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과정] 실외 활동의 계획과 운영, 식사 및 간식 활동의 계획과 운영, 낮잠 및 휴식 활동의 계획과 운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과정] 실외 활동의 계획과 운영, 식사 및 간식 활동의 계획과 운영, 낮잠 및 휴식 활동의 계획과 운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시작하며

2. 실외 활동의 계획과 운영
1) 실외 활동의 의의
2) 실외 활동의 지도

3. 식사 및 간식 활동의 계획과 운영
1) 식사 및 간식 활동의 의의
2) 식사 및 간식 활동의 지도

4. 낮잠 및 휴식 활동의 계획과 운영
1) 낮잠 및 휴식 활동의 의의
2) 낮잠 및 휴식 활동의 지도

5. 내용정리 및 마무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몸을 활용하는 운동 놀이와 물, 모래 놀이, 등과 함께 어린이집 주변 돌아보기, 산책하기, 가게에 가서 물건 사보기, 텃밭 가꾸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 관련 활동을 통해 자신이 속해 있는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 이에 친숙해지면서 다양한 경험을 쌓게 된다. 따라서 보육시설에서는 실외 활동에서 일상 생활 관련 활동을 한 달에 2회 이상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 활동에서도 이야기 나누기, 동화 듣기, 조형 활동, 역할 놀이, 요리 활동 및 과학 활동 등 실내 자유선택 활동이나 대소집단 활동에서 하는 활동들을 할 수 있다. 이 놀이들은 실외놀이터의 그늘을 활용하여 작업상과 의자를 놓거나 돗자리나 멍석 등을 갈고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영유아가 조용히 책을 읽거나 쉴 수 있는 곳도 필요하다.
간식이나 식사 시간은 영유아의 심신 발달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하며 음식과 식생활에 관한 지식을 넓히고 바른 식생활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시간이다. 영양적으로 균형 있는 식사는 영유아의 건강과 신체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보육시설에서는 성장기 영유아의 발달단계와 영양적 요구를 고려하여 급간식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교사는 간식이나 식사 전, 식사 시, 식사 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지켜야 할 예절이나 바른 식생활 태도를 지킬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간식이나 식사의 양은 영유아의 연령과 개인차를 고려하고 학기가 지남에 따라 간식과 식사의 준비나 정리도 영유아들이 함께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참여할 수 있게 계획하고 운영한다.
일과 시간 동안 영유아는 활동량이 많아 피곤해지기 쉬우므로 휴식이 필요하다. 휴식이나 낮잠은 영유아의 피로와 긴장을 풀어주어 건강에 도움이 되며 다음에 이어지는 활동에 새로운 힘과 여유를 가지도록 한다.
영유아는 피곤해하면서도 스스로 쉬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잊어버릴 수 있으므로 영유아의 상태를 관찰하여 휴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개별적으로나 반 전체 영유아가 쉬거나 낮잠을 자도록 배려한다.
휴식 시간은 하루 일과의 특성이나 계절, 날씨 등을 고려하여 매일 일정하게 운영하거나 영유아의 연령이나 활동량에 따라 융통성 있게 휴식 및 낮잠 시간을 계획하는 것이 좋다. 휴식시간에는 조용한 음악을 들려주는 것도 좋으며 낮잠 시간에는 잠들기 전까지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도 좋다. 휴식을 취하거나 낮잠을 자는 공간은 조명을 조절해주고 특히 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에는 실내 온도 조절에 더욱 유의한다.
휴식과 낮잠 활동이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지도한다.
첫째, 휴식과 낮잠을 위한 장소와 준비물을 마련한다.
둘째, 휴식과 낮잠을 취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한다.
셋째, 영유아의 개별적 특성에 맞는 휴식과 낮잠 시간을 운영한다.
넷째, 융통성 있는 시간 운영을 한다.
다섯째, 낮잠 전 후에 화장실 가는 시간을 반드시 제공하며 휴식과 낮잠 준비 및 정리 과정에 영유아가 직접 참여하게 한다.
여섯째, 낮잠을 자는 것도 중요하지만 깨는 시간도 중요하다. 영유아가 낮잠을 깨고 난 후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사는 민감하고 다정하게 상호 작용을 하여 영유아가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일곱째, 교사는 휴식과 낮잠 시간에 모델의 역할을 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상림, 한준아 외 저, 보육과정, 양서원 2013
정옥분 저, 보육과정, 학지사 2013
조복희, 공인숙 외 저, 보육과정, 교육과학사 2013
김지은, 문혁준 외 저, 보육과정, 창지사 2013
신재한 저, 영유아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3
문미옥 저, 교육과 보육을 위한 영유아 교육과정, 창지사 2013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9.3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