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요타 생산방식
1.도요타 생산방식의 발전
2.도요타 생산방식
1) 저스트 인 타임(JIT)
① 공정의 흐름화
② 필요 수만큼의 택트결정
③ 후공정 인수
2) 인(亻)변의 자동화
1.도요타 생산방식의 발전
2.도요타 생산방식
1) 저스트 인 타임(JIT)
① 공정의 흐름화
② 필요 수만큼의 택트결정
③ 후공정 인수
2) 인(亻)변의 자동화
본문내용
가 생산성 향상을 이루는 데에 장애가 된 것이 재고였다. 도요타는 재고를 너무 많이 안고 있었기 때문에 우선 재고 삭감을 목표로 했다. 필요 없는 것은 만들지 않고 손님이 필요로 하는 것만 만든다. 이것이 JIT의 시작이었다.
JIT의 전제가 되는 것이 ‘평준화’ 생산이다. 평준화란 안정적이고 평균적으로 작업이 흐르고 제품이 후공정에 전해지며, 마지막에는 고객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말한다. 현재 도요타는 판매된 뒤 비로소 이익이 나온다는 생각으로, 주문을 받고 나서 만드는 수주생산(受注生産)을 지향하고, 후공정 인수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JIT을 실현시키려면 모든 공정이 완벽해야 한다. 자신의 한 공정쯤 불량이 발생한다고 해서 무슨 큰 영향이 있겠느냐고 생각한다면 JIT은 성립할 수 없다.
JIT의 기본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공정의 흐름화, 필요 수만큼의 택트 결정, 후공정인수 등이다.
① 공정의 흐름화
공정의 흐름화는 JIT 생산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본원칙의 하나로, 공정 내 또는 공정 사이에서 물건의 정체를 없애고 ‘한 개 흐름 생산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요타에서는 공정의 흐름화를 ‘작고 빠른 흐름으로 작업하기’ 라고 한다. 강의 흐름이 작으면 쓰레기 같은 장해물에 막혀도 바로 원인을 알 수 있고 문제의 쓰레기를 제거하면 원래의 순조로운 흐름으로 돌아간다. 작업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한 개씩 생산함으로써 작업에 정체가 생기더라도 바로 그 원인을 알게 되고 그 문제점을 수정하면 원래의 순조로운 흐름으로 돌아간다.
가. 한 개씩 보내면 어디에서 흐름이 나쁜가를 파악가능
JIT란 낭비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데에 가장 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개 흐름’은 그 방법 중 하나로, 공정 순으로 한 개 또는 한 대씩 가공 및 조립을 하여, 한 개씩 다음 공정으로 보내는 방식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한 개씩 보내면 어디에서 흐름이 나빠지는지를 알 수 있다. 어디에서 작업이 정체되는지, 어디에서 재고가 생기고 멈추는지를 알 수 있도록 공정 구조가 고안되어 있으며, 낭비가 발견되는 즉시 개선에 착수하는 시스템이다. ‘한 개 흐름’의 목적은 작업의 정체를 없애는 일이다. 정체가 생기면 그 이유를 철저히 추구한다.
나. 안돈으로 오류 발생을 알림
도요타에서는 ‘작업자가 할 일은 라인을 멈추는 것이다’ 라는 말이 있다. 작업자는 제품의 오류를 발견하면 바로 라인을 멈추고 그 사실을 알리도록 교육받는다. 이
JIT의 전제가 되는 것이 ‘평준화’ 생산이다. 평준화란 안정적이고 평균적으로 작업이 흐르고 제품이 후공정에 전해지며, 마지막에는 고객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말한다. 현재 도요타는 판매된 뒤 비로소 이익이 나온다는 생각으로, 주문을 받고 나서 만드는 수주생산(受注生産)을 지향하고, 후공정 인수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JIT을 실현시키려면 모든 공정이 완벽해야 한다. 자신의 한 공정쯤 불량이 발생한다고 해서 무슨 큰 영향이 있겠느냐고 생각한다면 JIT은 성립할 수 없다.
JIT의 기본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공정의 흐름화, 필요 수만큼의 택트 결정, 후공정인수 등이다.
① 공정의 흐름화
공정의 흐름화는 JIT 생산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본원칙의 하나로, 공정 내 또는 공정 사이에서 물건의 정체를 없애고 ‘한 개 흐름 생산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요타에서는 공정의 흐름화를 ‘작고 빠른 흐름으로 작업하기’ 라고 한다. 강의 흐름이 작으면 쓰레기 같은 장해물에 막혀도 바로 원인을 알 수 있고 문제의 쓰레기를 제거하면 원래의 순조로운 흐름으로 돌아간다. 작업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한 개씩 생산함으로써 작업에 정체가 생기더라도 바로 그 원인을 알게 되고 그 문제점을 수정하면 원래의 순조로운 흐름으로 돌아간다.
가. 한 개씩 보내면 어디에서 흐름이 나쁜가를 파악가능
JIT란 낭비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데에 가장 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개 흐름’은 그 방법 중 하나로, 공정 순으로 한 개 또는 한 대씩 가공 및 조립을 하여, 한 개씩 다음 공정으로 보내는 방식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한 개씩 보내면 어디에서 흐름이 나빠지는지를 알 수 있다. 어디에서 작업이 정체되는지, 어디에서 재고가 생기고 멈추는지를 알 수 있도록 공정 구조가 고안되어 있으며, 낭비가 발견되는 즉시 개선에 착수하는 시스템이다. ‘한 개 흐름’의 목적은 작업의 정체를 없애는 일이다. 정체가 생기면 그 이유를 철저히 추구한다.
나. 안돈으로 오류 발생을 알림
도요타에서는 ‘작업자가 할 일은 라인을 멈추는 것이다’ 라는 말이 있다. 작업자는 제품의 오류를 발견하면 바로 라인을 멈추고 그 사실을 알리도록 교육받는다. 이
추천자료
도요타 자동차의 JIT시스템
도요타 생산방식(TPS).
토요타 Lean System
도요타(토요타/Toyota)가 세계 최고의 제조회사가 된 이야기 : 도요타 가문의 역사와 도요타 ...
토요타(도요타, 도요다)의 연혁, 환경, 토요타(도요타, 도요다)의 조직구조, 조직리더, 토요...
도요타(토요타 / Toyota) 생산 방식 분석 - TPS(Toyota Production System) 분석.pptx
도요타의 생산경영
도요타(토요타 TOYOTA)
[글로벌 전략적 제휴 성공 사례] GM과 도요타(토요타/Toyota)의 전략적 제휴, 전략적 제휴 사...
도요타(토요타/Toyota)의 핵심 역량, JIT 생산방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