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임상간호 사례연구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MAS (태변흡입증후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임상간호 사례연구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MAS (태변흡입증후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 정의
- 병인
- 병태생리
- 증상
- 진단적 검사
- 치료 및 간호
- 합병증 및 예후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육 위생교육을 실시한다.
1-5환아의 가족 면회 시 감염통제의 절차를 적용한다.
2. I/O Check를 시행한다.
3. 의사 order에 따라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 한다.
1-1감염의 일차적 변화는 활력징후 상 체온, 맥박, 호흡의 증가 증상이므로 관찰이 필요하다. 감염 유발 시 백혈구수와 적혈구 침강속도가 증가하고 C-반응단백이 출현한다.
1-2손씻기는 가장 중요한 감염 통제 수단이 된다.
1-3신생아의 제대, 눈 등은 감염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이에 대한 간호를 시행하여 준다.
1-4신생아는 면역력이 약화되어 있기 때문에 방문자 관리를 시행한다.
2. 영양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이므로 대상자의 연령, 건강상태 등에 맞는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3. 예방접종을 통해 영유아,아동의 질병을 예방할수 있다.
(아동건강간호학 총서3 2장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감염의 예방)
(기본간호학 현문사 제15장 감염관리)
(아동간호학 현문사 UNIT3 신생아)
간호진단 : 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수행
간호평가
▶ Subjective data
-
▶ Objective data
ⓘ IV Started (10.6cc/hr)
ⓗ 온몸과 배꼽에 태변 착색되
어 있음
ⓕ 피부 군데군데 벗겨져 있음
ⓖ Moding 매우 심하여 물베개 적용
-대 소변 시 즉시 갈아주지 않고 정해진 시간에 갈아준다.
단기목표 : 3일 이내 환아는 피부상태가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장기목표 : 퇴원 시 까지 피부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Moding 감소 , 피부회복)
1. 간호 수행 시 마다 반창고 부착 부위, 기저귀와 닿은 부분의 피부 상태 등을 사정하였다.
1. 기저귀 교환 시 대소변을 깨끗하게 닦아주었으며 통목욕을 실시하고 닦아줄 때 세제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건조시켜 습한 환경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방하였다.
1. 간호 제공시 가위 사용하지 않고, 손톱이나 날카로운 기구로 인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였다.
2. NPO시 IV를 통하여 수분공급하였으며 후에 수유를 통하여 적절한 영양공급을 하였다.
3. Feeding 시마다 체위를 바꿔주었으며 moding이 심하여 물베개를 적용하여 주었다.
4.퇴원 시 부모에게 목욕 환경 수유 등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환아는 3일 후 정상적인 피부상태로 회복하였다.
▶단기 목표달성
-환아는 Molding이 감소하였고 피부상태도 회복되었으면 기저귀 발진도 없는 상태로 퇴원하였다.
▶장기 목표달성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피부 간호를 시행한다.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개인위생에 관한 간호를 시행한다.(목욕, 기저귀 발진 예방)
-피부 자극요인을 감소시킨다.
2. 수분 섭취를 증진한다.
-적절한 영양공급을 한다.
3.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4. 퇴원시 개인위생, 환경에 관 하여 교육한다.
1. 피부 상태의 사정으로 손상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다.
1. 피부 청결을 통해 이물질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1. 신생아의 피부는 기능이 미숙하므로 적은 자극으로도 쉽게 손상 받을 수 있다. 피부에 닿는 물리, 화학적 자극을 최소화 하여 피부 손상을 감소시킨다.
2. 새로운 상피세포는 수분이 있는 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건조하게 유지될경우보다 치유가 빠르다.
2. 영양분은 상처치유를 위한 세포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물질을 제공한다.
3. 같은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 바닥에 눌리는 신체 부위에 압력이 작용하여 혈액순환장애로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4..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아동건강간호학 총서3 3장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피부간호)
(기본간호학 현문사 제16장 피부통합성 및 상처간호)
(아동간호학 현문사 UNIT3 신생아)
Ⅳ. 결론
본 연구는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7월 22일에 입원한 라0000아기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는 2013년 7월 22일부터 7월 26일까지 진행하였다.
태변흡인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에 의해 출생 직후 respiratory 전혀 없어 suction tip통해 aspiration 시행 ->Meconium 양상으로 1cc정도 regurge 된 후 bagging 시작 2분후 self MILD하게 회복 한 후 입원하였으며 현재는 치료완료 후 퇴원 상태이다.
주로 관찰, 대상자 chart, 검사결과, EMR 등을 바탕으로 연구하였고, 대상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6가지 진단을 내릴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 6가지 간호진단 중에서 대상자에게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세가지 진단(태변 흡인 증후군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질병과 관련 된 감염 위험성/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을 선택하여 간호 수행을 하였다.
태변 흡인 증후군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이라는 진단을 내리고 V/S확인, Suction, 02 Inhalation, 호흡근 호흡음사정, 수분섭취, 약물투여을 통하여 효과적인 가스교환을를 유지하였다. 질병과 관련 된 감염 위험성이라는 진단을 내려 체온을 측정하고 V/S확인, 무균법, 눈제대간호, 부모 영양,위생교육, 감염통제, I/O Check 약물투여을 하여 효과적으로 감염을 방지하였다. 미성숙한 피부구조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이라는 진단을 내려 피부상태 사정, 개인위생(목욕 제대관리 기저귀발진 예방, 피부자극요인 감소), 수분섭취, 체위변경, 퇴원시 개인위생 환경에 관한 부모 교육을 통하여 벗겨진 피부를 효과적으로 간호하였고 퇴원 시 피부통합성을 유지한 상태로 퇴원하였다.
ⅴ. 참고문헌
- 전남대학교 병원 EMR
- 김미예 외 (2008). 아동건강간호학 총서 Ⅲ. 군자출판사
- 손경애 외 (2008).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 손경애 외 (2008).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 김영혜 외 (2011).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 최순희 외. 간호과정. 현문사
-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 네이버 질병 - 질병/의학
-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 김금군 외 (2012). 성인간호학. 수문사
  • 가격2,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11.25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