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