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서양문화 B형] 본 교재 5장 서구와 비서구 세계 부분의 참고문헌들 중 한 권을 참고하여, 발전과 저발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미를 기술하고, 그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서양문화 B형] 본 교재 5장 서구와 비서구 세계 부분의 참고문헌들 중 한 권을 참고하여, 발전과 저발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미를 기술하고, 그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근대화 이론과 종속이론
1) 근대화 이론 : 발전이론
(1) 근대화 이론의 개념
(2) 근대화 이론의 유형
① 사회심리학적 이론
② 분화-통합의 이론
③ 유형 변수적 접근
(3) 근대화 이론의 공통된 접근방법
① 사회변동 분석에 있어서 단위 설정
② 사회발전에 대한 단선적 견해
2) 종속이론 : 저발전이론
(1) 종속이론의 개념
(2) 종속이론의 유형
① 프랑크의 종속이론 : 저발전의 발전론
② 카르도스의 종속이론 : 종속적 발전
③ 월러스타인의 세계체제론
(3) 종속이론의 공통적 접근방법
① 역사적 접근방법 강조
② 분석단위의 확장
2. 근대화 이론과 종속이론을 통해 본 발전과 저발전의 의미
1) 근대화 이론 : 개발도상국은 선진국 근대화를 통해 발전
2) 종속이론 : 개발도상국은 선진국 유도에 의해 종속되어 저발전
3. 근대화 이론과 종속이론을 통해 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미
1)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개념
2)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미
(1) 근대화 이론 관점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미
(2) 종속이론 관점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미

Ⅲ. 결론
- 에드워드 사이드의 문화와 제국주의를 통한 나의 의견 제시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이 발생했다.
(2) 종속이론 관점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의미
종속이론의 역사는 대략 세 개의 문턱을 통과한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첫째 문턱은, 선진국 중심의 발전모델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한다. 가령 대표적인 발전이론가였던 로스토는 이렇게 말한다. “지금 여러분은 땅바닥을 기고 있지만, 이왕 기는 거 열심히 기라. 기는 데 익숙해지면 점차 속도가 붙을 거고, 속도가 빨라지면, 저기 비행기 보이지? 비행기가 이륙하듯이 여러분도 땅바닥에서 둥실 떠올라 이륙할 때가 올 것이다. 그때 여러분은 우리 선진국의 대열에 함께 서서, 그동안 참고 참으며 부풀린 빵을 나누어 먹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로스토의 이륙이론이라고 부른다. 물론 여기서 몇몇 솔직한 단어들을 경제학 용어들로 바꾸면 생각처럼 자존심 상하는 얘기로 들리진 않을 것이다. 여기서는 발전된(developed) 나라와 발전중인(developing) 나라, 그리고 혹시 있다면 아직 발전하지 않은 나라만이 있을 뿐이다. 종속이론의 문제설정을 가장 명확하게, 그리고 가장 먼저 이론적으로 제시한 사람은 라틴아메리카 경제학자 앙드레 군더 프랑크였다. 그는 발전된-발전될 나라만이 있다는 생각을 반박하면서, 제3세계에 대한 선진국, 아니 제국주의 나라들의 투자는 발전을 가져온 게 아니라 반대로 저발전의 발전만을 가져왔을 뿐이라고 말한다. 저발전(underdevelopment)이란 아직 발전하지 않았지만 언젠가 발전할 어떤 상태가 아니다. 그것은 발전하지 못하는 것이고, 발전과 반대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저발전의 발전이란 발전과는 반대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쉽게 말해 땅바닥을 아무리 빨리 긴들, 혹은 자동차를 타고 아무리 빨리 달린들 그게 비행기처럼 뜰 수는 없다는 것이다.
