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마케팅요소 분석 및 평가
1) 제품(Product)
2) 가격(Price)
3) 유통(Place)
4) 촉진(promotion)
5) 사람(people)과 서비스(Service)
6) 물리적 환경(Physical evidence)
7) 과정(Process)
8) 브랜드
9) 사회공헌
10) 발전가능성
11) 소비자 평가
3. 결론
2. 마케팅요소 분석 및 평가
1) 제품(Product)
2) 가격(Price)
3) 유통(Place)
4) 촉진(promotion)
5) 사람(people)과 서비스(Service)
6) 물리적 환경(Physical evidence)
7) 과정(Process)
8) 브랜드
9) 사회공헌
10) 발전가능성
11) 소비자 평가
3. 결론
본문내용
8) 브랜드
-이미지
다이소의 이미지는 저렴한 가격 탓에 제품의 질을 의심하는 ‘싸구려 물건을 파는 가게’와 낮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좋은 품질을 제공하는 ‘착한 가게’, ‘센스있는 아이디어 상품이 많은 가게’로 나뉘어진다. ‘싸구려 물건을 파는 가게’이미지 탈피를 위해서는 그 어떤 기업보다 좋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지도
최근 3년 동안 급격하게 많아진 매장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인지도가 많이 상승했다. 하지만 좁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아직 다이소의 존재를 모를 수 있다. 해외나 B급 지역까지 그 입지를 굳힐 수 있다면 더 폭넓은 소비자층으로부터 많은 인지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9) 사회공헌
-사회성
다이소는 국내 물가억제 및 여성고용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사회적 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 물가상승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 간 ‘1000원 균일가 제품을’ 50%이상 유지해온 점과, 전국적으로 850개의 매장을 넘어서며 지난해에만 6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해낸 기업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3300억 원의 매출에 비해 영업이익은 10억 선이었다. 철저하게 이익을 배제한 채 100원의 이익을 뿌리쳤기 때문이다. 세계 곳곳의 거래처들을 찾아다니면서 고품질 저가정책을 실현한 CEO 박정부 대표는 ‘한국의 유통혁명가’라고 불리기도 한다. 대체적으로 외부매체로부터 좋은 평을 받고 있어 사회적 기업이라는 인식과 함께 이미지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
기본적으로 매장 한 곳당 15명의 점원을 채용하고 있다. 최근 5년 사이 직원 수도 351명에서 5,000명으로 14배 급증했다. 게다가 다이소 직영 매장을 총괄하는 점장 중 96%가 여성일 정도로 여성인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 여성고용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기업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10) 발전가능성
싱글족 증가와 인구 초고령화 추세에 힘입어 균일가 판매업종의 미래가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다이소 매장에서는 이미 100엔 안팎의 식품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 역시 싱글족과 노인인구증가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창업 15년 동안 최근 3년 동안 매출이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불황이 계속될수록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1) 소비자 평가
-대외보도
대체적으로 ‘실속있는 다이소 상품’으로 다이소 기획전을 알리는 보도 자료와 함께 ‘유통업체의 별로 떠오르는 박정부회장’과 같은 부제를 단 기사들이 많이 올라와 있다. 대외보도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계속적인 외부의 관심과 평가를 받으며 적극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품질관리에 더욱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상품후기
온라인 매장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상품리뷰를 작성하고 검색하여 볼 수 있는 상품후기공간이 있다. 전체 평점은 3점 후반에서 4점 초반대(5점 만점)로, 많은 소비자가 다이소 제품 구매를 통해 만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잠재고객들은 기업과 제품을 신뢰하게 되고, 다이소는 고객의 불안요소를 줄여 매출증대효과를 볼 수 있으며,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과 피드백을 통해 장점은 극대화하고 단점은 적극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3. 결론
다이소의 마케팅요소를 분석해 봤을 때 가장 큰 강점이자 약점으로 보이는 것은 ‘가격’이었다. 저가격 정책이 다이소의 가장 큰 경쟁우위를 주는 동시에, ‘낮은 가격의 제품에서 좋은 품질을 기대할 수 있을까’하는 소비자의 고정관념이 다이소의 이미지와 제품만족도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로 작용했다. 가격이 낮은 제품일수록 가치와 품질에 만족하지 못하면 ‘그럼 그렇지’하는 고정관념에 더 쉽게 빠져들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명맥유지’가 아닌 ‘승승장구’해온 균일가 생활용품 숍으로서의 발전가능성을 본다면, 앞으로 다이소는 더욱 넓은 시장을 가지고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과제를 통해 미처 신경쓰지 못한 수많은 마케팅요소에 의해 기업이미지가 형성되고 고객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기업의 아주 사소한 부분에서 주관적이면서도 지극히 객관적인 마케팅요소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를 형성해 왔던 것이다. 경영자와 구매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얼마나 까다롭고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것인지도 알게 되었고, 무엇보다 두 대상간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질 때 기업과 소비자 모두가 윈-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미지