Ⅲ. 결론
- 에드워드 사이드의 문화와 제국주의를 통한 나의 의견 제시
“제국주의 지배로부터 해방하고자 투쟁하는 민족적 정체성은 국가 속에서 거처를 찾았고 그리고 명백히 국가로 완성되었다. 그 결과 군개, 깃발, 입법, 국민교육계획, 유력한(하나가 아닌) 정치 정당들이 생겨났고 대체로 영국인들이나 프랑스인들에게 주어졌던 자리들이 민족주의적 엘리트들에게 주어졌다.” (문화와 제국주의 456쪽 중에서)
“강국은 점점 더 강하고 부유하게 되고 약소국은 점점 더 세력이 약화되고 가난해지기 쉽다. 그 둘의 간격은 적어도 유럽에서는 의미가 약화된 사회주의 정권과 자본주의 정권이라는 이전의 구분을 능가한다.” (문화와 제국주의 487쪽 중에서)
종속 이론에 관한 글을 읽으면서 저개발 국가들의 발전이 늦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모순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몇 가지 납득하기 어려운 점들이 있지만 오늘날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관계를 현실적으로 설득력 있게 잘 해석하였다고 생각한다. 자료에서는 주로 라틴 아메리카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는데 우리는 우리의 상황에 맞게 해석을 해야 할 것이다. 종속이론, 즉 저발전의 발전이라는 주제가 말하고 있는 내용 중에서 두 번째 가설-\'중심과의 관계가 가장 약했을 때 위성은 최대의 경제 발전 및 가장 고전적인 자본주의적 공업발전을 경험한다\'라는 내용은 무척이나 의미심장하다고 생각한다. 이제까지 우리는 우리가 아무런 자원도 없이 우리의 노력만으로 일어섰다는 점에 대하여 굉장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종속 이론에 따르면 우리는 우리가 잘나서 공업화에 성공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다행스럽게도(?) 제국의 이목을 주목시킬만한 석유나 기타 등등의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종속화가 되는 것을 피하고 공업화를 이루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공업화에 성공할 수 있었던 다른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었다. 결코 종속 이론만 가지고 생각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또한 신발, 가방을 만들던 중국이 하이테크 산업에도 진출하고 인공위성을 쏘아올림으로써 선진국들을 긴장시킨 사건과 미국의 IT하청 국가였던 인도가 관계를 역전시키는 현상에도 종속이론이 적용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속 이론은 우리에게 중요한 점을 주지시켜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은 한 가지 목표를 위해서 경쟁하고 있다. 그 목표는 다름 아닌 경제적 번영이다. 문제는 이 경주가 공평한 룰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앞에서 달리고 있는 사람들은 계속 앞에서 달리고, 뒤에서 달리는 사람들이 그들을 역전한다는 것은 절대 일어날 수 없다. 조금 따라온다 싶으면 바로 제제가 들어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1997년에 IMF시대를 맞이하였다. 이제까지는 별 볼일 없던 나라가 갑자기 여유가 좀 생겼다고 하다가 뒤통수를 맞은 셈인 것이다. 엄청난 규모의 외국 자본에 비하면 우리의 자본은 너무나도 약하고 따라서 여기에 휘둘리고 종속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다.
종속이론은 우리에게 우리도 잘나가는 국가처럼 발전할 수 있다는 장미 빛 미래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아무리 발버둥 쳐도 안 된다는 냉혹한 현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는 무작정 선진국들의 발전 모델을 따라갈 생각을 하지 말고 좀 더 신중하게 우리의 입장을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에서 종속이론의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에드워드 사이드 지음, 김성곤·정정호 옮김(2011) 문화와 제국주의, 도서출판 창
이태주 지음(2006) 문명과 야만을 넘어서 문화읽기, 프로네시스
존 홉슨 지음, 정경옥 옮김(2005) 서구 문명은 동양에서 시작되었다, 에코리브르
마르코 폴로 지음, 김호동 옮김(2000) 동방견문록, 사계절
루츠 판 다이크 지음, 안인희 옮김(2005)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 웅진지식하우스
염홍철 편저(2002) 제3세계와 종속이론, 한길사
Ronald H.Chilcote(1986) 발전과 저발전의 이론, 나남출판사
김웅진 외 편역(1992) 비교정치론 강의 2 - 제3세계의 정치변동과 정치경제, 한울아카데미
김영명(1978) 발전이론으로서의 종속이론연구, 서울대학교
김웅진(1997) 비교정치론 강의1, 한울아카데미
정윤형(1994) 서양경제사상사연구, 창작과 비평사
안국신 외(1996) 현대경제학원론, 박영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10.11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