다이소의 이미지는 저렴한 가격 탓에 제품의 질을 의심하는 ‘싸구려 물건을 파는 가게’와 낮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좋은 품질을 제공하는 ‘착한 가게’, ‘센스있는 아이디어 상품이 많은 가게’로 나뉘어진다. ‘싸구려 물건을 파는 가게’이미지 탈피를 위해서는 그 어떤 기업보다 좋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지도
최근 3년 동안 급격하게 많아진 매장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인지도가 많이 상승했다. 하지만 좁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아직 다이소의 존재를 모를 수 있다. 해외나 B급 지역까지 그 입지를 굳힐 수 있다면 더 폭넓은 소비자층으로부터 많은 인지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9) 사회공헌
-사회성
다이소는 국내 물가억제 및 여성고용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사회적 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 물가상승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 간 ‘1000원 균일가 제품을’ 50%이상 유지해온 점과, 전국적으로 850개의 매장을 넘어서며 지난해에만 6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해낸 기업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3300억 원의 매출에 비해 영업이익은 10억 선이었다. 철저하게 이익을 배제한 채 100원의 이익을 뿌리쳤기 때문이다. 세계 곳곳의 거래처들을 찾아다니면서 고품질 저가정책을 실현한 CEO 박정부 대표는 ‘한국의 유통혁명가’라고 불리기도 한다. 대체적으로 외부매체로부터 좋은 평을 받고 있어 사회적 기업이라는 인식과 함께 이미지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
기본적으로 매장 한 곳당 15명의 점원을 채용하고 있다. 최근 5년 사이 직원 수도 351명에서 5,000명으로 14배 급증했다. 게다가 다이소 직영 매장을 총괄하는 점장 중 96%가 여성일 정도로 여성인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 여성고용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기업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10) 발전가능성
싱글족 증가와 인구 초고령화 추세에 힘입어 균일가 판매업종의 미래가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다이소 매장에서는 이미 100엔 안팎의 식품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 역시 싱글족과 노인인구증가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창업 15년 동안 최근 3년 동안 매출이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불황이 계속될수록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1) 소비자 평가
-대외보도
대체적으로 ‘실속있는 다이소 상품’으로 다이소 기획전을 알리는 보도 자료와 함께 ‘유통업체의 별로 떠오르는 박정부회장’과 같은 부제를 단 기사들이 많이 올라와 있다. 대외보도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계속적인 외부의 관심과 평가를 받으며 적극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품질관리에 더욱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상품후기
온라인 매장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상품리뷰를 작성하고 검색하여 볼 수 있는 상품후기공간이 있다. 전체 평점은 3점 후반에서 4점 초반대(5점 만점)로, 많은 소비자가 다이소 제품 구매를 통해 만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잠재고객들은 기업과 제품을 신뢰하게 되고, 다이소는 고객의 불안요소를 줄여 매출증대효과를 볼 수 있으며,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과 피드백을 통해 장점은 극대화하고 단점은 적극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3. 결론
다이소의 마케팅요소를 분석해 봤을 때 가장 큰 강점이자 약점으로 보이는 것은 ‘가격’이었다. 저가격 정책이 다이소의 가장 큰 경쟁우위를 주는 동시에, ‘낮은 가격의 제품에서 좋은 품질을 기대할 수 있을까’하는 소비자의 고정관념이 다이소의 이미지와 제품만족도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로 작용했다. 가격이 낮은 제품일수록 가치와 품질에 만족하지 못하면 ‘그럼 그렇지’하는 고정관념에 더 쉽게 빠져들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명맥유지’가 아닌 ‘승승장구’해온 균일가 생활용품 숍으로서의 발전가능성을 본다면, 앞으로 다이소는 더욱 넓은 시장을 가지고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과제를 통해 미처 신경쓰지 못한 수많은 마케팅요소에 의해 기업이미지가 형성되고 고객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기업의 아주 사소한 부분에서 주관적이면서도 지극히 객관적인 마케팅요소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를 형성해 왔던 것이다. 경영자와 구매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얼마나 까다롭고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것인지도 알게 되었고, 무엇보다 두 대상간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질 때 기업과 소비자 모두가 윈-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추천자료
기업분석 - 칠성사이다 SWOT분석 및 마케팅전략
민들레 영토의 경영전략과 해외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경쟁우위][경쟁][레스토랑업계][합섬직물업계]경쟁우위의 개념, 경쟁우위의 유형과 경쟁우위...
우리나라 농촌관광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와 기술 및 시장동향과 파급효과
[국제][국제규범][국제조세][국제마케팅][국제광고][국제경영][기업국제화][국제표준화][규범...
[사업계획서] 외국인유학생 대상 정보제공업체 창업, 사업계획서
내부마케팅 사례 : 내부마케팅의 성공사례 ; 내부마케팅의 개념과 구성요인 분석
(푸드마케팅 4학년) 1. 식품에 표시되는 농식품국가인증마크 10종을 선정하고 각각의 목적을 ...
소개글